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1/11/21 14:50:47
Name Onviewer
Subject 온게임넷 `황형준` 복귀와 나의 롤모델 황형준
반가운 소식을 접했습니다. 포모스를 통해 저의 롤모델이자 e-스포츠를 창시했던 황형준씨가 다시 온게임넷으로 복귀했다는 소식을 접했습니다.
제가 약 6개월 전 롤모델 `황형준` 글을 올린 후 황형준씨께서 이메일로 직접 저에게 `복귀`의 가능성을 염두해둔듯한 말을 하신적이 있는데, 현실이 됬네요. 포모스 기사 댓글을 보니 "황형준씨가 누구지?" 하시는 반응들이 많았습니다. 황형준씨가 어떤 사람이고, e-스포츠에 어떤 지대한 영향을 끼쳤는지 재조명해볼겸 글을 올립니다.
----------------------------------------------------------------------
* 2011.4.24
e-스포츠, 임요환은 알아도 황형준이라는 이름을 아는 사람은 e-스포츠의 열혈 팬 아니고서는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지금의 e-스포츠를 만든 자가 황형준이라는 사람이라는 걸 알면 아마 놀랄 것이다.
원래 황형준씨는 투니버스에 몸담고 있었으나 IMF가 터져 할 일이 없어진 이후로 pc방에서 게임을 하던 중, 게임을 방송을 통해 중계하면 어떨까하는 아이디어를 처음 떠올린 사람이다. 처음엔 피파 98을 통한 중계를 시작하여 회사에서도 인정을 받기 시작했고 이어 황 PD는 스타크래프트 방솓을 기획하기에 이른다. 원래 중계를 하려면 해설진이 있어야 하는 법. 당시 대학 동창이었던 정일훈씨를 영입하고 스타크래프트 베틀넷에서 이름 좀 날렸던 김태형씨를 영입한다. 그리고 만화가로 활동중이었던 엄재경씨도 영입한다. 이로서 '엄정김' 트리오가 구성되는 순간이었다.
그러나 당시 사회 분위기는 게임 대회라는 것에 여전히 생소해있었다. 대회를 열기 위해선 스폰서가 필수적인데 스폰서를 잡기가 어려웠다. 황형준 PD는 여러 곳을 돌아다닌 끝에 마지막에 하이텔에 문을 두들기고 운좋게 스폰서를 얻어 대회를 시작한다.
당시 스튜디오도 없어 투니버스 휴게실의 탁구대에 천을 덮어 탁자로 이용했다. 옵저버 없이 일반 컴퓨터를 TV 화면에 연결, 경기를 시작했다. 이어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이 투니버스를 통해 중계되고 세계 최초로 게임방송 역사상 결승전 생중계를 시작하기에 이른다.
당시 투니버스의 대주주였던 오리온 측은 황형준 PD의 놀라운 성과를 보고, 게임방송 설립을 검토하기 시작한다. 이래서 탄생한 것이 세계 최초 게임 전문 방송인 온게임넷. 이로서 명실상부한 e-스포츠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나는 황형준씨의 이러한 도전정신을 보고 감동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평소 e-스포츠 팬 중 한 사람으로서, 열정과 의지, 투지 없이는 이러한 결과가 나올 수 없다. 황형준 씨는 이후에도 이플레이온 본부장으로 자리를 옮겨 '바투'란 게임을 진두지휘했다. 물론 그 게임은 실패했지만, 나는 언론계 종사를 꿈꾸는 사람으로서, 이러한 독창적 분야를 창조한 황형준씨를 높게 평가한다. 지금껏 롤모델로 삼고 있는 사람 중 한 사람을 꼽으라면 황형준씨를 꼽는다. 지금은 어디서 무엇을 하는 지 모르겠다. 지금의 온게임넷 국장은 박창현씨로 알고 있고 책임프로듀서는 위영광씨다. 하루 빨리 황형준씨가 기획하는 프로그램들을 접하고 싶은데, 그 꿈은 요원한 것 같다.

* 황형준씨 프로필
고려대 서어서문학과 졸업.
e-스포츠를 창조한 인물. 온게임넷 전 국장.(다시 복귀)
온미디어 계열 이플레이온 본부장.
-------------------------------------------
이제 그 꿈이 요원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불쌍한오빠
11/11/21 15:08
수정 아이콘
황금기를 이끄셨던 분인만큼 기대가 큽니다
공급자보단 시청자위주의 행정을 해주셨으면 해요
리멤버
11/11/21 15:25
수정 아이콘
오늘 기본 좋은 소식이 많네요. 몰랐던 황형준님도 알게되고 앞으로 기대되네요.
purplejay
11/11/21 16:11
수정 아이콘
아.. 기억납니다. 온게임넷을 나가신건 몰랐었네요.

본문에 '엄전김'이 아니라 '엄정김' 이죠^^;;
리리릭하
11/11/21 16:18
수정 아이콘
2001년, 임요환 장진남 한빛배 결승때 구경가서, 황형준 씨와 이야기를 나누고, 엄재경 - 김태형 씨와 함께 사진을 찍은게 엊그제 같은데... 돌아오시는군요!!
11/11/27 10:10
수정 아이콘
딱 한번 봤는데...
참 강렬한 인상을 줬지요... (기억하고 싶지 않은데 기억이 남... -_-)
뭐 3인행이면 필유아사라 했으니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071 [도타2] 언더로드 후기 및 잡다한 이야기 [53] valewalker9543 19/07/04 9543 3
61204 [기타] [섀버] 확팩 이후 플레이 감상 [24] YORDLE ONE7587 17/04/24 7587 0
55912 [기타] Bastion 리뷰 [12] 호구미9422 14/12/23 9422 2
55411 [기타] [WOW] 소드군 기념 다시 들어보는 워크래프트 시리즈 OST [18] Hellscream13633 14/10/16 13633 1
55209 [도타2] 6.82 언제나 그랬듯이 얼개의 대격변 패치 [11] Euphoria12227 14/09/24 12227 0
55148 [기타] 컴파일의 망령 - DiscStation 한국판 이야기(2) [3] 말랑9339 14/09/18 9339 0
52255 [기타] [WoW] 지극히 개인적인 관점에서 본, WoW 확장팩 완성도 순위 [50] 제리드12722 13/09/20 12722 0
50682 [기타] [퍼즐&드래곤] 소소한 정보 몇가지 + 내용 추가 [31] Cogito7346 13/02/28 7346 0
48124 Broodwar, 스타리그, 스타2, 그리고 도전 [4] Love.of.Tears.7556 12/08/05 7556 0
47196 [LOL] 비주류 챔피언 탐구 - "전략적인 선택이군요, 소환사님" [20] 별비7943 12/05/23 7943 1
46256 [LOL]초보가 바라본 원딜과 서포터의 궁합 [28] 뚫훓쀓꿿삟낅7446 12/01/31 7446 0
46227 [LOL] '마법사' 챔피언에 대한 주관적인 분석 & 팁 7부[完] [15] 중년의 럴커6279 12/01/27 6279 0
45865 온게임넷 `황형준` 복귀와 나의 롤모델 황형준 [7] Onviewer6833 11/11/21 6833 0
45849 AOS 방송, 단점을 장점으로. [21] 빛돌v5919 11/11/18 5919 0
45707 리그오브레전드 Graves Patch Notes/ 할로윈 신스킨 소식 [11] 마빠이6008 11/10/19 6008 0
42982 테란 유저로서 다른 종족이 사기라고 느꼈던, 그 때, 그 사람 [14] Ymini5367 10/09/14 5367 0
38121 테테전의 거장 서지훈 (1)Before Xellos [17] fd테란7053 09/07/06 7053 10
38072 엠겜의 해설진들. 그리고 스타 잡담. [47] 베컴7304 09/07/01 7304 1
37765 테란과 저그, 마재윤 이후. [23] 김연우14527 09/05/21 14527 14
37278 E-Sport의 압축성... 그리고 그로인한 상대성... [20] 피터피터5005 09/03/12 5005 6
36482 테저전 메카닉의 트릭... (테란 메카닉의 새로운 패러다임) [7] 피터피터5551 09/01/01 5551 11
35497 프로토스의 대저그전 항쟁사 [80] 김연우13698 08/08/18 13698 57
35003 Zergology 13-1. - 제 5 본좌 이제동? [5] 펠쨩~(염통)5091 08/06/23 5091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