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1/10/26 00:09:15
Name kimbilly
Subject BlizzCon 2011 현장 취재 - Day 1, 개막식과 행사장 현장 스케치

▲ 애너하임 컨벤션 센터의 행사 전날 밤. 입구쪽에 사람들이 모여있는게 벌써부터 줄을 서고 있는 듯 하다.


▲ 아침이 밝았다. 오전 9시인데도 끝도없이 서 있는 줄들.


▲ 드디어 입장 시작. 더 빨리 신작 게임들을 접하기 위해 빠른 걸음을 재촉한다.


▲ ...끝이 있기는 한걸까? 그 앞에는 경연 대회에 참가하기 위한 코스튬 플레이를 하는 관객들도 있다.


▲ RTS Stage 에 덩그러니 놓여 있는 GSL 중계석. 밤 9시가 되면 그토록 기다려 온 GSL 의 해외 원정 첫 결승전이 시작된다.


▲행사 방송을 주관하는 DIRECT TV 의 중계석. 총 4개의 HD 채널에서 행사의 대부분이 유료 구매자에게 생방송 된다.


▲ 스타크래프트2 를 참여 할 수 있는 공간. Single Play / Multi Play / Blizzard DOTA 에 맞게 줄을 서서 체험을 할 수 있다.


▲ 이미 본사에서 공개를 했었던 차행성 미션을 포함한 2개의 미션을 30분 동안 체험 해 볼 수 있다.


▲ Fastest 속도가 아닌 일반 속도라 일벌레 뽑는 시간... 이런거 느리다. 못해먹겠다. ㅠㅠ


▲ 스타크래프트2 : 군단의 심장 싱글 플레이를 즐기는 관중들.


▲ 작년에 공개 된 버전을 뒤로하고 새로 개발을 한 후 공개된 Blizzard DOTA.


▲ 이런 식으로 아이템 구매도 가능하다.


▲ 팀플레이를 하면서 서로 채팅을 하면서 게임을 즐기고 있다.


▲ 개막식이 열리는 Main Stage. 취재진을 비롯해서 벌써부터 꽉 찬 상황.


▲ 마이크 모하임 CEO 가 2011년 한 해 Blizzard 의 역사를 정리 하고 있다.


▲ RTS Stage 와 달리 가로로 길게 만들어 진 무대에 뒤에는 홀 전체가 의자로 채워진 상황이다.


▲ 블리자드의 개발 초창기 모습.


▲ World Of Warcraft 의 최초 게임 서버를 eBay 에 경매로 판매하여 역시 기부에 동참을 할 것이라고 한다.


▲ 2011년 GSL, MLG 등을 각 도시의 술집을 빌려 같이 관전하는 문화인 '바 크래프트' 가 크게 발전하게 되었다. 각 도시의 리스트는 홈페이지 참조.


▲ 첫째날 마지막 행사로 장식하게 되는 2011 Sony Ericsson GSL Oct. 의 결승전을 소개하고 있다.


▲ 디아블로 3 의 한정판 패키지(좌) 와 일반판 패키지(우) 디자인이 공개 되었다.


▲ 디아블로 3 의 한정판 패키지의 세부 사양. 참 많다.


▲ 북미 사용자들은 WoW 의 1년 계정을 구매하게 되면 디아블로 3 을 무료로 할 수 있다고 발표를 하고 있다.


▲ 크리스 맷잰이 디아블로 3 : 검은 영혼석 / 블리자드 도타 / 스타크래프트2 : 군단의 심장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 판다리아의 안개를 공개했다.


▲ RTS Stage 옆에 위치한 본선 현장에 문성원 선수가 류원 코치와 함께 이른 아침부터 GSL Oct. 결승전 연습에 돌입한다.


▲ StarCraft II Battle.net Invitational Tournament 의 대진표. 한국의 임재덕, 정종현 선수가 승자조 8강에 올라 간 상황이다.


▲ StarCraft II Battle.net Invitational Tournament 에 참가하는 정종현 선수와 IM 팀의 강동훈 감독이 대진 확인을 하고 있다.


▲ 해외에서 진행되는 리그에 처음 출전을 하게 된 임재덕 선수가 해외 팬들과 기념 사진 촬영에 임하고 있다.


▲ 정종현 선수가 경기에 임하고 있다.


▲ GSL Oct. 결승전이 아니다. 문성원 선수는 연습중이고, 정종현 선수는 본선 경기에 임하고 있다.


▲ 임재덕 선수도 슬슬 경기를 준비하고 있고, 강동훈 감독도 이를 확인 하고 있다.


▲ 대만 대표로 출전하고 있는 SEN 선수가 리플레이를 보고 있다.


▲ 미국의 Sheth 선수가 막 경기를 시작했다. 키보드가 사라진게(?) 인상적인 선수.


▲ 스타크래프트2 시연대에는 점점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 13시 정도에 시작한 승자조 8강 무대 경기. 낮인데도 많다. 참~많다.


▲ 미국 대표로 참가하는 류경현 선수.


▲ Day[9] 와 JP 가 중계에 임하고 있다.


▲ 상대는 한때 임재덕 선수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 적이 있던 우크라이나의 DiMAGA 선수이다.


▲ 임재덕 선수인데 얼굴이 보이질 않는다. ㅠㅠ


▲ 정종현 선수의 화면. 어? 저그???


▲ 현장에는 MVP 팀의 박수호 선수가 방문을 했다.


▲ 한국 취재진과 이야기를 나누는 박수호 선수. IEM 에서 우승을 차지하고 사인회와 시범 경기를 하기 위해 일주일동안 혼자 미국 체류중 이라고...


▲ 박수호 선수를 알아보는 외국 팬들이 사인을 받고 있다.


▲ 가장 빠르게 승자조 결승전에 진출을 하게 된 임재덕 선수.


▲ 무대 뒤에서도 역시 사인이 한창이다. 첫 해외 대회 일정을 소화하기가 쉽지 않았겠지만, 팬들이 많은 상황.


▲ World Of Warcraft Battle.net Invitational Tournament 경기도 한창이다.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 판다리아의 안개를 처음으로 시연 해 보는 관중들.


▲ 스타크래프트2 의 개발자인 더스틴 브라우더가 국내 커뮤니티 운영진과의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 GSL Oct. 현장 스케치 사진은 http://bit.ly/pJufJC / 추후 현장 하이라이트 영상으로 편집 후 공개 할 예정 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롯데우승
11/10/26 00:49
수정 아이콘
코카인을 구입하시면 필로폰을 무료로 제공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8160 Teamliquid 의 아주부 블레이즈 MLG 경기 리뷰 [25] 아나키7248 12/08/09 7248 2
47889 WCG 2012 한국대표 선발전 참가 접수 시작했네요. [29] 휘리7400 12/07/19 7400 0
47700 [LOL] 플래티넘을 찍었습니다. [35] Robbie7025 12/07/07 7025 0
47607 이스포츠의 딜레마. 게임의 진입장벽과 리그의 보는 재미. [34] 냥이풀5398 12/06/27 5398 0
47579 리그 오브 레전드에 대한 짤막한 아쉬움 [115] 저퀴7618 12/06/26 7618 0
47544 국내와 해외 이스포츠판을 보면서 생각난 국내 이스포츠의 대안 [23] bigname4941 12/06/23 4941 1
47199 [디아3] 디아블로3의 만렙컨텐츠에 대하여 [27] 거간 충달6604 12/05/23 6604 0
47063 블리자드와 라이엇 게임즈의 한국 시장에서의 대결, 승자는 누가될까요? [38] RPG Launcher5590 12/05/15 5590 0
46955 스타크래프트2 e스포츠 공동 비전 선포식 - "이제 모두가 함께 합니다!" [58] kimbilly11448 12/05/02 11448 0
46951 스타크래프트2 군단의 심장 올해 6월 ~ 7월 베타 테스트 실시 [21] RPG Launcher5956 12/05/01 5956 0
46915 [lol] 트롤링은 무엇이며 어떻게 구분할까? [27] 리신OP7598 12/04/27 7598 0
46616 [LOL] 초반 레벨 구간에서의 멘붕 [47] 별밤지기7064 12/03/23 7064 0
46611 곰TV에 바라는 것 몇가지. [25] RPG Launcher6678 12/03/22 6678 0
46569 마이크 모하임, "스타2의 e스포츠 확대에 있어서 올해가 중요한 해가 될 것" [29] kimbilly7270 12/03/17 7270 0
46519 LoL의 장르명은 과연 무엇인가? dota-like? AOS? [28] 에어로6488 12/03/08 6488 1
46512 댓글잠금 lol의 esports로서의 흥행에 대한 우려 [66] 여망7269 12/03/07 7269 1
46348 DOTA의 상표권분쟁이 아직 해결된것이 아니군요 [21] 마빠이6374 12/02/13 6374 0
46254 초심자가 바라본 LOL의 매력 [26] 찬물택6201 12/01/30 6201 0
45903 [리뷰] 카오스 온라인 - 스스로 한계를 만든 게임 [24] 저퀴9051 11/11/30 9051 0
45812 G-STAR 2011 현장 취재 - 스타크래프트2 : Chris Sigaty 인터뷰 [5] kimbilly4904 11/11/12 4904 0
45804 이번에 지스타 다녀오시는 분들께 부탁 좀 드릴게요. [12] RPG Launcher5804 11/11/09 5804 0
45781 블리자드-곰TV, G-Star 2011 시연 및 스타2 Team Ace Invitational 개최. [10] kimbilly6526 11/11/02 6526 0
45750 BlizzCon 2011 현장 취재 - Day 1, 개막식과 행사장 현장 스케치 [1] kimbilly4957 11/10/26 495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