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1/10/09 19:04:12
Name kimbilly
Subject IEF 2011 국가 대항전 - 결승전, 시상식 <현장 스케치>

▲ IEF 2011 국가 대항전의 결승전이 열리는 용인 수지 체육 공원 내 특설 무대.


▲ 워크래프트3 결승전을 준비하는 장재호 선수.


▲ 상대는 최근까지도 같은 팀이기도 했던 Panda Gaming 의 박준 선수.


▲ 오랫만에 중계 하게 된 김철민 캐스터와 정인호 해설 위원.


▲ 결승전이 끝나고 준우승을 한 박준 선수가 김성식(좌), 노재욱(우) 선수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워크래프트3 종목에서 박준 선수를 상대로 2:0 으로 승리 한 장재호 선수.


▲ 스타크래프트1 결승전에 출전하기 위해 송병구 선수가 도착 했다.


▲ 바로 부스로 들어가서 세팅을 시작 하는 송병구 선수.


▲ 송병구-김택용 두 선수의 감독이신 김가을 감독과 박용운 감독이 스탭과 이야기를 나눈다.


▲ 김택용 선수도 막 도착해서 세팅을 시작 한다.


▲ 어느 정도 세팅을 마친 송병구 선수.


▲ 경기 시작 전 준비를 하고 있는 김택용 선수.


▲ 스타크래프트1 결승전은 김철민 캐스터와 임성춘 해설위원이 담당했다.


▲ 모니터 교체로 인해 잠시 부스를 나온 김택용 선수.


▲ 가족 단위 관객이 많은 사이버 과학 축제답게 많은 관중들이 보고 있다.


▲ 결승전 중계를 마친 김철민 캐스터와 임성춘 해설위원.


▲ 송병구 선수를 상대로 3:2 로 극적인 승리를 따 낸 김택용 선수의 인터뷰.


▲ 아이들이 사인을 받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


▲ 스타크래프트1 종목에서 07, 08, 10년에 이어 4번째 우승을 차지한 김택용 선수.


▲ 폐막식 및 시상식의 진행은 지윤씨와 박상현 캐스터.


▲ 스페셜 포스 준우승을 차지한 한국의 Annul 팀.


▲ 스페셜 포스 우승을 차지한 STX SouL 팀. 스포1 로 진행 된 마지막 대회였다.


▲ 워크래프트3 에서 3위를 차지한 중국에 왕슈엔(Infi) 선수.


▲ 워크래프트3 에서 2위를 차지한 한국에 박준 선수.


▲ 워크래프트3 에서 우승을 차지한 한국에 장재호 선수.


▲ 스타크래프트1 에서 2위를 차지한 송병구 선수.


▲ 스타크래프트1 에서 우승을 차지한 김택용 선수.


▲ 김택용 선수의 금메달이 반짝이고 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벡터와통계
11/10/09 19:10
수정 아이콘
사진 감사합니다. 김택용선수는 비시즌만되면 귀신같이 살이 찌는군요..
자유수호애국연대
11/10/09 19:14
수정 아이콘
김택용 선수, 장재호 선수 축하드립니다.
킴빌리 님도 항상 수고 많으시네요.

그런데 저 시상식에 보이는 지윤 씨라는 분이 예전 엠겜에서 게임자키하시던 그 분 맞나요?
(벅지윤으로 불렸던 그...)
jagddoga
11/10/09 19:22
수정 아이콘
스타2는 어떤 선수가 우승했죠?
러쉬본능
11/10/09 19:22
수정 아이콘
각종 커뮤니티 반응이 상당하네요.
이러니저러니 해도 김택용선수가 스타는 스타더군요. [m]
정상을위해
11/10/09 19:27
수정 아이콘
Starcarft인가요 크크 엌
11/10/09 19:34
수정 아이콘
김택용 선수 피부가ㅠㅠ.. 그리고 이제 선수들이 다들 얼굴에 연륜이 조금씩 묻어나오기 시작하네요
jagddoga
11/10/09 21:52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이름이 비슷해서 헷갈렸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m]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5693 역대 양대리그, 우승자/준우승자의 KeSPA 랭킹 분석 [6] 개념은나의것6600 11/10/17 6600 0
45669 두분토론 - 테란 대 저그 밸런스 문제 [31] 개념은나의것19097 10/09/16 19097 20
45663 주요 개인리그 역대 결승 결과 정리 [5] 개념은나의것7048 11/10/09 7048 0
45662 IEF 2011 국가 대항전 - 결승전, 시상식 <현장 스케치> [11] kimbilly9842 11/10/09 9842 0
45652 [IPL3] Day 2 - 송현덕, 김성한, 최연식, 문성원 출전! [32] 언데드네버다��5685 11/10/07 5685 0
45650 신작 게임 '레이지(Rage)' 리뷰랄까요? [16] 빼꼼후다닥6499 11/10/07 6499 1
45645 [IPL3] Day 1 - 임요환, 김동원, 한이석, 장민철 출전 [238] 언데드네버다��7997 11/10/06 7997 0
45580 역대 양대리그, 우승자 연령 분석 [5] 개념은나의것6572 11/09/25 6572 0
45560 역대 양대리그 종족별 성적 분석 [1] 개념은나의것5271 11/09/22 5271 0
45546 양대리그 역대 우승자/준우승자 현황 [9] 개념은나의것8316 11/09/19 8316 2
45509 리그오브레전드 이번주 Patch Note 입니다. [30] 마빠이7266 11/09/15 7266 0
45487 곰TV의 새로운 스타2 리그 Arena of Legends [15] 언데드네버다��5316 11/09/09 5316 0
45440 방송국 케스파 많은것을 생각하게 하는 오프시즌 [5] 로베르트6588 11/08/29 6588 0
45437 GSL. Game of the week. 0822~0828 [9] Lainworks6130 11/08/28 6130 1
45435 스타리그 개인리그 프로리그 통산 TOP20 시청률 [11] 로베르트19892 11/08/28 19892 0
45433 양대리그 통산 2회 이상 우승자의 연령에 따른 우승 커리어 추이 [5] 개념은나의것5834 11/08/28 5834 0
45426 25 게이트 & 7넥, 온게임넷 갭스의 버그 [17] ArcanumToss8475 11/08/27 8475 0
45405 다양성과 비주류가 없는 스포츠는 결국 망한다. [42] 황제랑 늙어간다6507 11/08/25 6507 1
45391 주5일제 1년후의 기사들 [20] 로베르트7540 11/08/24 7540 1
45390 제가 생각한 E-Sports의 전망(최근 스타1관련 내용이 싫으신 분들은 클릭하지 마십시요~) [8] 평균APM5145710 11/08/24 5710 0
45387 GSL Aug. Code. S. 16강 프리뷰 2일차 [10] Lainworks5348 11/08/24 5348 0
45358 김택용 선수는 티원에서 늘 제대로된 대접을 못받았던것 같습니다. [117] 택신사랑10105 11/08/21 10105 0
45356 GSL. Game of the Week. 0815~0821 [10] Lainworks5798 11/08/20 5798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