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1/08/23 10:37:44
Name 요환이형...
Subject e스포츠의 현실을 바라보며
우선 제가 이 글에서 이야기 하는 e스포츠판이란 스타판을 이야기 함을 알려드립니다.


저는 아래 마재곰매니아님글에 댓글 쓰신 ArcanumToss님 의견처럼 프로리그로 인해 경기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거의 획일화되고 단일화된 지상맵에서 경기는 항상 똑같은 전략전술, 더 이상 새로운 것을 보여주지 못하는 양상시켜서, 선수들 개인 기량의 질적인 증가는 있을지언정, 경기를 바라보는 팬들의 즐거움에는 해가 되어버렸다고 생각합니다.

이젠 거의 모든 선수들이 준비해오는 전략이 비슷해지면서, 결국 이제 스타 방송 경기는 준비해온 빌드의 상성에 따라 경기결과가 확정되게 되버렸습니다. 역전승이라는 단어는 이제 거의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 되어버렸지요.

어쨋든 점점 어두워져가는 이 판을 바라보면서, 제가 가장 즐겁게 스타를 보았던 시절에 경기가 무척다양했었습니다.

팀플레이 경기가 있었을 때 박정석,강도경 조합과 팀플레이 전문이었던 이창훈선수의 경기는 지금 봐도 참 재밌을것 같다는 생각을 들게 만듭니다.

팀플레이 경기서 자기 팀원 한명이 아웃된 상황에서 수적 열세를 극복하고 경기를 뒤집어냈던 임요환선수의 경기도 지워지지않는 기억입니다.

시즌이 시작될때마다 새로운 맵이 나와서 재미를 주곤했는데, 특히 섬맵에서 경기는 특정종족이 불리하긴 했지만, 희대의 명경기를 많이 보
여주었던 맵이였습니다.

그리고 선수들 역시도 각자 특색있는 경기를 만들어냈습니다.

선수들의 별명만 봐도 그것을 알 수 있었죠. 해처리의 아버지, 폭풍저그, 대나무테란, 처절테란, 투신, 스피릿, 질럿공장장, 무당스톰, 몽상가, 불꽃테란, 목동저그, 괴물테란... 글세요. 그들은 승리하기 위해서 적어도 자기만의 색깔을 만들어냈고, 그 색깔있는 플레이가 저에게만
즐거움을 준것이었을까요.

요즘 선수들의 별명을 보면, 갓이나 신이 들어가는 별명을 팬들이 만들어주고 있습니다.

어쨋든 신이 만들어내는 것은 이미지는 저에게 절대로 지지 않는 이미지, 곧 무조건 이긴다는 이미지를 가져다 줍니다.

선수가 경기에서 만드는 색깔과 상관없이 그저 이기는 것이 더 중요해 지게 된것이죠. 물론 프로라면 경기에서 이겨야합니다.

하지만 프로스포츠는 프로가 경기에서 이기는 장면 속에서 관중이 새로움을 얻고 즐거움을 얻어야 그 스포츠가 지속될 수 있는 것이겠지요.

요즘 e스포츠를 보면서, 프로농구라는 스포츠가 계속해서 연상됩니다.

프로농구 역시도 이상민,우지원,현주엽,김병철,서장훈,전희철같은 1세대 선수들이 재미있는 공격농구를 보여주었던 농구대잔치 시절을 지나 이제 그 선수들이 거의 다 은퇴하고, 프로화가 자리잡으면서, 각 팀들이 승리에 집착하는 경기를 해버려서 재미있는 경기보다는 무조건 이기는 경기를 양산하게 되버렸습니다.

속공시에 무조건 흐름을 끊는 반칙, 노마크상황에서 덩크슛이 가능함에도 레이업슛, 경기규칙도 3점슛 성공률 낮추려 라인을 멀게 만들어 버렸으니 이젠 한경기에 50~60점 나오는 것이 다반사가 되어버렸습니다.

농구에서 이기려면 득점을 해야합니다. 결국 득점이라는 요소가 관객들로 하여 흥미를 유발시킬텐데, 농구라는 판이 이제는 관객은 안중에도 두지 않고, 각 팀은 팀대로, 협회는 협회대로 재미없어지는 경기와 룰을 양산해서 이제 관중들로부터 멀어지게 되었습니다.

결과는 어떻습니까? 한해 경기장을 찾는 관객의 급감, 공중파 중계는 가뭄에 콩나듯, 챔피언결정전이 프로야구 개막전에 밀려서 중계도 못하고, 넘사벽으로 불렸던 배구에도 자리를 양보하고 있습니다.

근데도 현실을 모르고 판은 너무 과장되어져 있어 보입니다. 평균득점이 3점도 안되는 선수가 1억이 넘는 연봉을 받는 것만 봐도 말입니다.

임요환,홍진호,박정석,최연성,강도경,강민 같은 세대의 선수들 이후의 e스포츠, 프로농구와 너무도 똑같은 길을 걸어갑니다.

근데 무서운 것은 e스포츠는 게임을 좋아하는 팬들로 인해서 만들어지고, e스포츠라는 새로운 종목을 만들어낸 스포츠입니다.
심지어는 공군에서 게임단을 만들기까지 했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팬도 떠나고, 선수들의 정신상태도 떠나고, 방송사도 떠나고, 지원해주는 기업도 떠나고, 협회라는 곳은..... 굳이 이야기 하지 않겠습니다.

이제 거의 망해져가는 이 판이겠지만, 마지막으로 근본적인 노력부터 했으면 좋겠습니다.

아랫 글쓰신분께서 스포츠토토를 통해서 문제를 해결하자고 제시했습니다.

의견을 무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저는 지금 e스포츠의 현실이 이렇게 된 이유 중 하나가 마모씨와 아이들의 불법베팅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선수들이 팬들에게서 신뢰감을 잃었으니, 특히 당시 가장 잘나가고 인기가 많았던 선수들이 그랬으니 사람들의 관심에서 멀어지게 되었는데 말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스포츠토토로 해결하자는 것은 다음과 같은 두가지 문제점을 야기시킬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첫째는 프로의식이 부족한 기껏해봐야 20대 초중반의 나이인 몇몇의 선수들이 마모씨와 아이들같은 실수를 저지를 가능성이 크다는 것입니다.

프로축구계가 승부조작때문에 들석이고 있지만 승부조작에 가담한 선수가 한명이 아니라 같은팀에 여러명의 선수가 같이 걸려있음을 볼 수가 있습니다.

즉 경기를 조작하는데 있어서 자기 혼자만의 힘으로는 부족하고 여러선수들의 힘이 합쳐져야 자신들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프로축구였습니다.

따라서 검은 유혹은 골키퍼인 선수에게 접근하게 되었는데, 골키퍼는 실수한척 자기 혼자만 제대로 안막으면 골을 많이 실점할테니 말입니다.

하지만 스타판은 혼자 마음먹고 지려면 무난히 질 수 있습니다.

베틀넷에서 게임하다가 전화와서 제대로 컨트롤만 못하고, 인구수한번 막히면 지게되는 것이 스타라는 게임입니다. 그러니 e스포츠판에도 그런 일이 벌어졌겠지요.

둘째는 순수한 팬들의 유입이 아닌, 토토를 즐기려는 일부 도박쟁이들이 유입된다는 것입니다.

자기가 베팅한 선수가 져서 그 선수를 욕하는 것이 무서운게 아니라, e스포츠에 베팅해서 돈을 다 잃고 인생을 망쳐버렸다는 사람이 단 한사람이라도 나오게 된다면, 이미 e스포츠가 출발했던 순수함이 사라지게 되는 것이겠지요.

저는 그다지 오래 되지 않은 e스포츠 경기를 통해서도 희열을 느끼고 즐거움을 느꼈던 경기가 있었습니다.

스2로 넘어가기 전에 그분이 윤용태선수와의 경기에서 락다운으로 캐리어를 잡은 것, 김민철 정명훈선수와의 경기에서 김민철 선수가 브루드링으로 경기를 잡았던 것, 퀸 잘쓰는 김명운선수의 경기들이 바로 대표적인 예였습니다.

아참 옛날 경기중에도 김성제 선수가 어떤 선수와의 경기인지는 모르겠지만 마인드컨트롤을 해서 시즈탱크로 경기를 이기던 경기도 생각납니다.

그리고 강민선수가 이윤열선수를 상대로 화려한 리콜쇼를 보여줬던 경기, 할루시네이션으로 질럿을 복사해 테란 조이기를 뚫던 경기, 박정석선수가 머큐리에서 연탄 밭을 스톰으로 뚫고 돌파하던 경기..

스타에서 알고는 있지만 정말로 입스타에 머무를것 같았던 경기들에서 였습니다.

저에게만 일지는 모르겠지만 너무도 새로웠고 신선했던 경기였습니다.

제가 우선적으로 제안하고 싶은것은 진짜로 새로운 맵들, 병맛이어도 좋습니다.

좀 다른 경기양상을 볼 수 있는 그런 맵들에서 경기가 펼쳐졌으면 좋겠습니다. 스타크래프트에서 재미를 만들어내는 것이 무엇입니까. 우선은 맵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맵에서 잘 사용되지 않는 유닛이 사용되게끔 지형을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

또한 유즈맵적인 요소를 조금씩만 가미했으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 구현은 되있지만 밀리게임에서 사용할 수 없는 캐리건같은 유닛을 사용한다거나, 인구수 200제한을 늘리거나 줄이거나, 미네랄 일부를 가스로 전환시킬 수 있다거나 하는 간단한 요소들이 역전승의 기회가 될지, 또 수많은 빌드들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 재미를 줄 수 있지는 않을지요...

마지막으로는 프로리그에서 팀플레이 경기를 늘려서 새로운 팀플레이경기 스타를 만들어내고 한다면 또 다른 재미를 주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물론 제가 제안한 이런 방법이 꺼져가는 e스포츠판을 완전히 살려낼 수는 없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적어도 이러한 노력이라도 없이 이대로 e스포츠가 무너지지 않기를 바랍니다.

협회와, 방송사, 각 팀 그리고 선수들이 현명하게 이 위기를 극복했으면 좋겠습니다.

긴글 쓰느라 주절거리고 말 앞뒤가 맞지 않더라도, e스포츠를 사랑하는 한 팬의 마음의 소리로 들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1/08/23 10:45
수정 아이콘
맵이 다양해지면 경기가 재밌을 것 같지만, 역시 밸런스에 문제가 생기겠죠?

말씀하셨던 김성제선수의 마인드컨트롤 경기는 제 생각에 짐 레이너스 메모리라는 맵에서 했던 차재욱 선수와의 경기가 아니었나싶습니다.
앞마당에 가스가 없는 맵이었는데, 마컨을 해서 질럿+탱크 조합을 보여주었었죠! 놀라서 아직도 기억이 나네요..
2008년 이후로 하이라이트 영상이 잘 없어져서 그런것일지, 정말 기억에 남는 경기가 잘 안나오는 거 같아 아쉽습니다..
11/08/23 10:52
수정 아이콘
저보다 글 잘쓰시네요 ^^;;
다양한 맵은 좋은 생각인것 같네요
항상 특이한 맵은 밸런스 문제가 일어나서 문제였지만...
지금 생각해보니 동일맵 동일종족 연속 출장 금지 이런거 다시 부활해도 괜찮을것 같기도 하고

팀플도 좋고 선수들 연습하기는 힘들겠지만 어짜피 팀도 축소되는 마당에 경기도 많이 줄텐데
팀플 다시 부활하는것도 괜찮아 보이네요
팀플은 항상 같은 유닛만 나와서 쫌 그랬지만
개인전보다는 더 X줄 타면서 봤던 경기도 많았던것 같고...
냥이풀
11/08/23 11:01
수정 아이콘
유즈맵 적인 요소를 가미한다면 그건 더 이상 스1이 아니죠.

유즈맵으로 게임 양상에 손대는 순간 그건 진짜 끝나는거나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맵도 재미있는 맵이 나온다면 다행이겠지만 대부분 컨셉맵은 '패스파인더' 같은게 나오죠...

밸런스도 안맞고 재미는 최악이고.
Rush본좌
11/08/23 11:25
수정 아이콘
농구를 좋아하시고 계속 지켜봐왔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딴지 걸자면 3점슛 성공률 낮추려고 3점 라인을 길게 한게 아닙니다. 국제룰에 따라 변경한것이지요. 당연히 해야할 일이었습니다. 3점슛 성공률 낮추려고 한건 아니죠. 오히려 국제 경기에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 입니다. [m]
Rush본좌
11/08/23 11:26
수정 아이콘
그리고 스타 얘기를 하자면 모든 스포츠가 이기는 경기가 반드시 재밌는 경기는 아닙니다만.. 스타는 그게 좀 더 심한게 원인이 되겠네요. [m]
요환이형...
11/08/23 11:37
수정 아이콘
제가 잘못알고있었네요! 죄송합니다.
어쨋든 3점 라인 50cm 늘린것으로 인해 3점슛 성공률 감소, 전체적인 득점 감소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지요.
그런데, 국제경쟁력을 위해 3점라인을 늘려놨는데, 지금 농구국가대표팀에서 슈터가 없어서 문태종선수를 쓰는것은 아이러니군요.
파일롯토
11/08/23 13:17
수정 아이콘
스타2로넘어간 신인의 공백이 가장크다고생각합니다
언제적 택뱅리쌍인데 아직도 택뱅리쌍입니다
온겜의 마이스타리그같이
현재리그는 아마추어에게 많은기회를주면서 활성화하는게 가장필요할거같습니다
11/08/23 13:18
수정 아이콘
스타크래프트 한 종목만 생각한다면
블리자드와 긴밀히 상의 하여 "밸런스 패치, 게임인터페이스 패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패치" 등등을 했어야 했습니다.
당연히 돈이 가는곳에 관심이 갈것이고 애시당초 게임 변형권을 가지고 있는 블리자드와 수익권을 나눴으면 훨씬 오래갔을겁니다.
게임방송은 야구나 축구처럼 보기만 하는 유저보다도 역시 직접 하면서 구경하는 유저가 더 중요하니까요.

e스포츠 전체를 생각한다면 역시 종목의 다변화가 급합니다.
스1만 바라보던 케스파의 몰락과
여전히 국제규모로 당당하게 게임올림픽으로 자리잡은 WCG
이 둘을 비교해봐도 당연히 종목다변화가 급선무였습니다.
11/08/23 15:15
수정 아이콘
게임의 수명이 너무 묵어서 그렇습니다
스타일리스트가 흥할 수 있는 시기가 지났죠
워3 도 그랬고 스2 도 그렇게 될 것이고 [m]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5907 특정맵을 연습한 선수는 특정맵에 무조건 출전시켜야 되는것인가? [18] naughty5433 11/11/30 5433 0
45906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1주차, CJ vs 공군 #2 [191] 전준우5365 11/11/30 5365 0
45905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1주차, CJ vs 공군 #1 [178] 전준우4202 11/11/30 4202 0
45898 2011년 11월 넷째주 WP 랭킹 (2011.11.27 기준) [2] Davi4ever4805 11/11/28 4805 0
45885 오늘 프로리그를 보면서 드는 여러 생각들 [36] noknow9863 11/11/26 9863 1
45884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1주차, KT vs 공군 #3 [187] SKY926356 11/11/26 6356 1
45883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1주차, KT vs 공군 #2 [242] SKY924944 11/11/26 4944 0
45882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1주차, KT vs 공군 #1 [280] SKY925425 11/11/26 5425 0
45870 프로리그1주차 일정이 공개되었습니다. [35] 본좌9447 11/11/23 9447 0
45851 스타1 프로게이머 및 관계자 트위터 모음 [12] 불쌍한오빠11660 11/11/18 11660 0
45837 프로리그가 시작한다 해서 관전 포인트 몇개를 적어보겠습니다. [10] 삼성전자홧팅5320 11/11/17 5320 0
45817 11-12 프로리그 판도 예상 [22] 본좌8047 11/11/12 8047 2
45808 수많은 이들을 떠나보내며 [8] VKRKO 6591 11/11/10 6591 1
45793 '드림팀'이라는 잔혹동화 [225] The xian13823 11/11/06 13823 7
45787 현재 스2 선수들을 스1 선수들에 대입해보기 [9] 정대훈6920 11/11/05 6920 0
45544 허영무 선수는 제가 생각한 것보다 훨씬 더 큰선수였습니다 [4] 불멸의황제6757 11/09/18 6757 0
45449 김구현, 박세정 공군 e스포츠병 지원했군요. [14] 하늘의왕자8247 11/08/30 8247 0
45431 최고의 떡밥은?? [30] 영웅과몽상가7572 11/08/28 7572 0
45414 이스포츠의 산업규모와 방송국의 딜레마 [7] 로베르트5184 11/08/26 5184 0
45377 e스포츠의 현실을 바라보며 [12] 요환이형...4996 11/08/23 4996 0
45318 10~11 신한은행 프로리그 정규시즌 결과정리 [6] Dark玄5561 11/08/19 5561 11
45294 숫자로 보는 10-11 신한은행 프로리그 정리 글 -2 [23] DavidVilla5708 11/08/16 5708 24
45293 숫자로 보는 10-11 신한은행 프로리그 정리 글 -1 [5] DavidVilla5733 11/08/16 5733 1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