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1/06/14 00:53:15
Name 라울리스타
Subject 샴페인을 너무 빨리 터뜨렸나 봅니다.
이스포츠 전성기라는 04-05년도의 분위기가 생각납니다.

목요일엔 MSL, 금요일엔 스타리그. 일주일에 딱 두번뿐인 경기들. 비록 단판이지만 매치가 한번 잡히면 일주일동안 pgr에 와서 그 선수는 어떤 전략을 쓸까 토론하는 재미로 살았습니다(그때는 다른 아이디를 썼었네요.). UZOO, SO1 등의 명리그들...저는 단언하건데 모든 경기가 명경기였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강민이 이번엔 어떤 전략을 쓸까요?

또 더블넥을 할까요? 크크 그놈의 져블넥.
그래도 더블을 하니 확실히 자원적으로 맞춰갈 수는 있더군요.
테크가 느려서 저그가 빠른 테크로 왔을때 까다롭워 보였습니다.
아...지난번처럼 역시 수비형으로 가야 저그는 이길 수 있는 건가요?


우왕...변은종 선수 퀸으로 레이스 잡는 것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크크 좋긴한데 1회성일 것 같기도 하구요.
1회성일지도 모르지만 저는 엄청 상쾌했어요. 사나이는 역시 스트레이트!
천하의 최연성이 패자조로 갈 줄이야....이거 박정석과 5판 3선승제 나오겠는데요?
만약 박정석 선수 만나면 EVER 같은 거대한 물량전 기대합니다!

등....


이스포츠의 대중화는 확산되어 왠만한 청소년들의 대화주제가 되었으며, 성인들도 이 열풍을 무시할 수 없는 사태까지 이르게 된 것을 인정하게 됩니다. 비스폰팀이 모두 스폰팀으로 전환되었고, 스포츠 팀에서나 있었던 군인팀도 생겼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Kespa는 주 5일제, 일주일에 10경기 프로리그를 선언합니다.

위기를 느낀 개인리그는 일주일에 2회 방송, 심지어 예선전까지 방송을 하며 발맞추어 갑니다.


경기수가 많아지다보니, 일부 선수들만 가지고는 성적의 한계가 있음을 느낀 게임단들의 훈련은 더욱더 체계화 되었습니다. 명예직이나 다름없었던 코치직의 비중이 급격히 높아짐과 동시에, 각 게임단은 숙소 및 2군 시스템을 운영하며 주5일제 프로리그에 적응해 나갔습니다.

덕분에 스타를 볼 수 있는 기회는 더욱 많아졌고, 소외되었던 각 팀의 후보선수들도 이슈를 받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예전과 같은 이슈는 없었습니다. 경기수가 많아지다보니, 팬들이 다챙겨보는 것이 불가능해졌습니다. 몇 주만 놓쳐도 최신 트렌드를 알기 힘들어 졌습니다. 따라서 예전보다 스타를 '라이트'하게 즐기는 팬들이 많아졌습니다. 스타를 왜보냐구요? 그냥 심심하고 시간남아서 보지요~

더욱 문제가 된 것은 개인리그입니다. 예전에 개인리그 우승은 게이머로써 누릴 수 있는 최고의 명예였습니다. 많은 게이머 지망생들이 스타리그, MSL에서 우승트로피를 들어올리는 게이머들을 보고 프로의 꿈을 키웠습니다. 하지만 주 5일제 프로리그에 밀려 개인리그는 메인에서 서브로 옮겨져 갔습니다. 각 팀들은 개인리그보다 프로리그 연습을 더욱 할당해 가며 개인리그 조별리그 같은 게임에서 질낮은 게임이 속출하게 됩니다.

더블 엘리미네이션으로 최강자들의 리그라고 일컫어지는 MSL은 위기를 극복하지 못한채 엔터테인먼트로 스스로의 변화를 꾀합니다.

요새 두각을 나타내는 신인게이머의 등장이 적은 것도 이러한 개인리그의 위상추락과 완전히 무관하지 않다고 봅니다.

스타크래프트 최강자가 된다. -> 영광스러운 개인리그의 최강자! 가 아닌 프로리그 주전 선수! 이기 때문에....


Kespa와 이스포츠는 현재의 '성장'에 만족한 채 '안정과 분배'를 택했습니다. 그리고, 결국 그것은 너무나 빠르게 샴페인을 터뜨리는 결과가 되었습니다. 그렇게 안정과 분배를 택하기엔 이 판의 기반은 우리가 생각했던 것 보다 약했습니다.



축구조작사건이 나도, 축구팬들은 K리그를 봅니다.
임태훈-송지선 사건이 일어나도 야구팬들은 야구를 봅니다.
하지만, 이스포츠는 '팬덤' 그것 하나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임요환이 있었고, 홍진호가 있었으며, 마재윤이 있었습니다.

임요환은 스타2로 떠났고, 홍진호는 사실상 명예직으로 있으며, 마재윤은 마레기가 되었습니다.

더 이상 이슈를 몰고올 선수와 팀이 없습니다.

지난주말, 이영호가 선수로써 이룰 수 있는 모든 트로피를 영광을 거머쥐었습니다.
어제 김택용이 프로리그 한 시즌 최다승을 일구어 냈습니다.
오늘 만년 꼴찌팀 공군의 최다승을 이끈 감독의 마지막 경기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더 이상 끝입니다. 마레기의 개인방송에 묻혔습니다.


하늘은 우리에게 최후의 보루로 김택용을 주었습니다. 하지만 더이상 개인리그의 우승은 회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위상이 추락했습니다(추락시켰습니다). 그런데 그 개인리그 마저 SKT1는 하지 말라고 합니다. 프로리그 뛰라고.



팬들은

임요환의 패러독스
최연성-홍진호의 유보트
김정민의 팀리그 투혼
강민의 패러럴라인즈
오영종의 So1
이윤열의 신한2
마재윤의 본좌로드
김택용의 3.3을 원하지만,


사실상 '팬덤'에 의해 움직였던 이 판이 더이상의 '팬덤'조차 만들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상황이 이정도까지 되어서야 확실히 알 수가 있게 되었군요.

대부분의 사람은 '이스포츠'가 아닌 '스타크래프트 게임'과 '프로게이머'를 따랐던 것이라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두유매니아
11/06/14 00:54
수정 아이콘
마음이 아픕니다.
비소:D
11/06/14 00:56
수정 아이콘
이지경까지 온것에 화가 납니다.
항상 팬심어린 걱정이 있었던 판이라 더 화가납니다.
알파스
11/06/14 00:57
수정 아이콘
팬덤이 중심이었기 때문에 급속도로 성장할수있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것의 최대의 약점이 된거죠.
11/06/14 00:57
수정 아이콘
저는 지난 10여년간 우리가 스타리그를 통해 그토록 피와 땀과 눈물을 흘려가며 만들고자 했던 '이스포츠'가 한낱 꿈에 불과했다는 것을...


그리고 '희망'을 다른 외부 세력도 아닌 이 판의 구성원들로 인해 꿈을 이어갈 희망조차 깨졌다는 것이 서글픕니다...
Inception
11/06/14 00:57
수정 아이콘
뭐 예전부터 그래왔던게 사실이죠 까놓고 지금 당장 리쌍록과 임진록을 동시에 중계한다고 해도 임진록보는 사람이 리쌍록 보는 사람의 몇배이상 될거라고 확신합니다. -_-;; 근데 아무리 그래도 인간쓰레기를 아직도 좋아하는 팬분들은 제 생각으로 도저히 이해가 안가네요
쇼미더머니
11/06/14 01:02
수정 아이콘
팬덤이 자랑이기도 했지만 지금에는 오히려 팬덤이 약점이되다니..... 아이러니네요. 그리고 슬프네요
알파스
11/06/14 01:07
수정 아이콘
E스포츠는 결국 electronic 스포츠가 아니라 entertainment 스포츠였던게 아닐까요?
11/06/14 01:13
수정 아이콘
사실 팀에 대한 애정보다 선수에 대한 애정이 더 컸던 것도 다른 스포츠에 비해 특이한 경우였죠.
개인리그와 팀 리그가 모두 중요한 스타크래프트 종목의 한계일 수도 있겠습니다만...
11/06/14 01:13
수정 아이콘
마재윤군은 정말 이판에 뭔가 원한이라도 있는 걸까요?
어떻게 하면 이 판이 망할지에 대해 정확히 알고 그 혈만 꾹꾹 누르는 기분입니다.
사혈 두개를 정확히 집어 버리네요... 고의든 아니든
The xian
11/06/14 01:16
수정 아이콘
팬덤이 약점이 되는 이유는 본문에서 글쓴 분이 서술한 것처럼 그런 부분이 약점이 되게 만든 리그의 구조적 문제 때문도 있지만, 주관적일 수밖에 없는 팬덤을 구조적 문제 혹은 객관적으로 접근할 문제에 대해서까지 해결책으로 삼아 어떻게든 순간을 모면해보려던 행동 때문이기도 합니다. 당장 4년 전엔 어떠했습니까. 중계권 사태 때에 아둥바둥하고 있다가 팬덤에 기댔습니다. 그래서 리그의 중단사태는 막았습니다. 그러나 그 이후의 행동들은 팬들의 바람과는 오히려 동떨어진 부분들이었습니다. 1년 전엔 어떠했습니까. 정전록, 승부조작건 등으로 위기가 생기니 격납고 결승에 와달라고 레전드들 해설자들 내세워 읍소했습니다. 결과는 어떠하신지 다 아시는 내용입니다. 지금. 뜬금없이, 팬들의 기다림을 저버리고 프로리그를 중국 상해에서 연다고 합니다.

제가 작년에 썼던 글의 일부입니다.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고 하는데 강산이 변하는 동안 과연 무엇이 더 '프로답게' 변했는지 도저히 저는 알 수 없습니다. 명색이 프로 스포츠라면, 어떤 개인, 어떤 소수만이 프로다워야 하는 게 아니라, 게임단이 생기고 주 5일 방송에 노출되는 겉 모습이 문제가 아니라, 이 판의 시스템과 그 시스템 속에서 활동하는 이들의 생각이 프로다워야 했고, 그리고 팬들에 대한 자세 역시 프로답게 변해야 했습니다. 했던 실수는 다시 하지 않거나 그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요인을 최소화시키고, 찾아오는 팬들에게 선사할 표면적인 볼거리에만 신경쓸 게 아니라 조금이라도 더 편하게, 조금이라도 더 세심하게 팬들을 신경쓰는 자세가 필요한 것이죠. 저는 적어도 프로화가 되어가는 것을 그렇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봐도 제가 잘못 생각했나 봅니다. 예전부터 줄곧 있었고 요즘은 한층 잦아진 일련의 사태들을 보면 '스타크래프트 e스포츠'라는 판은 몸만 커졌지 생각과 정신은 자라지 않은 '어른애'를 보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 '어른애'는 자기 자신이 무엇을 고치려고 하는 것에는 미적대면서 팬들에게는 마치 어떤 일이 있어도 자식을 배반하지 않는 부모와 같은 애정과 관심을 요구하며 손을 내밀고 있습니다. '이 판이 끝장날지도 모른다'라면서, 사랑하는 선수와, 재미있게 보던 경기와, 흠모하고 호감을 가졌던 그 누군가를 다른 쪽 손아귀에 쥐고 말이죠.

적어도 이번에는 저에게 손을 내민 누군가가 다른 쪽 손아귀에 쥐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않을 참입니다."


제가 작년부터 e스포츠를 바라보는 시각에서 어떻게든 온정주의를 배제하려고 하는 이유가 이것입니다. 팬덤으로 해결할 일이 있고 그렇지 않은 일이 있습니다. 감정의 영역에서 담당할 일이 있고 그렇지 않은 일이 있습니다. 과거에 있었던 일들처럼, 그리고 어제 새벽에 저를 잠 못들게 했던 지금은 없어진 글처럼 아무 곳에나 팬들의 성원과 관심 운운하면서 온정을 요구하는 거렁뱅이 같은 일이 늘어나면 결국 판이 망가집니다.
알파스
11/06/14 01:24
수정 아이콘
04-05년도면 스갤도 최전성기 시절이군요.

스타리그가 흥해서 스갤이 흥한것일수도 있지만 저는 스갤이 흥했기에 스타리그도 같이 흥했다고 생각합니다.
경기 외적인 스토리를 만들어주고 고퀄의 짤방을 제작하던 그때 참 스타도 재밌게 봤고 스갤도 재밌게 했는데 안타깝네요.
11/06/14 01:39
수정 아이콘
마재윤 사태를 보니 이판이 얼마나 망가진 상태인지 알겠네요. 하긴 프로리그결승을 중국에서 한다고 할 정도니까요. 진작 신경끄기를 잘한것 같네요.
양정인
11/06/14 02:16
수정 아이콘
그런데... 왜 프로리그 결승을 뜬금없이 중국에서 한다는 겁니까?
중국에도 프로리그가 그렇게 인기가 많나요?
아니면 중국에서도 매일 경기를 다른 방법을 통해서 중계가 되는 겁니까?

그냥 뜬금없이 외부로 드러나는 모습이 멋져보이게 중국 상해에서 연다면...
그들에게 누가? 왜? 어떤 스토리로? 이기느냐가 중요할까요?
제가 생각하기엔 그들은 단순히 '이벤트 경기' 로 치부하고도 남을 것 같은데 말이죠.

애초에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을 가지고 스포츠화 한다는 발상자체가 무리수가 아니었나 생각합니다.
지금 돌아가는 꼬라지를 보면 말이죠. 막연하게 팬심에 기대고... 팬심에 호소하는 그런 스포츠가 이 세상에 어디에 존재합니까. 존재하는 곳은 대한민국 이스포츠라고 불리는 게임엔터테인먼트뿐이죠.
이녜스타
11/06/14 02:31
수정 아이콘
팬들이 변해야 합니다.마재윤도 마재윤이지만 다른 커뮤니티에서 마재윤 옹호 글이 그렇게 많다는것에 적지않은 충격을 받았습니다.
심지어 마재윤에 빗대어 현역게이머 까는 글까지 쓰면 말다했죠. 물론 악플다는 종자들은 어디에나 있는거고 그게 필요악인 경우도
소수있지만 이렇게 많은 무개념 팬들을 보니 정말 씁쓸하네요.....어제 이영호 선수기사에 입에 담지도 못할 부모님 패드립부터 시작해서
오늘까지..... 정말 조작이 아니라 팬들한테 정떨어져서 스타판 떠나고 싶은 마음도 생깁니다.
사람two
11/06/14 03:32
수정 아이콘
이영호가 골든그랜드슬램을 달성했는데...이영호 포스가 너무 강해서 당연한 일을 했다는 생각이 들어서 그런가요...생각보다 임팩트가 별로 없네요...진짜 딱 3.3 까지가 스토리라인이 멋있었고 그 이후 택뱅리쌍은 확실히 좀 임팩트가 적죠...심지어는 이영호 보다 마재윤에 대한 얘기로 더 시끄러우니...
칠리팟
11/06/14 09:36
수정 아이콘
스타도 지역연고제 실시해야하지 않을까요
야구경기 재미없어도 자기팀 지고 이기는 똥줄타는맛에
잘만봅니다. [m]
와룡선생
11/06/14 10:04
수정 아이콘
마레기 조작사건때는 오히려 마레기를 걱정했습니다.
어린 친구가 시련을 이기지 못하고 잘못된 생각을 할까봐...
요즘 우울증에 자살하는 연예인들을 많이 보다보니..

그런데 오늘 알게됬네요 밑에 글을 읽어보니..
괜한 걱정이고 쓸데없는 오지랖이었네요..
아휴..철이 없는건지 생각이 없는건지 모르겠네요..
뭐 돈때문이겠지요..

p.s 택용아 온겜넷 우승 한번만 하자!! ㅜㅜ
11/06/14 10:23
수정 아이콘
요즘 가끔 인터넷 돌아다니다 보면 추억자료 처럼 해서 4대천왕 시절 사진과 내용
뭐 과거 전성기 시절의 내용들이 가끔 보이는데 참.. 답답합니다.
그리고 저 마레기는 평생 마레기로 욕 들으면서 살고 싶은지 참 대단합니다
To Be A Psychologist
11/06/14 10:38
수정 아이콘
워메 뭐가 엄청 많이 바꼈네요....댓글 창이.......
데프톤스
11/06/14 11:11
수정 아이콘
이영호 선수의 팬으로써... 어떤 스토리라인을 만드는데 힘을 못 쏟아부은점.. 좀 미안하네요..
역대 최고의 임팩트급으로 포장을 시켜야하는데
개념은?
11/06/14 11:12
수정 아이콘
뱅구나 열심히 응원해야겠어요
뱅구야 우승하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4750 "훈련병 박태민"의 소소한 일화들 [19] 해바라기9630 11/06/29 9630 0
44749 오늘의 프로리그-SKTvs공군/웅진vsCJ(2) [65] SKY924818 11/06/29 4818 0
44748 오늘의 프로리그-SKTvs공군/웅진vsCJ [264] SKY925589 11/06/29 5589 0
44741 10-11 신한은행 프로리그 6강 플레이오프 경우의 수 [22] Necrosis7289 11/06/27 7289 0
44740 오늘의 프로리그-공군vs웅진/삼성전자vs위메이드(2) [165] SKY925997 11/06/27 5997 0
44739 오늘의 프로리그-공군vs웅진/삼성전자vs위메이드 [246] SKY925612 11/06/27 5612 1
44716 홍진호에 관한 마지막 잡설. [34] becker11998 11/06/24 11998 57
44705 2011년 6월 셋째주 WP 랭킹 (2011.6.19 기준) [3] Davi4ever5736 11/06/21 5736 1
44704 오늘의 프로리그-공군vsSTX/화승vs웅진 [287] SKY927226 11/06/21 7226 0
44693 오늘의 프로리그-위메이드vs공군/웅진vs삼성전자 [152] SKY926034 11/06/19 6034 1
44685 안녕, 홍진호. [26] becker10334 11/06/18 10334 40
44668 [홍진호 은퇴] 오빠.... 이렇게 떠나면 안되는거잖아요... [13] 제이나8053 11/06/16 8053 0
44666 보내고 싶지 않은데. 정말 보내고 싶지 않은데. [10] I.O.S_Daydream5910 11/06/16 5910 0
44649 2011년 6월 둘째주 WP 랭킹 (2011.6.12 기준) [6] Davi4ever4850 11/06/14 4850 0
44641 샴페인을 너무 빨리 터뜨렸나 봅니다. [26] 라울리스타10328 11/06/14 10328 2
44634 신한은행 10-11 프로리그 stx-웅진 / 공군-화승 (박대경감독 마지막경기) (3) [192] 마빠이6069 11/06/13 6069 0
44633 신한은행 10-11 프로리그 stx-웅진 / 공군-화승 (박대경감독 마지막경기) (2) [367] 마빠이4525 11/06/13 4525 0
44632 신한은행 10-11 프로리그 stx-웅진 / 공군-화승 (박대경감독 마지막경기) [260] 마빠이6057 11/06/13 6057 0
44623 신한은행 10-11 프로리그 6R CJ vs MBC, KT vs SKT (4) [412] 마빠이8409 11/06/12 8409 0
44622 신한은행 10-11 프로리그 6R CJ vs MBC, KT vs SKT (3) [220] 마빠이5960 11/06/12 5960 0
44621 신한은행 10-11 프로리그 6R CJ vs MBC, KT vs SKT (2) [245] 마빠이5502 11/06/12 5502 0
44618 신한은행 10-11 프로리그 6R CJ vs MBC, KT vs SKT [221] 마빠이5230 11/06/12 5230 0
44584 신한은행 10-11 프로리그 6R mbc vs 폭스, kt vs 삼성전자 (2) [303] 마빠이7108 11/06/08 710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