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1/06/11 21:16:01
Name 머드
Subject 오늘 보여준 이영호가 다른 테란보다 특별한 단 몇가지 차이
1. 108터렛신공

스타 오리지날부터 해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오직 유일하게 이영호"만" 시전할 줄 아는 108터렛신공

사실 프로게이머 기준에서는 터렛신공은 할려고 마음만 먹으면 손이 많이 가서 "귀찮을 뿐이지" 누구나 쓸 수 있는 터렛도배

그러나 이영호를 제외한 모든 테란 게이머는 터렛을 뮤짤 방어용으로만 쓸 뿐 언제 적절하게 써야 될지 "아무도!" 모른다

2009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현실에서는 이루어 질 수 없는, 저그 입스타의 최고봉이라 불리던 플라잉 디파는 단지 이영호의 108터렛 신공,  단 하나에 봉인되고 말았다

오늘도 108터렛 신공을 통해 멀티로 드랍 자체를 못가게 했으며, 멀티 타격 가려던 뮤탈 전멸...

2. 마린 컨트롤

이영호의 뮤탈 잡는 마린 컨트롤은 사실 별거 없다

언덕 지형에 있는 먹음직스러운 마메를 향해서 뮤탈이 전진할때 이영호는 마린을 뒤로 "살짝" 한발짝만 뺄 뿐이다

저그들이 그 한발짝 들어설려고 마우스 클릭 하는 순간 "넌 낚였어"를 외치며 저그가 마우스 클릭도 하기 전에 이미 마린은 다시 제자리에 들어온다

그렇게 자석에 이끌리듯 뮤탈과 마린은 서로가 좋다고 달려들고 그리고 이어지는 점사.. 노킬 투다이

대부분의 테란은 사업만 믿고 언덕에서 가만히 있다가 지형을 발판삼은 뮤탈에 주구장창 털릴뿐

3. 정찰

오늘 이영호의 컨셉은 1단 둘러치기, 2단 둘러치기! 니가 멀 하던지 나에겐 못오게, 그러나 니가 하는건 내가 다알게.

둘러치기 하기 위해서 scv 까지 동원에서 검은 셀 자체를 없애버렸으며 아예 그것만으로도 만족하지 못했는지

잉여배럭, 엔베로 2차 보험까지 들어놓는다

그리고 역대 모든 테란 게이머중에서 가장 스캔을 잘 활용한다는 이영호의 스캔 신공의 3단계 보험까지


내가 이영호에게 바라는 입스타 단 하나가 있다면

드랍쉽 싸움 모드 들어간 테란전에서 클로킹레이스를 몰래 모아서 드랍쉽에 따라붙인 후 공격가는 척 (혹은 실제로 공격을 가던)

낚시로 유인한 후 뒤따라 오는 드랍쉽 몰살시키고 무혈입성.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빠이
11/06/11 21:25
수정 아이콘
2경기 인가 3경기 인가..
김명운이 드랍할려고 오버로드가 이동하고 있는데
저그기지 바로 우측에 터렛 공사가....
냥이풀
11/06/11 21:29
수정 아이콘
저는 개인적으로 이영호 선수가 다른 테란보다 특별한 점이 있다면 그것은 '타이밍'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4강, 결승에서 드러난것 처럼 이 선수는 타이밍을 정말 잘 잡죠. 특히 결승 1경기에서 들키자 마자 발키리 1마리로 진출한 선택은....

2경기에서 막히나 싶었지만 빠른 추가병력 합류로 끝끝내 피해를 주는 타이밍 공격.

'반땅싸움' 이라는 이미지가 강한 선수지만 전 역시 하나만 꼽으라면 '타이밍'을 꼽고 싶네요.
맥쿼리
11/06/11 21:38
수정 아이콘
그 입스타 괜찮은데요.^^제가 바라는건 대 저그전 멀티순삭. 그럴려면 최소 3군데 이상 동시교전이 일어나야겠죠.
sHellfire
11/06/11 22:11
수정 아이콘
제가 바라는 입스타는 이영호선수가 핵을 전략적으로 쓰는걸 한번 '제대로' 보여줬으면 좋겠네요 크크
시도는 몇번 있었지만 효율이 없었죠;
11/06/12 00:02
수정 아이콘
레이트메카닉 대처위주로 준비해왔을 김명운을 상대로 뒤통수를 빡하고 날려버린 느낌이네요. 1경기에선 '뮤탈 타이밍에 맞춘 발키리 바이오닉 진출 안티뮤탈 빌드', 2경기에선 '빠른공업 이후 5배럭으로 병력 진출 후 전선유지만 한 후 팩토리 타이밍을 당겨 벌처로 시간벌고 레메 전환' 이런 식으로 기존에 다른 선수들이 조금씩 보여줬던 빌드의 타이밍을 좀더 날카롭게 앞당김으로써 상대 저그로 하여금 아무것도 못하고 주도권 한 번 쥐지도 못한채 패배에 이르게 하는 이영호 선수의 시간을 지배하는 경기 운영이 일품이었던 것 같습니다. 특히 라만차는 샛길이 많아서 전선을 좀더 센터쪽으로 당겨 놓으면 속업 벌처가 옆으로 빠르게 파고 들 수 있다는 점에서 굉장히 이보다 적절한 빌드가 있을지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11/06/12 01:09
수정 아이콘
최연성코치 말대로 원배럭 더블로 시작되는 모든 빌드가 이영호에 의해 최고의 성능을 발휘하네요.
명훈아 힘내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4814 A Fable [6] 꼬랑지4263 11/07/08 4263 0
44813 연재물, 성전星戰(별 성, 싸울 전) 2회 - 지령 - [7] aura4577 11/07/07 4577 0
44812 2011 MBC게임 스타리그 서바이버 토너먼트 Season 2 2조 [175] SKY925095 11/07/07 5095 0
44811 2011 MBC게임 스타리그 서바이버 토너먼트 Season 2 1조(2) [132] SKY924111 11/07/07 4111 0
44810 2011 GSTL Season 1 - Jupiter : 3주차, MVP vs oGs-TL [105] kimbilly4266 11/07/07 4266 0
44809 연재물, 성전星戰(별 성, 싸울 전) 1회 [7] aura4022 11/07/07 4022 0
44808 2011 MBC게임 스타리그 서바이버 토너먼트 Season 2 1조 [217] SKY924417 11/07/07 4417 0
44807 Kespa 쪽에서 E-Sports 무게 중심의 추를 스타크래프트2 쪽으로 서서히 움직이려는 듯 합니다. [18] RPG Launcher6559 11/07/07 6559 1
44806 2011 PEPSI GSL July. - Code S, 32강 4회차 [129] kimbilly4032 11/07/06 4032 0
44805 2011년 7월 첫째주 WP 랭킹 (2011.7.3 기준) [3] Davi4ever5667 11/07/06 5667 2
44804 스타2에도 드랍핵이 나타났네요.(부제: 블리자드는 불법프로그램 제재를 제대로 하고 있는가?) [17] KissTheRain8567 11/07/06 8567 0
44803 GSL July Code. S. 32강 프리뷰 #3. G조, H조. [14] Lainworks5124 11/07/06 5124 0
44802 이번 프로리그 신인왕 누가 타게 될까요? (자료수정ㅠ) [78] 개념은?6166 11/07/06 6166 0
44800 우승자 또는 우승팀을 더욱 빛나게 하자 [7] 나르크5178 11/07/06 5178 0
44799 포스트시즌 진출팀 라인업 및 간단평 [26] noknow6811 11/07/06 6811 1
44797 6강 PO 맵순서 [25] SKY925283 11/07/05 5283 0
44796 2011 PEPSI GSL July. - Code S, 32강 3회차 [109] kimbilly4005 11/07/05 4005 0
44795 신한은행 10-11 프로리그 폭스-웅진 //공군-삼성 (시즌마지막경기) [312] 마빠이6309 11/07/05 6309 0
44794 GSL July Code. S. 32강 프리뷰 #2. E조, F조. [5] Lainworks4891 11/07/05 4891 0
44791 워크래프트를 다시 즐겨보려 합니다. [11] dokzu5159 11/07/05 5159 0
44790 프로리그 방식에따른 경기당 승점 (V.er 0.9) [18] 마빠이6435 11/07/04 6435 0
44788 오늘의 프로리그-CJvsSKT [311] SKY928345 11/07/04 8345 1
44787 2011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 2 본선 대진표~! [8] CrazY_BoY5348 11/07/04 534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