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1/03/23 01:13:25
Name 헤나투
Subject kespa 드림리그. 흥미로운 경기방식을 아시나요?
제가 이글을 쓰는 이유는 최근 pgr글중에서 2라운드를 진행하고있는 위너스리그를 문제삼는 글이 올라왔기때문입니다.
저번시즌에 비해 비중이 늘어난 위너스리그입니다. 하지만 그로 인해 문제가 생겼죠. 저는 특히 포스트 시즌이 문제라고 봅니다.

만약 KT나 화승이 시즌이 끝난뒤 포스트시즌에 진출한다면 위너스리그의 영향이 매우 클것입니다. 하지만 포스트시즌에서 그 팀들이 순위만큼의 경쟁력을 가지고 있을까요? 아직 5,6라운드를 시작도 안했기에 섣부른 판단일지 모르지만, 적어도 위너스리그에서만큼의 강력한 모습을 보이긴 힘들겁니다.
애초에 전혀 다른 성격을 가진 7전제 프로리그와 위너스리그입니다. 그중에서 위너스리그에서 좋은 경쟁력을 가진팀이 7전제 프로리그 형식으로 포스트시즌을 맞이하는 것이니 당연할것입니다. 그리고 그 문제를 해결할 방안으로 드림리그의 경기방식이 떠올랐습니다.

pgr에는 경기결과가 올라온적 없는걸로 기억하는데 포모스에는 2군선수들의 리그인 드림리그 결과가 올라옵니다.
그중에 하나를 올려봅니다.

◆ STX 5 vs 4 SK텔레콤
1세트 태양의제국 변현재(프) 패 vs 승 어윤수(저)
2세트 라만차 이민호(저) 패 vs 승 최호선(테)
3세트 써킷브레이커 신대근(저) 패 vs 승 정영재(테)
4세트 아즈텍 조성호(프) 패 vs 승 정경두(프)
5세트 포트리스SE 김성현(테) 승 vs 패 윤문수(테)
승자1세트 벤젠 김성현(테) 승 vs 패 어윤수(저)
승자2세트 피의능선 김성현(테) 승 vs 패 정경두(프)
승자3세트 태양의제국 김성현(테) 승 vs 패 최호선(테)
승자4세트 이카루스 김성현(테) 승 vs 패 정영재(테)

정말 재미있는 경기방식이죠. 1-5경기 승자끼리 다시한번 위너스리그형식으로 맞붙는 방식입니다.
정규리그에 적용하긴 좀 힘들지라도 포스트 시즌에서도 충분히 좋은 방식이라고 봅니다.

이 방식을 적용했을때 가장 큰 문제라면 역시 경기수입니다. 현재의 7전제와 위너스리그를 혼합한다면 6:6경기를 치른뒤에 위너스형식으로 진행해야하는데, 최소 6경기에서 최대 11경기라는 경기가 치뤄지게됩니다. 무시무시한 경기수죠.
하지만 팀당 54경기나 하는 1년여간의 정규리그를 하는데 이정도 규모의 포스트시즌이라면 큰 무리는 없다고 봅니다. (애초에 이정도 경기수를 치르는 리그치곤 포스트시즌이 단촐했었다고 봅니다)

물론 문제점이 있습니다. 티비시청하는 팬은 그렇다쳐도 현장관람하는 팬과 중계진이 정말 고생이 클것입니다. 그외에도 많은 문제점이 있을겁니다.


몇몇 문제점이 있음에도 저는 이제도를 열렬히 지지합니다. 현재 리그의 포스트시즌에 큰 불만을 갖고 있던 저한테는 정말 효과적인 대안이라고 보거든요.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p.s 제 생각에는 협회에서 이런점을 염두해두고 2군리그에서 시험해보고 있는 같네요^^ 간만에 마음에 드는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정제된분노
11/03/23 01:47
수정 아이콘
저렇게 5전후 위너스리그 방식을 채택한다면 이런 경우도 나올 수 있겠네요.

이영호 vs 상대편1 (KT승)
KT2 vs 상대편2 (상대팀 승)
KT3 vs 상대편3 (상대팀 승)
KT4 vs 상대편4 (상대팀 승)
KT5 vs 상대편5 (상대팀 승)

이영호 vs 상대편 2 (이영호 승)
이영호 vs 상대편 3 (이영호 승)
이영호 vs 상대편 4 (이영호 승)
이영호 vs 상대편 5 (이영호 승)

한사람이 다섯번 이겨야 하니까 지금 위너스보다는 올킬이 더 힘들어질듯 하지만... 그래도 KT가 제일 강해보이네요. 한명이 모든것을 뒤집을 수 있다는 면에서 그냥 위너스 + @라는 생각이 들어요.

물론 저야 위너스방식을 더 좋아하니 찬성이지만요.
아리아
11/03/23 01:57
수정 아이콘
만약에 한쪽팀이 1~5경기 다 이기면 어떻게 되나요
탱힘내
11/03/23 04:19
수정 아이콘
음...
생각해 볼만한 경기방식이군요.
위너스리그 방식의 장점과 프로리그 방식의 장점이 절묘하게 섞여있는 느낌입니다.
저 방식대로 현재 1군 즉 현재 리그에 적용한다면 정규리그가 현 7전 4선승제에서 9전 5선승제가 되겠군요,
물론 경기시간의 압박이 있습니다만, 그것은 경기 시작시간을 현재보다 30분 ~ 1시간 정도 앞당기면 됩니다.
저역시 글을 작성하신 헤나투님 말씀처럼 협회에서 나중에 리그에 적용시키기 위해
일종의 '시험' 하는 단계라고 생각됩니다.

분기점이 되는 5세트의 승자가 계속 다음 세트(현 위너스 승자연전방식)를 이어가는걸로 보이는데, 신선하네요.
뭔가 절묘합니다. 특색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런 생각은 해보지 않았는데 기발하네요,
물론 단점도 보입니다. 5 : 0 으로 끝날경우 위너스리그 방식은 100% 볼수가 없습니다.

물론 5 : 0 으로 끝날 가능성이 적긴 합니다.
하지만 프로리그 방식은 1 ~ 5세트에 배치되어 양 방송사에서 중계할때마다 100% 볼수 있는 반면,
6 ~ 9세트에 배치되어 경기순서가 안올지도 몰라 하염없이 기다려야하는 위너스리그 방식은 못볼 가능성도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5 : 1 이나 5 : 2 또는 5 : 3 의 세트 점수가 나올경우 위너스리그 방식은
달랑 1경기, 달랑 2경기, 달랑 3경기 밖에 못보는 안타까운 사태가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위 부분을 어떤식으로든 해결하지 못하면 정규리그로의 적용은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주어지는 기회가 다르다는건 생각보다 큰 문제입니다.

결론은...
현재의 혼합된 드림리그 방식은 다른 하나의 리그를 볼수 있는 기회가 더 적다는점에서 반드시 수정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현재의 비효율적인 비율(프로리그 4라운드, 위너스리그 2라운드)로 존재하며,
포스트 시즌도 따로 치루고 복잡한 면이 있는 현 프로리그 보다는 신선하고 괜찮다고 봅니다.

어쨌든 저런 혼합된 방식으로 하면 정규리그도 하나로 통일할수 있고,
포스트 시즌도 하나로 통일해서 더 위엄과 권위를 찾을수 있을듯 싶습니다.
11/03/23 04:20
수정 아이콘
프로리그와 위너스의 재미를 모두 섞어놓은 흥미로운 방식이기는한데, 약간의 문제가 있네요.

제가 보기에 두가지 정도 문제가 있는것 같습니다.
첫번째로는, 위너스에서 재미있는점중에 하나는 패한(상대적으로 불리해진)팀에서 정해진 맵에 맞는 종족으로 스나이핑카드를 쓸 수 있다는 점인데, 저렇게 되게되면 뒤에 승자 위너스방식을 하게 될 때 그러한 용병술이 전혀 없어져서 오히려 다음에 누가 나올까 하는 기대하는 즐거움이 사라진다는것이고요.

두번째로는, 패한 팀에서(상대적으로 불리해진)팀에서 스나이핑을 시도하기 때문에 종족상/대진상 유리함을 가지고 있어서 좀 더 박빙으로 만들어갈 수 있다는 즐거움이 있는데, 이것 또한 불가능해지네요. 다시말하자면, 전력이 떨어지는 팀이라고 하더라도 종족과 맵의 스나이핑을 통해서 경기 자체를 좀 더 박빙으로 이끌어갈 수 있다는게 스포츠의 성공에 정말 중요한 부분중에 하나인데 그러한것이 전혀 이루어질 수 없게되겠네요.

저러한 방식이 있구나 하는 정보 주신것 감사드립니다. 좋은것 배웠습니다.
11/03/23 06:09
수정 아이콘
1부리그에서는 힘들겠지만, 2부리그에서는 좋은 방식이라고 봅니다.
2부리그의 가장 큰 목적은 1부리그 주전에 쓸 선수를 발굴해내는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그것에 아주 적합합니다.

일단 많은 선수들에게 기회를 부여(5전제) -> 승리한 선수들의 경기력상승+눈에 띄는 선수들 발굴 (이후 위너스리그)
위에 재미있으라고 이영호 선수 예를 드신 분들이 계신데, 드림리그에서 갓이 나온다면 눈에 확 들어오겠죠.
그리고, 후의 위너스리그 방식에서 갓모드를 보여준 선수라면 1부리그에 올라왔을때 스토리 만들때도 좋을 것 같네요.
1부리그로 쓰기엔 경기수도 너무 많을 것 같아요. 그리고, 정규리그+위너스리그로 진행되는 1부리그에선 효용성도 없다고 봐야되구요.
하늘의왕자
11/03/23 09:17
수정 아이콘
다른건 다 차치하고
경기수가 너무 많습니다 무려 11경기라뇨...

현재 7경기제도..예전 5전제에 비해서 늘어난건데...
7경기도 시간이 2~3시간정도(광고 및 세팅 등 모든 소요시간 포함) 걸리는데..
11경기면 단순계산해도 5시간정도 생각해야되나요

집중도도 떨어지고 흡입력도 덜할것으로 생각됩니다.

어떠한 스포츠게임도 7전4선승제를 넘어가는건 보지를 못한것 같습니다.
승부란 단순하고 보는사람도 명쾌한게 좋다는게 의견입니다
11/03/23 10:00
수정 아이콘
경기 한 8시간 할듯...너무 길어요.
지아냥
11/03/23 11:07
수정 아이콘
흥미롭기는 한데.. 윗분들 말씀대로 경기가 너~무 많네요..
이건 하는 사람들도, 관중들도, 시청자들도 지칩니다.
11/03/23 11:59
수정 아이콘
말 그대로 드림리그니까 가능한 방식이죠 드림리그에서는 1세트부터 5세트까지 경기는 한꺼번에 10명의 선수들이 단체로 치룬다고 하더군요
플레이오프에서는 테테전 장기전 하나만 나와도 정말 총경기시간이 7시간을 넘어갈 확률이 매우 크고...
드림리그가 아닌이상 추천하고 싶지 않은 방식입니다
11/03/23 12:44
수정 아이콘
작년에 나왔던 의견과 비슷하네요.

1~4전은 프로리그 방식으로 경기하고, 여기서 승자거나 출전하지 않은 선수들이 5전째부터 다시 나오는 겁니다. 5전부터는 연승전.
그렇게 7전까지 하는 방식이죠.

본문에서 '경기수'가 문제라면, 이 방식이라면 7전4선승이기에 경기수 문제는 해결되겠죠.
전국수석
11/03/23 16:22
수정 아이콘
이거보다 저번에 위너스 방식에 관한 글인가에서 어떤 분의 댓글에서 보고 재밌을거 같다 생각했는데 (가칭)루저스리그는..어떨까요
이기는쪽이 포인트를 따지만 위너스와 반대로 패자가 계속 경기를 진행하고 앞 경기 승자팀에서 선수를 체인지 해야하는..
1명이 모든 것을 뒤집을 수 있는 위너스와는 반대로 1명이 팀의 패배를 만들 수 있는(너무 잔인한가요?)방식
선봉 올킬패를 당하면 엄청난 굴욕이겠지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4279 ABC마트 MSL 32강 F조 김윤환vs신노열, 정명훈vs김민철 (2) [308] 마빠이8081 11/04/18 8081 0
44278 ABC마트 MSL 32강 F조 김윤환vs신노열, 정명훈vs김민철 [310] 마빠이6307 11/04/18 6307 0
44277 색다른 올스타전 [26] 영웅과몽상가10569 11/04/17 10569 0
44276 10-11 신한은행 프로리그 올스타전 (4) [198] 마빠이8666 11/04/17 8666 0
44275 10-11 신한은행 프로리그 올스타전 (3) [231] 마빠이6818 11/04/17 6818 0
44273 10-11 신한은행 프로리그 올스타전 (2) [237] 마빠이6308 11/04/17 6308 0
44272 10-11 신한은행 프로리그 올스타전 [206] 마빠이7165 11/04/17 7165 0
44271 ABC마트 MSL 32강 G조 (3) [157] 마빠이7417 11/04/16 7417 0
44270 ABC마트 MSL 32강 B조 (2) [246] 마빠이6464 11/04/16 6464 0
44269 ABC마트 MSL 32강 B조 [353] 마빠이5823 11/04/16 5823 0
44268 프로리그 10-11 올스타전, 팀밀리 한번만 하면 안될까요? [20] 개념은?7635 11/04/15 7635 0
44267 양민이 뿔났다 장동민-유상무 VS 이영호 불판 [119] SKY9212742 11/04/15 12742 0
44266 윤용태 선수의 문제점 [15] 상상.7999 11/04/15 7999 0
44265 완벽했던 해설의 호흡 [25] Rush본좌9646 11/04/15 9646 0
44264 ABC마트배 2011 MSL 32강 개막전 E조 [238] 개념은?7586 11/04/14 7586 0
44262 ABC마트배 2011 MSL 32강 개막전 A조 [175] 개념은?7317 11/04/14 7317 0
44260 Tekken Crash Season 7 16강 조편성 [26] SKY927014 11/04/13 7014 0
44258 공군에이스 선전을 기대하며... [5] noknow5294 11/04/13 5294 0
44256 역대 양대리그 종족별 우승 횟수에 대한 개인 기여도 랭킹 [13] 개념은나의것9907 11/04/12 9907 0
44254 김택용 vs 이영호 포인트들 [34] 사람two9791 11/04/12 9791 0
44253 2011년 4월 둘째주 WP 랭킹 (2011.4.10 기준) [7] Davi4ever7103 11/04/11 7103 0
44252 스타1...앞으로도 기대가 되는군요. [10] lupin1888795 11/04/11 8795 0
44250 마이스타리그 개막을 기대하며 [12] 마빠이8218 11/04/10 821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