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10/07 01:08:15
Name 견랑전설
Subject 은퇴라니요 허.. 참
뭐 이래저래 불판올라온것 마냥 피쟐 게시판이 후끈후끈합니다
다른건 아니고 그냥 단어 하나가지고 한번 집어보고 싶어서 그렇습니다

"은퇴"

최근 양준혁 선수가 화려했던 21년 현역 야구선수 생활을 은퇴하셔서 마운드를 내려오셨고
뜻하지 않게 갑작스런, 아직은 창창한 김정우 선수가 프로게이머 생활을 접고 다른길을 모색하겠다며
은퇴를 선언했습니다.

그러면 다시한번 물어보고 싶어집니다. 이슈의 중심 이윤열선수 은퇴하셨습니까? 프로게이머 생활 안하십니까?
아니지 않습니까 아직도 매서운눈으로 400을 넘나드는 APM으로 키보드와 마우스를 조종하고 2차 GSL오픈 준비에
누구보다 열중일텐데 은퇴라니요, 무슨 그리 섭한 말씀을 합니까

누구의 함부로 내뱉은 망발이라도 그걸 다시 주워삼키는건 선수에게의 예의가 아닌듯 싶습니다. 저는 여전히 이윤열 선수가
현역 프로게이머이고 본인도 왕성한 연습으로 새로운도전을 받아들이고 있고 이글을 읽고있을 대부분도 그렇게 생각하는데
은퇴라는 단어를 올리는건 정말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자기가 보는 현미경만한 세계가 전부인 모 단체의 눈에는 그렇게 보일지 몰라도 여전히 이바닥에서 승부를 겨루고 있는데
그런 모욕적인 언사를 담은건 그 모리배들이 얼마나 옹졸하고 치졸한지를 증명하는 짓밖에 안됩니다.

한마디만 말하고 싶습니다.
은퇴라고 하지맙시다. 현역선수에게는 안될말 못할말 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10/07 01:06
수정 아이콘
케스파가 생기기 전에는 모르겠습니다만, 지금은 "프로게이머"라는 단어를 케스파가 독점해버렸으니까요.
지금 세상에 "프로게이머"는 "케스파가 인정하는 게이머"뿐입니다.
팬들은 게이머를 프로로 인정할 자격조차 잃은 거지요.
10/10/07 01:07
수정 아이콘
아니 은퇴라는 단어가 뭐 그리 잘못됐나요? 케스파 소속 프로게이머 자격을 뺏겼고 그것을 케스파에선 은퇴라고 표시했으며 그 뜻이 스타크래프트1 은퇴라면 잘못된것은 전혀 아닙니다. 이윤열선수의 오랜 팬이고 케스파를 예전부터 열심히 욕하고 있지만 실질로 이윤열선수가 게이머활동을 그만둔건 아니라도 어찌됐든 공식적으로 이윤열선수는 케스파소속 프로게이머로서 은퇴한게 맞는데 별것도 아닌 단어 하나에 너무 열을 내시는것 같네요. 오히려 논점이 이상한곳으로 옮겨갈거 같습니다만. 차라리 스타2를 뛰기 위해선 스타1 자격을 반납해야 하는 케스파의 이해할 수 없는 행태에 논점을 맞췄으면 좋겠습니다.
매콤한맛
10/10/07 01:16
수정 아이콘
그냥 스타1에서 은퇴라 생각하면 별문제 없을듯 합니다. 어차피 스타1 협회니까요
10/10/07 01:31
수정 아이콘
뭐 은퇴를 해야만 새로운 도전을 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 너무 안타깝네요. 그래도 다행이 퇴출,제명 같은 단어는 쓰고있지 않으니...
10/10/07 01:43
수정 아이콘
은퇴가 맞습니다.
이제 이윤열 선수는 DOG스파가 인정하는 프로게이머가 아닌,
우리 팬이 인정하는 '진정한' 프로게이머이니까요.
소년시대
10/10/07 01:56
수정 아이콘
은퇴라니요?
협회가 하는짓 보면 은퇴를 가장한
보복제명 같더군요
더러운 언론 플레이를 이용해서 이미지 실추나 하고 말이죠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죠
케스파가 한 만가지 악행에 비해 이정도 성토는 약과입니다
아직 멀었어요
10/10/07 02:13
수정 아이콘
프로게이머는 말 그대로, 돈을 받고 게이머 생활 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인데,
스타1은 프로고, 스타2는 아마추어라는 게 말이됩니까?

그럼 스타1 선수들 외에 피파, 워크 등 다 은퇴처리 해야죠. 이건 그냥 스타2를 e스포츠 종목으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건데,
이런상황에 블리자드한테 스타1 지적재산권 운운...블리자드가 바보라서 지적재산권 인정해주겠군요. 어이가 없습니다.
아리아
10/10/07 02:23
수정 아이콘
스타1에서 은퇴한 선수보고 은퇴했다고 하는게 이상한 건 아닌것 같습니다
은퇴했다고 해도 이윤열선수가 게임하는데 지장있을 거라고 생각이 들진 않네요
어차피 자기도 다 예상한 수순일테니까요

그렇다고해도 전 협회편 아닙니다
10/10/07 02:40
수정 아이콘
은퇴라는 말이 눈에 거슬리는건 단어 뒤에 숨겨진 더러운 의도가 느껴지기 때문일겁니다.

다른 종목도 아니고 스타1에서 스타2로 전공을 바꿨을때,, 여러분이 기자였다면 어떤 단어를 사용했을까요?
일반적으로 이런 상황에서 가장 쉽게 떠올리고 공감할 수 있는 단어는 '전향'입니다.
그럼에도 굳이 모든 것이 끝난 사람마냥 '은퇴'라는 단어나 '상금사냥꾼' 등의 불명예스런 단어를 남발하는건,
자신들의 기득권을 지키고 다른 길을 걸으려는 사람을 퇴물 혹은 고인취급하는 추잡스런 언플이니까요.
10/10/07 04:04
수정 아이콘
꼭 프로게이머여야 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아마추어라도 돈도 벌었고 보다 자유로운 환경에서 겜을하니...
이왕 이렇게 된거 상금헌터로 사는것도 나쁘지않다고 봅니다
10/10/07 08:54
수정 아이콘
솔찍히 5대본좌들이 있었으니까 이판이 유지되온겁니다...
안그랬으면 이미 한물간겜으로 치부되어 외국처럼 소수매니아만 존재할뿐 지금처럼 큰시장이나 리쌍택백은 나오지도 않았을 겁니다.
적어도 테란프로들의 적지않은수가 이윤열선수를 보고 테란프로게이머를 꿈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협회가 누구덕에 먹고 살았는지 진심으로 모르는거 같네요...
솔찍히 감사패라도 줬어야 하는 상황입니다.
The xian
10/10/07 09:40
수정 아이콘
어느 스포츠 협회가 이런 식으로 근본적인 문제를 생각하지 않아 이 판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입지를 불안하게 만들고.
불멸의 기록을 남긴 전설적인 선수의 은퇴를 발표하면서 업적이나 위업에 대한 협회나 구단 차원의 말은 일언반구도 없으며
(물론 위메이드는 선수를 존중해 줬고 전향이라고 발표한 것이지 은퇴라고 발표한 것이 아니니 별로 서운함은 없습니다.)
e스포츠 전문 기자나 언론에서는 고삐풀린 미친 망아지처럼 상금 사냥꾼이니, 후배와 팀을 배신했다느니 하거나
자기들이 스타크래프트2를 배척하는 것은 쏙 빼놓고 규정을 숙지하지 않아 프로게이머 자격을 잃었느니 하는 망발을 합니까.

역사를 무시하고. e스포츠의 격을 자신들이 떨어뜨리고, 오직 이윤열에 대해서만 이런 식의 푸대접을 하는 이 상황이 정상적인 것일까요.
몇몇 분들은 빠른 이름삭제 등등의 행동을 단순실수니 별로 문제삼지 않을 부분이니 하고 말하면서 너무 감정적이다 뭐다 하시는데.
KeSPA의 평소의 행태를 보면 그런 행동이 평소의 허술한 선수자격 관리와는 다르게 이례적이라는 것은 엄연한 사실입니다.
심지어 은퇴공시 및 이름가리기도 팀에서 통보가 없다느니 하는 안이한 소리나 하면서 제때제때 처리하지 않는 일이 다반사죠.
그런데 마치 승부조작자 영구제명하던 것처럼 유독 이윤열 선수에게만 즉각적인 이름가리기가 들어간 것은 자동화시스템이 아니라
엄연히 KeSPA의 손에 이루어진 것인데 이것을 어떤 의도가 없다고 보는 것이 더 이상한 것이 아닙니까.

거기에 데일리e스포츠나 스포츠서울의 이윤열 선수를 모욕한 기사는. 뭐 말할 것도 없는 쌀이 아까운 소리들이고요.
돌이켜보면 그런 식의 인간적 모욕은 이 판을 망가뜨린 승부조작자들에게도 하지 않았던 모욕입니다.
단지 전향을 이유로 이런 능멸을 당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적어도 e스포츠의 발전적인 무언가를 위해서가 아님은 알 수 있습니다.)

저도 감정적인 언사는 최대한 참고 있는 상황입니다만 이런 식의 상황은 이윤열 선수 팬이라면 도저히 용납이 안 되는 상황이지요.
감정을 있는 대로 푸는게 커뮤니티에서 할 일도 아니고. 지금 감정대로 글을 쓴다면 아예 등록이 안 될 겁니다.
죄다 욕필터에 걸릴테니까요.
서주현
10/10/07 10:09
수정 아이콘
감히 누가 누구를 더 이상 '프로게이머'가 아니라고 정한다는 건지...
협회가 개념을 가출시킨게 아니라면,이 판의 전설을 이런식으로 푸대접할 수는 없는 겁니다.
친 케스파 기자들이 이윤열을 '영예로운 프로게이머를 포기한 상금헌터'로 폄하했을때,협회는 어디서 뭘 하고 있었나요?
10/10/07 10:26
수정 아이콘
이윤열님은 케스파를 탈퇴하였습니다.
10/10/07 11:00
수정 아이콘
이승엽선수가 kbo의 한국프로야구에서 npb의 일본프로야구로 소속을 옮겼다고 kbo에서 '이승엽선수는 은퇴하였습니다'라고 말할수 있나요?
스타1에서 스타2로 종목을 옮긴다고 선수가 은퇴했다고 표현한다니 이건 케스파 스스로 자신들은 한국 스타1협회라는걸 인증하는 꼴밖에 안된다고 봅니다.
이참에 협회 명칭부터 바꾸기 바랍니다. 한국 스타1협회 좋잖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3399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시즌 1R 2주차 위메이드 vs KT // 공군 vs MBC게임 (3) [349] Gloomy10706 10/10/24 10706 0
43394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시즌 1R 2주차 위메이드 vs KT // 공군 vs MBC게임 [231] 이준용6126 10/10/24 6126 0
43381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시즌 1R2주차 삼성전자vs웅진 // SK텔레콤vs하이트 (2) [75] 이준용6237 10/10/23 6237 0
43357 Sony Ericsson Starcraft 2 OPEN Season 2 - 64강 5회차 #1 [373] kimbilly11303 10/10/20 11303 1
43322 Sony Ericsson Starcraft 2 OPEN Season 2 - 64강 1회차 #5 [271] kimbilly9569 10/10/18 9569 0
43309 [임요환 선수, 출전 D-Day] [48] 풍경9032 10/10/18 9032 0
43289 곰티비 측의 공식입장을 요청에 의해 게시합니다. [235] 항즐이22559 10/10/16 22559 44
43271 그래도 해보는 10-11시즌 팀별 프리뷰 [23] noknow7056 10/10/15 7056 0
43237 댓글잠금 흉악범이 인질을 잡고 경찰과 대치중입니다. [227] yangjyess14654 10/10/13 14654 1
43230 KT저그 김재춘,배병우 은퇴. 이스트로 드래프트 결과. [28] SKY928708 10/10/13 8708 0
43229 Starcraft 2 Team Invitational 8강 1일차(10/13) [261] 참글8277 10/10/13 8277 0
43203 GSL 시즌2 예선 3일차 불판 : 현장에서 중계하고 있습니다. [155] kimbilly23436 10/10/11 23436 1
43193 GSL 시즌2 예선 2일차 불판 : 현장에서 진행 합니다. #1 [219] kimbilly38256 10/10/10 38256 0
43190 이제 임요환선수도 기록 말소인가요?..( p.s 내용 추가) [64] Leeka16687 10/10/09 16687 1
43184 GSL 시즌2 예선 1일차 불판(예선 종료) [110] Leeka12180 10/10/09 12180 0
43180 협회vs블리자드가 아닌, 협회vs곰티비로 본다면 협회우세승 아닌가요? [29] naughty8346 10/10/08 8346 0
43165 은퇴라니요 허.. 참 [21] 견랑전설9593 10/10/07 9593 0
43164 긁어 부스럼을 만드는 데일리e스포츠의 이상한 행동 [20] The xian14511 10/10/07 14511 5
43159 케스파 대신 SK에게 책임을 묻는 것은 어떨까요? [5] 애이매추6127 10/10/06 6127 1
43158 [의문] KeSPA, 워3 선수들 국내 리그 없으니 GSL 예선 참여 허용? [54] kimbilly10507 10/10/06 10507 3
43155 [의문] 왜, 무슨 이유로 '이윤열'의 이름만 가려 버렸을까요. [113] The xian28546 10/10/06 28546 7
43149 협회의 프로게이머란 것을 이해할수가 없습니다. [49] 그랜드파덜7081 10/10/05 7081 0
43141 어쩔 수 없는 아이러니, 어쩔 수 없는 얄팍함 [23] The xian8899 10/10/05 8899 2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