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9/11 21:28:40
Name SKY92
Subject 1년전의 이영호팬들의 심정......
정말 작년생각만 하면 암울한 생각만 듭니다.

이영호팬 입장에서는요......


당시기준으로 2년연속 다승왕을 차지했으나 개인리그는 번번히 16강쯤에서 무너지고......

프로리그에서 양학용 테란이다.... 소년 백수다.

우승 1회 한거는 오래된 기록이라 평가받고......

팀은 희망고문질을 하고......

정명훈선수가 그사이에 테란원탑자리로 치고올라와서 이영호선수를 위협하고..... 특히 광안리 결승전때 MVP를 타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라이벌인 이제동선수도 골든마우스까지 획득하면서 저멀리 달아난 상태.

과연 저걸 언제쯤 따라잡을수 있을까,

진짜 봄이 오긴 오는건가 라는 생각도 들었고,정말 슬픔으로 가득찼던 1년이였죠.

그리고 09~10 시즌 직전 스토브리그, 그동안 무슨일이 있었던걸까요,

이후로 정말 각성한 모습을 보여주기 시작합니다.

각성 이영호초기만 하더라도 테란전과 저그전은 정말 언터쳐블 포스였는데 토스전이 약점이라 평가받았었죠.....

근데 도재욱선수를 3:0으로 잠재우면서 그것마저도 보완해버리고,

이후에 첫번째 양대 동시 결승에서 이제동선수랑의 경기에서 정말 불의의 사고로 인해 리쌍 서로에게 상처만 남았던 결승전이 일어났는데,

그것을 이겨내면서 위너스리그에서 다시 언터쳐블 포스 뿜어냈고요.

그리고 2번째 양대리그 결승전에서 이번에는 김정우선수에게 불의의 역스윕을 당하고.....

이제동선수를 잡긴 했으나 3번째 양대리그가 펼쳐지기 직전 프로리그 에이스 결정전에서 계속 부진하기 시작하면서 이영호도 슬럼프가 있긴 있구나 라고 생각했었죠.

근데 팀이 광안리 결승 직행하고 잠깐의 휴식기동안 또 무슨일이 있었던건지.....

다시 부활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광안리 결승전에서 KT 창단 최초의 프로리그(위너스 제외) 우승을 이끌기도했고요,

WCG국가대표 선발,

그리고 3번째 도전만에 드디어 양대리그 동시 우승에 골든마우스까지.


이선수는 대체 어디가 한계인지 진짜 궁금해질 지경입니다.


올해 이영호선수의 성적을 보시면....

134전  101승   33패   75.3%

테란전 : 34승 14패 (70.8%) 프로토스전 : 32승 5패 (86.5%) 저그전 : 35승 14패 (73.4%)


공식전만 추린건데 정말....

1년안에 저정도의 기록을 쌓았다는게 정말 경이롭네요.


정말 작년에 팬들이 느꼈던 그런 비통한 심정을 보상을 넘어서 이자까지 듬뿍 안겨주는군요.


이런선수의 팬이라는게 정말 자랑스럽네요 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9/11 21:25
수정 아이콘
제가 리쌍을 보고 느낀건대...

올라갈 사람은 올라가는거 같더군요..;;

한때 택보다 커리어 뒤쳐졌었는데 ㅠ ㅠ
10/09/11 21:25
수정 아이콘
댓글달려고 보니 글쓰기점수가 145169.. 우와 하다가 할 말을 잊어버렸네요.
이게 사람이야 이대호야 이영호야..
어느멋진날
10/09/11 21:30
수정 아이콘
이영호 선수 팬인게 너무 행복한 스타팬입니다 흐흐. 근데 이러다 우리 이영호팬만 남는거 아닐까 하는 우려아닌 우려도 들정도네요. 구 KTF팬부터 시작한 저로서는 이런 최강 선수가 팀에 있다는게 더욱 흐뭇하고요.
대구청년
10/09/11 21:30
수정 아이콘
뻘플이지만 스카이님의 글쓰기 점수또한 이영호선수 포스에 못지않네요... 덜덜;;;
10/09/11 21:32
수정 아이콘
저는 작년보다 올해 온풍기 이후가 더 슬펐던 것 같습니다.

결국 5전제에서 이제동을 넘을 순 없지 않느냐라는 말부터 시작해서 김동수테란이란 말, 포스도 최연성 넘으려면 아직 멀었다 등등

모든 면에서 이영호 너는 아직 '시기상조'라는 분위기였는데...

2연속 결승진출을 하면서부터 뭔가 잘 풀리기 시작하더니 결국 3수만에 양대리그 우승을 해버리네요.

정말 자랑스럽고 팬을 행복하게 만들 줄 아는 선수입니다. 그러고보니 이윤열선수로부터 최고연봉도 이어받았네요~!

스타1만 지속된다면 케스파 최장기집권 기록도 충분히 깰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술만잘먹더라
10/09/11 21:31
수정 아이콘
근데....오늘 진심으로 경기가 흥미가 안가더라고요 - -; 애정이 식었나. 넷마블의 서x어택만 주구장창하고 결과만 확인했네요...예전보다 인기가 식어가고 팬으로써의 제 열정도 식어갈때 동네사람 이영호선수가 잘해주니 참 ..... 빨리 프로리그 개막해서 다시 스타1 리그 활기좀 !!
sHellfire
10/09/11 21:32
수정 아이콘
e스포츠판 인간성공의 표본이네요...ㅠㅠ 그저 자랑스럽습니다!
10/09/11 21:32
수정 아이콘
오랜 KT 팬인데
정말 KT에서도 최강의 테란이 나왔다는 것에 너무 기쁩니다.
SKT의 최연성 선수가 전성기를 구가할때 맨날 속수무책으로 플레이오프에서 졌던거로 기억하는데
그때 항상 우리 팀에도 저런 강력한 테란 선수가 있었으면 하고 바랬는데
그걸 뛰어넘는 스타 역사상 최강의 선수를 가지게 되었군요...
10/09/11 21:33
수정 아이콘
진심으로 이영호 선수가 너무 잘하니까

스타의 볼맛이 떨어지는것 같습니다.

정확히 이야기하면 이제동은 이영호에게 안됩니다.

오늘 경기보고 확실히 깨달았습니다.

케스파 랭킹 1위와 2위의 넘을수 없는 차이,

그리고 이영호와 이제동의 차이를 오늘 경기에서

빅파일배이후로 더욱 명확히 보여주었습니다.

이제동은 운영으로 빅파일 3경기 투혼이전 이후로 이영호에게 운영으로 이긴 경기가 기억이 나질 않습니다.

이제동 선수 팬분들께는 죄송하지만 이영호가 확실히 더 높은 레벨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이제동의 네버다이가 없어지는건 아닙니다만.

오늘 보면서 이영호의 독주가 오히려 스타팬을 떨어트리게 돼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아닌 우려를 해봅니다.
10/09/11 21:34
수정 아이콘
팬의 입장에서 보니면 오늘 경기 하나하나 재밌었습니다..크크
이영호 선수 팬인게 다행이라는 생각을 합니다.
맥쿼리
10/09/11 21:36
수정 아이콘
지금 제 심정은 아주 옛날 천원짜리 주식을 하나 샀는데, 그동안 수많은 풍문과 굴곡을 지나 오르고 올라서 이젠 팔아야지 팔아야지
하면서도 그냥 쭉 홀딩했는데, 어느새 100만원짜리가 되어버린 느낌입니다. 극외가가 결제된 상황;;
아나이스
10/09/11 21:36
수정 아이콘
이영호 선수 축하드리고 팬분들도 축하드립니다.

근데 솔직히 빨리 누가 독주좀 막아줬으면 좋겠습니다. 송병구가 됬건 갑자기 돌아온 택신이 됬건 인간본좌 정명훈이나 김정우라도.
10/09/11 21:37
수정 아이콘
7월 14일날 아발론 엠에셀 16강에서 한상봉선수에게 떨어지는거 보면서

'아 제발 결승이 아니라 4강이라도 갔으면 좋겠다'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 1년 사이에 4회 우승을 추가 시켜버리네요.

아 정말 좋네요.
개념은?
10/09/11 21:37
수정 아이콘
92님이 이영호 팬이였다니 후덜덜 몰랏네용 크크
잔혹한여사
10/09/11 21:37
수정 아이콘
이영호 선수 팬질하면서 많은 일이 있었죠..

박카스 우승 이후.. 임의 향기가 난다느니 이기는 것에만 집중한다느니.. 말도 안돼는 걸로 까고..

그래도 좋았습니다.

이선수는... 자신감이 충만해 보였고 기대가 되었으니까요.

2009년 참.. 16강 테란이란 소리듣고.. 마음이 안좋았습니다. 결승 올라가도 더 올라갈 선수였는데..

이제동 선수 라이벌이라고 하기엔 성적이 좋지 않았고.. 택뱅리쌍에 들어간 것 하나로 만족해야 했던 시기..

2010년 양대 결승 올라가고 드디어 포텐 터지나 싶었는데... 온풍기 사건 때문에 참;;;

심판도 미웠고... msl을 정말 싫어하게 되었습니다만, 좌절하기는 커녕 더 좋은 성적으로 기대에 응해주는 선수.

올해 좋은 일이 많았었는데.. 그중 하나가 이영호 선수의 성적도 포함이 되었어요.

정말 최고의 선수입니다. ㅠㅠ
아나이스
10/09/11 21:39
수정 아이콘
솔직히 이제 이영호는 스타판에선 비교할 사람이 한명정도밖에 없는거같고 장재호랑 비교해야 할거 같네요..
10/09/11 21:39
수정 아이콘
이런 글들을 볼때마다 항상 써왔던 댓글이었는데,
2009년 7월 13일, 2패로 16강 탈락이 확정되었던 이영호 선수가 김정우 선수에게 센터배럭을 시전했을때,
이영호 선수의 부활을 느꼈었습니다. '안정적으로만 하면 무조건 이겨' 이 마인드를 버린 것으로 보였거든요.
10/09/11 21:42
수정 아이콘
정말 데뷔 때부터 이영호 선수를 봐왔지만, 2008년 제1의 전성기 이후로 기대하고 실망하고를 반복하다 보니 (거기다 KT의 희망고문도 너무 처절해서) 2009년에는 아 이영호 선수가 이 정도의 그릇이구나 하고 포기한 적도 있었습니다..올해는 정말 그 마음이 미안해지기까지 하는군요. 정말 이런 선수를 오랫동안 응원한 것에 보람을 느낍니다.
10/09/11 21:42
수정 아이콘
온풍기와 김정우전 이후로 완전 각성 한거 같았습니다
그뒤로 날빌이 안 나와요 결승전에서;;
완전연소
10/09/11 21:43
수정 아이콘
옛날옛날에 이영호 선수가 커리어로 까일때 제가 항상 했던 말이 있죠.

이영호 선수는 너무 빨리 우승을 해서 그렇지 아직 포텐도 터지기 전이라고 했는데...
2010년 올해 드디어 포텐이 터진 모습입니다.

기왕이면 WCG까지 우승해서 정말 유종의 미를 거두었으면 좋겠네요.
피트리
10/09/11 21:55
수정 아이콘
소년가장 ㅠㅠ
그시절엔 게임도 거의 안보고 누구의 팬도 아니라 이영호선수 보면서
저선수는 잘하는데 왜저렇게 운이 없을까? 팀만 잘만났어도 몇번은 우승할것같은데...

라고만 생각했다가 이영호선수 팬이되고
점점점 발전하는 모습을 보니깐 정말 기뻐요

네이트msl 은 결과만 알고있는데 워낙 충격적이고 트라우마가 되어서...
음 이제는 vod 볼수 있을거같기도 하네요
그랑엘베르
10/09/11 22:03
수정 아이콘
작년은 정말... 암울했지요.
프로리그에서 다승왕까지 했는데 폴옵도 못가고, 정작 개인리그는 4강문턱도 못가보고...
내가 응원하는 어린소년이 고개 떨구는 모습을 볼때마다 얼마나 가슴이 미어졌는지 모릅니다.
잘나간다는 택뱅리쌍중에서도 커리어 딸린다는 글 볼때마다 또 얼마나 속상하던지..
정말 올해처럼 이렇게 화려하게 성적을 낼줄은 상상도 못했는데.. 너무 장하고 기특합니다ㅠㅠ
데프톤스
10/09/11 22:08
수정 아이콘
저는 다른 순간보다.. 테란 원탑논쟁때가 제일 가슴 아팠죠..
이영호 선수 본인도 신경 많이 썼던거 같은데..
정말 이 선수 팬하기 잘한거 같습니다..
정말 다양한 경험을 주거든요
10/09/11 22:22
수정 아이콘
작년인가요. 정말이지 양대는 백수고 팀은 캄캄하고;;;
이팀에서는 아무리 이선수라도 여기까지가 한계겠다 했던 순간 순간들.
그래도 혼자 열심히하는 선수믿고 팀 응원했고
나중에는 득도한 날 믿고 열심히 응원하라는? 영호선수 따라 여기까지 왔네요. 크크~
오늘 정말 커보입니다. 예전에 응원했던 그 선수 맞나 싶을 정도로 말입니다..
10/09/11 22:52
수정 아이콘
이영호 본인이 첫우승 후 자신의 그릇을 너무 크게 봤던 것을 후회한다는 인터뷰를 어디서 본 것 같은데, 그래서 자만심버리고 확 달라져서 이번시즌을 시작한 모양이더라고요. 목표를 잡고, 타인에게서 배울점은 확실히 배우고, 한가지에 매진하면 나머지는 다 접을 수 있는 의지....그 나이때의 저와 비교하니....만약 그 때 이영호선수의 팬을 했으면 자극받아서 시험성적이 좀 더 좋았겠다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하나린
10/09/12 01:29
수정 아이콘
아.... 정말 그동안 홍진호선수를 필두로 한 KT 선수들 팬으로 있으면서 겪었던 서러움을,
이 선수 하나로 다 풀어가는 느낌인것 같네요ㅠㅠ 요 근래들어 다시 예전 글들을 찾아봤는데 정말 그 시기는 다시 떠올려도 암담 그 자체.
이렇게 좋은 일들이 있으려고 그랬나봅니다ㅠㅠ
Han승연
10/09/12 01:47
수정 아이콘
사랑한다 영호야 수고했다 영호야 ㅠㅠㅠㅠ
냠냠21
10/09/12 12:51
수정 아이콘
우와.....진짜 글이랑 코멘트수대박.........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3014 카운터-스트라이크 9월 3주차 중간 주요소식 epersys4105 10/09/16 4105 0
42999 원종욱 전 위메이드 수석코치, 스타2 게임단 ‘STARTALE’ 결성 [19] 물의 정령 운디7627 10/09/15 7627 0
42922 1년전의 이영호팬들의 심정...... [44] SKY927009 10/09/11 7009 3
42900 투신 박성준 선수의 스타크래프트2 전향에 대한 공식 기사가 나왔네요 [35] 바나나우유8954 10/09/10 8954 0
42868 본격적인 기업스폰 받는 스타 2 팀이 생겼군요 [60] 아유10186 10/09/06 10186 0
42864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어머들의 전향 문제, 2군 선수들에 대한 처우 개선 문제, 과연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160] 물의 정령 운디12507 10/09/05 12507 1
42858 왜 프로팀이 존재해야 하냐구요? [141] 담배상품권8777 10/09/05 8777 3
42853 E-Sports.....? 게임은 그저 게임일 뿐이였나.... [36] 개념은?6469 10/09/05 6469 5
42811 모든 칼자루는 CJ가 쥐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2] 凡人5173 10/09/03 5173 1
42779 요즘 스타판의 흥미를 잃어가는 사람이 저뿐일까요.. [60] 얄구지인8142 10/09/01 8142 0
42703 스타크래프트 리그 관련 상식 퀴즈 (1) - ~2005년 [21] 콩쥐팥쥐5650 10/08/27 5650 0
42612 묘원(渺遠), 이영호 [30] DEICIDE8518 10/08/21 8518 15
42483 09-10시즌 신한은행 프로리그 결승전 감상. [19] ROKZeaLoT5473 10/08/08 5473 0
42443 기업 게임단이 왜 생겨났을까? [62] noknow8035 10/08/07 8035 1
42331 2010년 7월 넷째주 WP 랭킹 (2010.7.25 기준) [10] Davi4ever5687 10/07/26 5687 0
42298 [시즌리뷰] 한마디로 정리하기 힘든 09-10시즌 CJ엔투스 [5] noknow4744 10/07/22 4744 0
42209 최종 포스트시즌 구도가 나왔네요 [21] SKY925371 10/07/13 5371 0
42201 위메이드의 가능성 2 [17] 빵pro점쟁이4828 10/07/12 4828 0
42154 공군에이스의 경기력이 살아난 것 같아서 매우 기쁩니다. [21] Winter_Spring7507 10/07/04 7507 0
42054 거듭되는 에이스결정전 패배.. 용병술의 문제 [25] 위너스클럽8087 10/06/19 8087 0
42036 스타크래프트2 월드 리그, 재미있을 것 같지 않나요? [16] 물의 정령 운디5719 10/06/15 5719 0
41992 블리자드와 대한항공의 파트너쉽, 그리고 갈수록 의문이 더해져가는 양대 방송사와 그래텍의 진정한 관계에 대한 고찰. [5] 물의 정령 운디4400 10/06/10 4400 0
41989 공군 에이스팀 해체할지도 모르겠네요 [44] 에헤라디여11124 10/06/10 1112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