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9/11 01:55:20
Name 쎌라비
Subject 소박한 나의 스타 입문기
때는 98년 이였던가요??? 제가 중학교 시절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저는 여느 또래와 다르지 않는 까까머리 중학생이었고 그 시절의 중학생들에게는 pc게임 못지 않게 오락실의 아케이드 게임도 인기가
많았었습니다. 저 뿐 아니라 제 주위 친구들의 일과 중 하나는 방과 후 학원가기 전까지 남는 시간동안 오락실에서 스트레스를 푸는
일이었죠. 킹오파는 그 당시의 적은 용돈으로 즐기기에는 너무 짧은 게임이라 전 항상 그 게임을 길게 즐기기 위해 최선을 다했습니다.
컴퓨터를 클리어하는데도 한 팀당 5게임을 챙기기 위해 일부러 컴퓨터에게 져주면서 2대2 상황까지 연출하고 잘하는 친구가 듀얼이라도
신청할 경우에는 멱살이라도 잡으려고 반대편 오락기로 뛰어나갈 정도였죠.  

  그렇게 듀얼을 피하다보니 자연스레 실력이 늘지 않게 되고 또  모르는 사람 멱살을 잡을순 없는터라 모르는 사람에게까지 지는건
어쩔수가 없더군요. 당시의 킹오브는 정말 인기게임이었던 터라 모르는 사람들도 듀얼을 자주 신청해서 제가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시간은 점점 더 줄어만 갔습니다.

그렇게 힘겨운 오락실생활중에 전 던젼드래곤2라는 보물을 발견하게 됩니다. 조금의 연습과 패턴만 안다면 단 돈 100원으로도 무려
1시간 30분 가까운 타임을 플레이 할 수 있는 엄청난 그 게임을 말입니다. 물론 백원만 있다면 무한으로 즐길 수 있는 달리기 게임이
있긴했지만 전 그 게임에는 영 소질이 없었거든요. 패배하면 양변기로 상대방을 흘려보내버리는 게임인데 기억이 잘 안나네요.  아무튼
전 그 던젼드래곤2라는 혁명적 게임을 만나게 되고 그 게임을 하면서 킹오브로 적자를 봤던 저의 재정이 흑자로 돌아서기 시작합니다.

그렇게 던젼드래곤으로 오락실 컬쳐를 즐기던 저에게 한 친구가 다가오더군요.  그 친구는 워크래프트 만든 회사에서 나온건데 정말
재밌고 후회안할거라면서 저에게 스타크래프트 구매를 권유하더군요. 전 그 친구에게 삼국지나 살것이지 이상한 게임샀다고 또 차라리
그돈으로 던젼드래곤을 친구들과 했으면 두달은 했겠다고 면박을 주고 철저히 외면했습니다. 그 친구는 저 말고도 다른 친구들에게 스타
크래프트를 권유하고 다녔으나 친구들 사이에서는 시디잘못사고 재밌는척 하는 불쌍한 친구로 낙인찍히고 말았습니다.

그리고 몇 개월 후 전 제 자신의 무지함에 대해 제 친구에게 사과하고 맙니다. 그 일이 있은 몇개월 후에 저희 동네에도 드디어 게임방이라
는 선진문화가 들어오게 됩니다. 1시간에 1,500원이라는 무지막지한 가격(1,500원이면 던젼드래곤을 24시간 할수 있는 돈)에도 불구
하고 저와 제 친구들은 호기심에 pc방이라는 곳엘 가게 되고 그 곳에서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을 만나게 됩니다. 단 돈 1,500원을 들고
가서 딱 한시간 게임을 했는데도 제 머릿속에서는 그 게임이 떠나질 않더군요. 마치 당구에 빠져들때의 그 느낌처럼 말이죠. 흔히 말하는
가성비(가격대성능비)로는 오락실을 게임방이 따라올 수 없는데도 불구하고 전 저도 모르게 게임방에 빠져들게 됩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스타크래프트에 말이죠. 그리고 저와 제 친구들은 그 게임방에서 외면당했던 스타크래프트 전도사 친구와 7대1로 붙게되지만 핵 스물일곱
방을 맞고 항복하고 말았습니다. 그 친구의 의기양양한 얼굴이 아직도 떠오르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검은창트롤
10/09/11 02:17
수정 아이콘
킹오파 94때는 팀을 만들어서 인근지역 오락실을 돌며 고수들을 찾아다녔었는데...
나이먹으니 이젠 손발이 안따라주네요.
고로/랄프/클락 무한잡기 버그부터 1p 하이데른 피빨기/김갑환 한방에 보내기 버그, 2p 킹 버그 등등 버그가 넘쳐나던 킹오파 94 크크크
용호의권, 킹오파94 95, 월드 히어로즈 시리즈 등은 수십연승도 해보고 멱살도 잡혀보고 근처 여학교 학생한테 연패도 당해보고 참 추억이 많네요.
10/09/11 02:14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아아 스타는 좋은 게임이었습니다.
10/09/11 10:55
수정 아이콘
오락실보다 시간당 드는 돈이 열배가 넘는데 스타 하러 우르르 몰려가던게 생각나네요
스타는 좋은 국민게임이었습니다
10/09/11 14:57
수정 아이콘
Chir님// 97년 부산 PC방이 2500원했었는데...
그렇게 생각하면 열배가 넘기는 한듯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6033 생명마저 앗아간 죽음의 '온라인게임' [43] 허저비9913 11/12/23 9913 0
45203 이제 정말 끝인걸까요?(끝이 아니리라 믿습니다...하지만) [44] 새강이6249 11/08/07 6249 0
44534 e-sports는 더 이상 한국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23] Nsse10604 11/06/01 10604 16
42907 소박한 나의 스타 입문기 [5] 쎌라비5135 10/09/11 5135 0
42782 스타1의 조작 이제 끝난것일까요??????? [25] 게임균형발전8124 10/09/01 8124 0
41513 사과문은 올라와야 한다, E-Sports는 계속되어야 하니까. [12] 비내리는숲4063 10/05/19 4063 0
40902 관련자들의 추방과 영구제명을 요구합니다. [25] 언덕저글링8286 10/04/13 8286 1
40304 2006 - (5) CJ 슈퍼 파이트 [9] 彌親男5725 10/02/08 5725 2
36608 좋아하지 않아도 미워하진 말자.. [7] TaCuro4053 09/01/12 4053 0
34822 8차 카트리그 정리/ITBank 김진용을 떠나보내며 [14] 파르4702 08/05/27 4702 0
33791 곰 TV 인비테이셔널에 대한 기대감. [6] 8145184 08/01/28 5184 0
31389 내가 소장하고 있는,소장 했었던 스타크,프로게이머관련 서적~! 여러분들은?? [18] 창이♡4426 07/07/06 4426 0
30008 언론계에 몸 담고 있는 사람으로서.... [5] paramita4362 07/03/10 4362 0
28182 20대들에게... [65] StaR-SeeKeR5771 06/12/21 5771 0
27453 서지수와의 대결을 거부한 4명의 선수에게 제가 고개를 못들겠군요. [63] 김호철8970 06/11/26 8970 0
27440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서른아홉번째 이야기> [12] 창이♡3882 06/11/25 3882 1
27179 카운터스트라이크 피씨방 아르바이트의 추억 [12] Lunatic Love5077 06/11/17 5077 0
26429 유게의 '부인에 대한 남편의 답변'글에 대한 사소한, 정말 사소한 반론. [124] 진리탐구자5194 06/10/22 5194 0
26358 LSC(여성부 스타리그) 8강 1주차 - 누가 그들을 막을 것인가 [19] BuyLoanFeelBride5442 06/10/18 5442 0
26349 [픽션]raDIO StaR ② [4] [NC]...TesTER4014 06/10/17 4014 0
26137 라디오 스타 이윤열 (군데군데 살짝스포일러인가요;) [9] 해원4433 06/10/06 4433 0
25246 여러분 감성의 8할을 키운 가수는 누구입니까? [92] 날개달린질럿5256 06/08/28 5256 0
24816 스타크래프트를 하고,보면서 배운것이 있다면?? 많지요-. [22] 어머니사랑해4088 06/08/04 408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