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8/22 18:14:08
Name 개념은나의것
File #1 WCG_2009_이제동.jpg (134.1 KB), Download : 31
Subject 역대 WCG 스타크래프트 결승 결과 및 대한민국 대표 성적






♣ 역대 WCG 스타크래프트 결승 결과 및 대한민국 대표 성적 ♣


원문: http://cafe.naver.com/fafostar/201


* 전신(前身) 대회도 포함함.
* 관련 글: 개념은나의것,「주요 개인리그 역대 결승 결과 정리」, 2007, http://cafe.naver.com/fafostar/196



Ⅰ. 역대 WCG 스타크래프트 결승 결과
 ο 결승 시리즈 전(全) 세트를 동일 종족으로 치르지 않은 선수의 종족은 기타(R)로 분류함.
 ο 승자조 어드밴티지가 스코어에 반영된 경우 적용하여 기재함.
 ο 일자는 현지 표준시를 기준으로 함.
 ο '대회 순번. 대회명 - 우승자(종족) : 준우승자(종족) - 스코어 - 결승일 - 개최 도시' 서식 기재.


pre. WCGC 2000 - 박태민(Z) : 장일석(Z) - 2:1¹ - 2000.10.15 - 대한민국 용인
 1. WCG 2001 - 임요환(T) : 베르트랑 그로스펠리에(P) - 2:0² - 2001.12.09 - 대한민국 서울
 2. WCG 2002 - 임요환(T) : 홍진호(Z) - 2:0³ - 2002.11.03 - 대한민국 대전
 3. WCG 2003 - 이용범(Z) : 프레드릭 카이텔(R) - 2:1 - 2003.10.18 - 대한민국 서울
 4. WCG 2004 - 서지훈(T) : 전상욱(T) - 2:0 - 2004.10.10 - 미국 샌프란시스코
 5. WCG 2005 - 이재훈(P) : 안드레이 쿠키아니제(T) - 2:0 - 2005.11.20 - 싱가포르
 6. WCG 2006 - 최연성(T) : 박성준(Z) - 2:1 - 2006.10.22 - 이탈리아 몬자
 7. WCG 2007 - 송병구(P) : 샤쥔춘(P) - 2:0 - 2007.10.07 - 미국 시애틀
 8. WCG 2008 - 박찬수(Z) : 송병구(P) - 2:0 - 2008.11.09 - 독일 쾰른
 9. WCG 2009 - 이제동(Z) : 송병구(P) - 2:1 - 2009.11.15 - 중국 청두






Ⅱ. 대한민국 대표 성적
 ο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의 진행(WCGC 2000, WCG 2001, WCG 2002)에서 탈락한 선수의 성적 표기는 다음에 준함.
  - 패자 8강 1라운드 탈락=16강, 패자 8강 2라운드 탈락=12강, 패자 4강 1라운드 탈락=8강, 패자 4강 2라운드 탈락=6강, 패자 준결승 탈락=4위, 패자 결승 탈락=3위.


pre. WCGC 2000
  · 박태민(Z) - 우승
  · 장일석(Z) - 준우승
  · 창석준(Z) - 4위
  · 박상규(T) - 미상¹¹

 1. WCG 2001
  · 임요환(T) - 우승
  · 박태민(Z) - 3위
  · 최수범(T) - 조별 리그
  · 조정현(T) - 조별 리그

 2. WCG 2002
  · 임요환(T) - 우승
  · 홍진호(Z) - 준우승
  · 한웅렬(T) - 12강
  · 박경락(Z) - 12강

 3. WCG 2003
  · 이용범(Z) - 우승
  · 나도현(T) - 4위
  · 강도경(Z) - 16강

 4. WCG 2004
  · 서지훈(T) - 우승
  · 전상욱(T) - 준우승
  · 이재훈(P) - 8강

 5. WCG 2005
  · 이재훈(P) - 우승
  · 나도현(T) - 8강
  · 서지훈(T) - 16강

 6. WCG 2006
  · 최연성(T) - 우승
  · 박성준(Z) - 준우승
  · 전상욱(T) - 3위

 7. WCG 2007
  · 송병구(P) - 우승
  · 진영수(T) - 8강
  · 마재윤(Z) - 8강

 8. WCG 2008
  · 박찬수(Z) - 우승
  · 송병구(P) - 준우승
  · 이제동(Z) - 8강

 9. WCG 2009
  · 이제동(Z) - 우승
  · 송병구(P) - 준우승
  · 김택용(P) - 3위



[註]
¹ 승자조를 통해 올라온 박태민에게 스코어 1점의 어드밴티지 부여.
² 승자조를 통해 올라온 임요환에게 스코어 1점의 어드밴티지 부여.
³ 상동(上同).
¹¹ 32강에 들었으나 8강에 들지 못한 것으로 알려짐.

종합 작성: 개념은나의것 http://cafe.naver.com/fafostar








- WCG 2010 대한민국 대표: 이제동(Z), 이영호(T), 김구현(P)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he Drizzle sold out
10/08/22 18:21
수정 아이콘
전승준...
Kristiano Honaldo
10/08/22 18:28
수정 아이콘
이제동은 역시 승리의 화신...

기분 엄청 좋아보이네요
10/08/22 18:31
수정 아이콘
wcg인데 송순신이 없다니.. 그래도 토스하나 올라간건 다행이네요. 으흫
릴리러쉬
10/08/22 18:36
수정 아이콘
아 이윤열..
10/08/22 18:39
수정 아이콘
송순신이... 진짜 아깝네요..... ㅠ_ㅠ
TheUnintended
10/08/22 18:42
수정 아이콘
이영호 선수 전세계에 flash 한번 쏴봅시다~!
*짱구*
10/08/22 18:47
수정 아이콘
05년과 07년 wcg가 참 짜릿했지요.

믿었던 선수들의 조기 탈락으로 금메달을 놓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이 팽배한 가운데 파파곰과 송순신의 대활약!

그나저나 다시 기록을 살펴보니 07 송병구가 참 돋보이네요. 8강에서 탈락한 두 놈이...

그런데 이번 wcg어디에서 하는지 아시는분? 예선이 시작한지 한참됐는데 아직 어디서 개최하는지도 모르고 있었네요.
10/08/22 18:53
수정 아이콘
이용범 선수는 아마추어 신분으로 우승한겁니까?
TheUnintended
10/08/22 19:07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05년 이재훈 선수 우승이 가장 짜릿했네요
10/08/22 19:14
수정 아이콘
03년때는 이용범선수가 어떻게 국대로 선발된건지 궁금하네요;; 거기서 우승까지;;
snookiex
10/08/22 19:56
수정 아이콘
오래되서 기억이 가물가물한데
예선은 아마추어끼리 해서 몇명을 뽑아서 프로들과 함께 지금처럼 예선전을 치뤘던걸로 기억합니다.

이용범 선수는 우승 당시 아마추어였구요.
10/08/22 20:28
수정 아이콘
2002년 2003년에는 팀플레이 부분이 있어서 한웅렬, 박경락 / 강도경, 나도현 선수 조합이 금메달 땄습니다.
10/08/23 15:08
수정 아이콘
나도현선수의 쌈바사건이 기억에 남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2707 [차기 프로리그 협상 소식]차기 프로리그 '불투명'.. 협상 난항 [71] 물의 정령 운디7958 10/08/27 7958 0
42706 스타크래프트 관련 리그 퀴즈 (1) 정답 및 문제 오류 공개 [4] 콩쥐팥쥐6069 10/08/27 6069 0
42705 이영호 선수의 양대리그 우승을 기원합니다. [30] TheUnintended6763 10/08/27 6763 0
42704 곰티비 스타2 공성전 김원기 선수 경기 감상문. [19] ipa6932 10/08/27 6932 0
42703 스타크래프트 리그 관련 상식 퀴즈 (1) - ~2005년 [21] 콩쥐팥쥐6195 10/08/27 6195 0
42702 스타 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대회가 궁금해 지네요. [6] JunStyle6345 10/08/26 6345 0
42701 카운터-스트라이크 8월 4주차 중간 주요소식 [1] epersys4927 10/08/26 4927 0
42699 이영호 대 신상문 후기. [17] 王天君8303 10/08/26 8303 0
42698 GSL Starcraft2 open 개막식 VIP 이벤트! [8] 항즐이6703 10/08/25 6703 0
42696 [fomos poll]어쨋거나 저쨋거나 MSL 결승 리쌍록, 누가 이길지 예상한번 해봅시다! [40] BoSs_YiRuMa6894 10/08/25 6894 0
42695 MBC GAME의 위기 [29] 아유10791 10/08/25 10791 0
42693 스타크래프트는 그 어떤 게임도 대체할 수 없다. [22] likeade7348 10/08/25 7348 1
42692 스타 2 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재밌네요. [20] 쿠루뽀롱6743 10/08/25 6743 0
42690 스꼴의 관점으로 보는 스타2 [22] 마빠이7083 10/08/25 7083 0
42689 송병구와 캐리어. [12] 대한민국질럿14622 10/08/25 14622 0
42688 '제살 깎아먹기'가 되지 않으려면. [41] The xian8551 10/08/25 8551 14
42687 스타2에 대해 집단적인 비토에 대해... [105] 그랜드파덜7777 10/08/25 7777 0
42686 몇가지, 주관적인 이야기 [5] 빼꼼후다닥4816 10/08/25 4816 0
42685 신상문... 아직 너에겐 기회가 남아 있다! [20] 개념은?7083 10/08/25 7083 0
42684 스타1? 스타2? 논란은 이제 다들 멈춰요 [55] 최군7364 10/08/25 7364 0
42683 2010년 대한민국 팬을 위한 리쌍 결승전 [18] 날치는한방6559 10/08/25 6559 0
42681 왜 스타1을 좋아하면 안될까요? [70] 녹턴8780 10/08/24 8780 3
42680 WCG 2010 한국대표선발전 전체종목 선발결과 총정리 [16] 루미큐브7924 10/08/24 792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