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WCG 스타크래프트 결승 결과 및 대한민국 대표 성적 ♣
 원문: 
http://cafe.naver.com/fafostar/201
* 전신(前身) 대회도 포함함.
* 관련 글: 개념은나의것,「주요 개인리그 역대 결승 결과 정리」, 2007, 
http://cafe.naver.com/fafostar/196
Ⅰ. 역대 WCG 스타크래프트 결승 결과
 ο 결승 시리즈 전(全) 세트를 동일 종족으로 치르지 않은 선수의 종족은 기타(R)로 분류함.
 ο 승자조 어드밴티지가 스코어에 반영된 경우 적용하여 기재함.
 ο 일자는 현지 표준시를 기준으로 함.
 ο '대회 순번. 대회명 - 우승자(종족) : 준우승자(종족) - 스코어 - 결승일 - 개최 도시' 서식 기재.
pre. WCGC 2000 - 박태민(Z) : 장일석(Z) - 2:1¹ - 2000.10.15 - 대한민국 용인
 1. WCG 2001 - 임요환(T) : 베르트랑 그로스펠리에(P) - 2:0² - 2001.12.09 - 대한민국 서울
 2. WCG 2002 - 임요환(T) : 홍진호(Z) - 2:0³ - 2002.11.03 - 대한민국 대전
 3. WCG 2003 - 이용범(Z) : 프레드릭 카이텔(R) - 2:1 - 2003.10.18 - 대한민국 서울
 4. WCG 2004 - 서지훈(T) : 전상욱(T) - 2:0 - 2004.10.10 - 미국 샌프란시스코
 5. WCG 2005 - 이재훈(P) : 안드레이 쿠키아니제(T) - 2:0 - 2005.11.20 - 싱가포르
 6. WCG 2006 - 최연성(T) : 박성준(Z) - 2:1 - 2006.10.22 - 이탈리아 몬자
 7. WCG 2007 - 송병구(P) : 샤쥔춘(P) - 2:0 - 2007.10.07 - 미국 시애틀
 8. WCG 2008 - 박찬수(Z) : 송병구(P) - 2:0 - 2008.11.09 - 독일 쾰른
 9. WCG 2009 - 이제동(Z) : 송병구(P) - 2:1 - 2009.11.15 - 중국 청두
Ⅱ. 대한민국 대표 성적
 ο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의 진행(WCGC 2000, WCG 2001, WCG 2002)에서 탈락한 선수의 성적 표기는 다음에 준함.
  - 패자 8강 1라운드 탈락=16강, 패자 8강 2라운드 탈락=12강, 패자 4강 1라운드 탈락=8강, 패자 4강 2라운드 탈락=6강, 패자 준결승 탈락=4위, 패자 결승 탈락=3위.
pre. WCGC 2000
  · 박태민(Z) - 우승
  · 장일석(Z) - 준우승
  · 창석준(Z) - 4위
  · 박상규(T) - 미상¹¹
 1. WCG 2001
  · 임요환(T) - 우승
  · 박태민(Z) - 3위
  · 최수범(T) - 조별 리그
  · 조정현(T) - 조별 리그
 2. WCG 2002
  · 임요환(T) - 우승
  · 홍진호(Z) - 준우승
  · 한웅렬(T) - 12강
  · 박경락(Z) - 12강
 3. WCG 2003
  · 이용범(Z) - 우승
  · 나도현(T) - 4위
  · 강도경(Z) - 16강
 4. WCG 2004
  · 서지훈(T) - 우승
  · 전상욱(T) - 준우승
  · 이재훈(P) - 8강
 5. WCG 2005
  · 이재훈(P) - 우승
  · 나도현(T) - 8강
  · 서지훈(T) - 16강
 6. WCG 2006
  · 최연성(T) - 우승
  · 박성준(Z) - 준우승
  · 전상욱(T) - 3위
 7. WCG 2007
  · 송병구(P) - 우승
  · 진영수(T) - 8강
  · 마재윤(Z) - 8강
 8. WCG 2008
  · 박찬수(Z) - 우승
  · 송병구(P) - 준우승
  · 이제동(Z) - 8강
 9. WCG 2009
  · 이제동(Z) - 우승
  · 송병구(P) - 준우승
  · 김택용(P) - 3위
[註]
 ¹ 승자조를 통해 올라온 박태민에게 스코어 1점의 어드밴티지 부여.
 ² 승자조를 통해 올라온 임요환에게 스코어 1점의 어드밴티지 부여.
 ³ 상동(上同).
¹¹ 32강에 들었으나 8강에 들지 못한 것으로 알려짐.
종합 작성: 개념은나의것 
http://cafe.naver.com/fafostar
- WCG 2010 대한민국 대표: 이제동(Z), 이영호(T), 김구현(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