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8/08 21:37:22
Name 푸르른곳
Subject 광안리 프로리그 결승전 후 쓰레기 문제 때문에 뉴스에서 언급이 됐네요.
http://blog.naver.com/jica33

사진을 본문에 올리면 에러가 나네요.  사진은 여기를 참고하시구요

아직 게시판에서는 프로리그 결승전의 감동이 가시지 않은 분위기지만 약간 다른 얘기를 해보게 됐네요

오늘 9시 뉴스를 보던 중 프로리그 결승전 후 쓰레기가 너무 많아 문제가 되었다고 mbc 뉴스에 떴습니다.

좀 안타깝네요. 어제 즐겁게 경기를 시청했었고 그 뒤의 일은 거의 생각치 못했거든요

뉴스에 이스포츠가 이런 식으로 보도되는 건 아쉽네요

이스포츠에 대해 이런 식으로 접할 수 밖에 없는 일반 사람이 보기에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는 건 어찌보면 당연한 거구요

분위기를 보아하니 쓰레기가 너무 많아서 누군가가 제보를 한 거 같은데..

예전에 제가 기억하기로는 9시 뉴스에서 한 번 결승전의 열기에 대해 언급이 되면서(장충체육관에서 했었던 경기로 기억하는데

정확히 기억은 안 나네요) 저 혼자 나름대로 뿌듯한 느낌도 받고 그랬었는데, 또 이런 장면도 뉴스에 나가는군요

팔은 또 안으로 굽는다고, 왜 하필 이번 프로리그 결승전이 타겟이 되어야 하는지~(우리 나라에서 저런 장면이 한 두번 보이는

건 아닐텐데요)

기사 화면 보면 좀 심한 것 같긴 하네요 ;

이런 문제는 누구의 책임인가를 떠나서 주관 방송사와 관중 양 측의 노력이 모두 필요한 부분이라고 봅니다.

경기 끝나고 모두들 그렇게 쓰레기가 방치되는 상황을 다 봤을 텐데요, 뭐 또 이런 일이 있음으로 해서 바뀌어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되는 거니까요

아무쪼록 비단 이스포츠 뿐만의 문제가 아닌 시민 의식 자체가 차차 개선되어 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사진은 MBC 뉴스 화면에서 캡춰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어느멋진날
10/08/08 21:37
수정 아이콘
사진이 액박으로 뜨는군요; 정말 또한번 이판 이미지를 망치는 일이 아닐까 싶을 정도네요. 사실 주최측에서 어느 정도 신경썼어야되는거 아닌가 싶습니다. 양팀 응원에 썼던 물품들이 방치된채 쌓여있더군요. 더구나 관중수도 3만명도 아닌 7천명 정도로 보도했다는데.. 사실 현장 관계자 얘길들어보니 3만명이라는 수치도 좀 과장된 수치였다고 하더라구요.
푸르른곳
10/08/08 21:40
수정 아이콘
엑박 수정했는데 계속 안 보이면 말씀해주세요 - 링크 완료
kimbilly
10/08/08 21:42
수정 아이콘
https://pgr21.com/zboard4/zboard.php?id=humor&no=85614
여기에 제가 캡쳐한거 올려놨습니다.

그런데 해안가 쓰레기로 도배 되는게 안타깝지만 흔한 일(?) 인데 이렇게 보도 되는건 참 안타깝습니다.
보통 주최측에서 어느정도 쓰레기 정리라도 했었어야 맞는데 이래저래 아쉬운 대목이네요.
10/08/08 22:00
수정 아이콘
이건 좀 심하긴 심하네요
전쟁터에요...
Only유리
10/08/08 22:02
수정 아이콘
뉴스로 직접 봤는데 쓰레기중에서 키보드도 있더군요...
칼잡이발도제
10/08/08 22:08
수정 아이콘
사실 휴가철 바닷가가 상태가 굳이 프로리그 경기가 아니더라도 거의 저렇지만 그게 핑계거리가 되지는 않겠죠...;; 어쨋든 더럽힌거는 더럽힌거니까요... 주최측에서 용역이라도 써서 정리를 좀더 했었어야 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광안리 결승 아니더라도 빌린 장소에서 청소는 당연히 할테니까요...;; (근데 키보드는 누구죠...;; 선수아니고서야 광안리에 키보드 가져올사람이 있나요...;;)
10/08/08 22:12
수정 아이콘
아 저도 그 뉴스 봤는데..중간부터 봐서 그냥 피서객들 쓰레긴줄 알았는데..
광안리 결승행사장이었군요...보면서 욕 많이 했는데;;
10/08/08 22:23
수정 아이콘
피서객 쓰레기를 가지고 보도한게 아닌가 싶었는데 결정적인 증거 키보드가 있으니..

핑계 될게 없군요 이건 잘 못 했음 그래도 대한항공 사태가 보도 안되길 천만 다행이네요..
kimbilly
10/08/08 22:37
수정 아이콘
http://imnews.imbc.com/replay/nwdesk/article/2674526_5780.html
해당 보도 동영상 입니다. 보시면... 응원 도구며 이런게 다 찍혀서... 참...
10/08/08 23:07
수정 아이콘
광안리뿐 아니라 다른데도 쓰레기 때문에 심각한 수준인데..
왜 이곳만 타켓을 잡아서 보냈는지 의문이네요..
이스포츠때문에 생긴 문제라기 보다 총체적 사회문제입니다...
진짜 법을 만들어서 버리고 가는 것들은 벌금제 처해야된다고 봅니다
10/08/08 23:08
수정 아이콘
일반 해수욕장 쓰레기는 주최측이 없지만
광안리는 주최측이 분명히 있고 각종 응원도구를 사용한 KT와 SK가 있습니다.
다른 해수욕장도 그러는데 이스포츠만 걸고 넘어지는게 아닙니다.
양산형젤나가
10/08/08 23:34
수정 아이콘
굳이 이스포츠를 노린 건 아닌거 같은데, 진짜 여름철 바다 지저분하네요.
10/08/08 23:40
수정 아이콘
왜 우리만 그러냐는 변명은 필요없다고 보고.. 중간에 대한항공결승사태가 별탈 없이 끝난게 진짜 천만다행이네요 -_-;;; 조작-대한항공결승-광안리결승 3연타맞고 완전히 작살날뻔 -_-;;;;;;;;
10/08/09 00:44
수정 아이콘
올해는 E스포츠의 악재가 겹치네요. 2007년 중계권 파동도 있었지만 올해처럼 이런적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1월 네이트 MSL결승 정전 사태 부터 5월 승부조작사건,대한항공 스타리그 시즌1 결승전 사태와 블리자드와 협회의 공공재 사태등 2010년에만 여러가지 안 좋은 일만 있는것 같습니다. 그리고 e스포츠 열기가 예전만 못한게 어제 광안리 결승도 통신사 라이벌전 치고는 예상보다 적게 온 것 같기도하구요. 그런데 MBC 오늘 뉴스 보도로 e스포츠계가 또 한번 망신을 당했군요. 방송사와 그레택은 어떻게든 해결을 볼것 같은데 차기 프로리그가 성공적으로 열렸으면 좋겠지만 생각보다 쉽지 않을 수도 있겠다고 생각합니다.
10/08/09 02:55
수정 아이콘
저도 이번 결승전 갔었는데 경기 시작하기도 전에 느낀 게 '끝나고 쓰레기 장난 아니겠네..'
각 팀별로 의자에 올려놓은 부채와, 막대풍선, 두건과 같은 응원도구들이 시작도 전에 바닥에 널부러져있고..
시민의식의 문제라고 하기에도 좀 문제가 있는 게, 저런 상황은 선진국이라해도 별 다를 게 없을 것 같더라구요..
쓰레기가 될만한 걸 기본적으로 운영측에서 많이 뿌리고, 팬들 입장에선 필요없는 물건이다보니 그냥 버리게 되고..
그걸 들고 쓰레기통까지 가서 버릴 사람이 몇이나 될는지..
이미 이런 쓰레기문제는 이스포츠만의 문제도 아니고, 몇십년이 넘게 문제가 되고 있지만, 아직 해결이 되지 않는 걸 봐선 답이 없다고 봅니다...
율곡이이
10/08/09 08:44
수정 아이콘
솔직히 이건 협회의 뒷처리 문제와 오프간 팬들의 마인드 문제라 생각되네요..
용역을 써서라도 뒷처리를 해야하는 협회와 팬들도 자기 쓰레기는 자기가 치워야...
방송사에게 책임이 아예없다고는 볼수 없지만, 중계권 강매당한 방송사가 쓰레기 뒤처리 까지 하는건 아니지않나싶네요
10/08/09 10:29
수정 아이콘
그냥 버린 사람들 잘못이죠, 협회고 신한은행이고 방송사고 탓할 거 없죠... 주최측인 온게임넷에서 "가지고 가세요 ^^" 라고 할 수 밖에요.
제가 만약 선수거나 구단주면 같이 줍고 집에 돌아가자고 했겠습니다. -0-;;
10/08/09 10:32
수정 아이콘
보도자료에 "신한은행" 대문짝 만하게 찍혀있네요, -0-;;
10/08/09 11:02
수정 아이콘
이건 주최측이 뭐 행사만 하고 그냥 토꼈나요? 이건 주최측에서 끝까지 책임을 졌어야죠
다크질럿
10/08/09 11:58
수정 아이콘
다른 스포츠도 다 그러는데 뭐가 문제냐고 하는 쉴드 전에 경기장도 아닌 야외행사 그것도 광안리라는 해변가에서 저런 행사를 했으면 쓰레기에 대한 대책은 있었어야 한다고 봅니다.
가우스
10/08/09 12:42
수정 아이콘
주최측 문제도 있지만 응원하러가서 쓰레기 버리고 오는 놈들은 대체 왜 가는지 모르겠네요
10/08/09 14:19
수정 아이콘
변명에 지나지 않겠지만 응원석근처에는 쓰레기를 버릴 만한 곳이 없습니다. 쓰레기통 자체가 준비가 안된 것 같더군요.
쓰레기통이 없다면 자기 응원도구 전체를 들고 나와야 하는 거지만 그래도 쉽게 눈에 띄는 곳에 쓰레기통이 있었다면 저것보다는 좀 나은 상황이 되었겠죠.
10/08/09 16:32
수정 아이콘
조작사건도 있는데 좀 잘좀하시지. 쓰레기통을 마련을 하던가 쩝... 주최즉 잘못이죠 뭐.
베요네타
15/08/15 12:54
수정 아이콘
저 일 때문에 광안리가 버림받고 그다음부터는 안 하는 건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2555 2010년 8월 셋째주 WP 랭킹 (2010.8.15 기준) [4] Davi4ever5977 10/08/16 5977 0
42554 경남 STX컵 마스터즈 2010 4,5위전 MBCgame Hero VS 웅진 Stars(2) [124] SKY927680 10/08/15 7680 0
42553 경남 STX컵 마스터즈 2010 4,5위전 MBCgame Hero VS 웅진 Stars [184] SKY928556 10/08/15 8556 0
42551 e-Stars Seoul 2010 - King of the Game 결승전 [28] kimbilly4720 10/08/15 4720 0
42550 이영호의 거침없는 행보, 그 최대의 걸림돌 정명훈! [73] 지터와브라이언트11342 10/08/15 11342 2
42549 이재호vs이제동 맵순서입니다 [42] SKY927137 10/08/15 7137 0
42548 카운터-스트라이크 8월 2주차 주요소식 epersys4925 10/08/15 4925 0
42545 스타크래프트는 여전히 재밌습니다. [30] 영웅과몽상가7183 10/08/14 7183 1
42544 Bigfile 2010 MBC게임 스타리그 8강 3회차(3) [118] SKY929730 10/08/14 9730 0
42543 ▶Bigfile 2010 MBC게임 스타리그 8강 3회차 (3) [47] 윰댕6024 10/08/14 6024 2
42542 Bigfile 2010 MBC게임 스타리그 8강 3회차(2) [258] SKY9211494 10/08/14 11494 0
42541 ▶Bigfile 2010 MBC게임 스타리그 8강 3회차 (2) [55] 윰댕5796 10/08/14 5796 1
42514 닉네임 변경기간 안내 [104] Toby6070 10/08/12 6070 0
42540 Bigfile 2010 MBC게임 스타리그 8강 3회차 [312] SKY9211594 10/08/14 11594 0
42538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9~2010 올스타전(2) [279] SKY9218099 10/08/14 18099 0
42537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9~2010 올스타전 [325] SKY9217999 10/08/14 17999 0
42536 김택용 선수 잘 되고 있습니까?? [15] 영웅과몽상가6874 10/08/14 6874 0
42535 e-Stars Seoul 2010 - King of the Game [44] kimbilly4970 10/08/14 4970 0
42534 대한항공 스타리그 시즌2 결승전 장소는 중국 샹하이?? [14] 진진7159 10/08/14 7159 0
42533 대한항공 스타리그 Season 2 8강 전체 맵 대진 [21] ★아유6009 10/08/13 6009 0
42532 곰티비와 온게임넷이 어느정도 협력관계가 된걸까요? [7] 엄마,아빠 사랑해요5868 10/08/13 5868 0
42530 대한항공 2010 스타리그 Season 2 8강 대진표 및 맵 추첨결과 [47] 박루미7149 10/08/13 7149 0
42529 대한항공 스타리그 시즌2 16강 6회차 경기 (3번째 불판) [295] 解脫9890 10/08/13 989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