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8/05 00:21:52
Name 모모리
Subject 스타크래프트2 캠페인 전부 끝낸 기념 리뷰
# 블로그의 글을 옮긴 것으로, 반말체가 싫으신 분에겐 불편할 수 있습니다.

# 스2게와 겜게 중에 고민했는데 겜게에 올리는 이유는 아직 안 해본 분들이 계시면 얼른 해보시라고.... 흐흐. 재밌습니다. 다들 스2 해보세요!






눈보라는 최종 임무로 버티기류가 제맛이라고 생각하는 듯하다


  스타크래프트2를 다 깼으니 간단하게 정리해보자.

  내가 생각하는 스타크래프트의 장점은?

  재밌다.

  내가 생각하는 스타크래프트의 단점은?

  확장팩을 기다려야 함.




  게임 하면서 손이 근질거리는 걸 참는 게 정~말 힘들었다.

  원래 내가 설정 덕후라 RTS도 이야기 진행을 가장 즐겼는데, 스타크래프트1의 싱글이 참 재미있었기에 스타크래프트2를 정말 기대했다. 오랜 기다림이었다. 무려 강산이 한 번 변할 시간이 지나고 마침내 후속작이 나왔다. 클로즈 베타 테스트가 먼저 시작되었다. 평소 이런 운이 지독하게 없기로 정평이 난 나는 당연하게도 클로즈 베타 테스터가 되지 못했다. 그래도 각종 창구를 통하여 열심히 구걸한 결과 @iamyd84님에게 초대장을 얻을 수 있었다.

  첫 느낌은 워3와 비슷했다. 아무래도 인터페이스나 겉모습에서 그렇게 느꼈다. 그래도 막상 몇 게임 해보니까 워3보다는 스1에 훨씬 가깝다는 생각이 들었다. 게임의 흐름이나 운영하는 방식 등이 그러했다. 스1에 미쳐 지냈던 경험이 도움이 되었는지 금방 실력이 쌓였고 베타 기간 동안 재밌게 즐길 수 있었다.

  그러나 나는 만족하지 못했다. 애초에 내가 기대한 것은 이런 밀리 게임이 아니었다. 나는 워3에서 성장한 블리자드의 캠페인 제작 능력을 확인했다. 스2 밀리 게임을 즐기면서 느낀 놀라움은 '이런 수준으로 만든 캠페인은 과연 어떨까' 하고 기대감을 한껏 높였다.



  마침내 정식 발매가 되고 고맙게도 한국에서는 오픈 베타 기간을 갖는다고 했다. 며칠 참았으나 계속 스2가 머리에 맴돌았고 결국 설치를 했다.

  존경.

  솔직한 느낌은 존경이었다. 워3를 처음 할 때는 세월의 흐름에 따른 자연스러운 발전으로 보였다. 그러나 스2는 달랐다. 흡사 잘 만들어진 SRPG를 즐기는 것과 비슷한 느낌의 캠페인 구성은 충격이었다. 설정 덕후의 눈과 귀를 만족시키는 화면이 연이어 흘러갔다.

  블리자드를 한국 회사보다 더 한글을 사랑하는 회사로 칭하는 이들이 있다. 현지화 또한 대만족이었다. 애초에 외국어 남용을 병적으로 싫어했던 나였기에 한글화에 대한 바람은 절실했다. 와우의 한글화를 보고 한글화에 대한 기대감도 높았다. 결과는 대만족. 모르는 사람을 두고 한국에서 만든 게임이라고 해도 아무도 의심하지 않을 수준이었다.



  스1 이전까지 RTS의 기본은 이야기 진행이었으나 스1 이후, 특히 블리자드로 RTS를 처음 접한 이들은 RTS의 주 내용을 멀티 플레이로 여기는 경향이 생겼다. 그러나 워3에서 블리자드는 싱글에 충실했고 스2에서도 그 성향은 이어졌다.

  이렇게 생각하면 워크래프트 시리즈는 RTS로서의 생명을 잃었다고 볼 수 있다. 와우라는 온라인 게임이 이야기 진행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외전격 이야기라던가 공백기를 두고 그 공백기의 이야기를 진행하는 방법도 있겠으나 그런 것은 글쎄…….

  스2의 경우 우선 확장팩이 두 개 남아있기 때문에 당분간 이야기 진행의 즐거움은 계속될 것이다. 사실 스2가 발매되기 전에는 이야기 진행한 다음 Space Of Starcraft라던가 하는 MMORPG를 만들어주길 바랐으나 막상 즐기고 나니, 나중에 월정액으로 내도 좋으니까 스3 스4 등등 계속 RTS로 내줬으면 하는 바람이 생겼다. ㅠㅠㅠㅠㅠㅠㅠ



   임무는 전체적으로 아주 쉬웠다. 솔직히 아주 어려움으로 해도 쉬웠다. 단순히 깨기만 한다면. 업적까지 달성하려면 상당히 까다로웠기에 난이도 설정은 아주 적절했다고 본다. 단지 아쉬운 것은 해병+의무관으로 대부분의 임무를 깰 수 있었다는 것이다. 내가 해본 바로는 불곰도 필요 없다. 순수하게 해병+의무관만 뽑아서 깰 수 없는 임무는 정글의 법칙(업적 포기하면 가능), 뫼비우스의 위기(섬이라 이동이 불가능), 공허의 나락 이렇게 3개 정도?

  그런데 나 같은 경우 베타 테스터로 게임을 즐기면서 상당히 능숙한 상태였으니 처음 스2를 접했다고 생각하면 임무 난이도는 더욱 적절하다고 본다. 실제로 처음 해보는 사람은 보통 난이도로도 꽤 어려워하는 모습을 보였으니까.

  

  기억에 남는 임무를 적어보자면,

1. 탈옥 : 가장 재밌었던 임무. 어설프지만 코만도스를 하던 느낌을 받을 수 있었고, 도타류의 게임성을 임무에 응용한 듯한 구성도 좋았다.

2. 장막을 뚫고 : 가장 똥줄이 탔던 임무. 초반 임무 구성은 평범했는데 후반에 아주 재밌었음. 혼종의 마지막 추격이 너무 느슨했던 것이 약간 아쉽다.

3. 비열한 항구 : 나는 이렇게 별난 시간 제약을 거는 방식을 좋아하는데 아예 정해진 유닛으로만 진행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4. 정글의 법칙 : 3번과 같은 이유로 기억에 남았던 임무. 봉인 저지가 좀 더 어려웠다면 아주 재밌었을 것이다.

5. 정문 돌파 : 이 임무는 평범했는데 굳이 꼽은 이유는 평범한 임무임에도 해병+의무관으로 업적을 달성할 수 없었기 때문! 공성전차를 추가해서야 겨우 달성했다.

6. 재앙 : 워3에서 아서스가 시민을 학살하던 임무와 비슷한 느낌이라 기억에 남았다.



  마지막으로 아쉬웠던 것. 유닛 가독성은 베타 초기부터 꾸준히 제기되던 문젠데 개선이 전혀 안 되고 있다는 것이 너무 아쉬웠다. 색감이야 지독하게 까이던 부분이지만 밝은 지도에서는 큰 문제가 아니다(저그는 크립이 깔리면 어두워지기 때문에 문제). 내가 주목한 부분은 바로 시점.



  위 화면에 비해 아래 화면이 배경의 어두움에도 불구하고 한결 가독성이 좋다는 걸 알 수 있다. 시점을 조금 땡겼으면 하는 아쉬움.



  스2에 평점을 10점을 주는 곳들이 있던데 솔직히 눈보라에게 돈이라도 처먹은 게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든다. 아니 이게 어떻게 10점짜리 게임이란 말인가?



  9.9점이 적절하지 않나 시프요.





덧붙임

  스2 베타 때부터 하던 생각이지만 대체 왜 3D로 만든 것인지 모르겠다. 3D로 만들었으면 3D의 장점을 살려야 될 것 아닌가. 정작 게임은 2D와 크게 차이가 없어! 시점 변환은 극히 제한적이고, 아마 있는 것도 모르는 사람 많을걸? 여러분 인서트 누르면 화면이 돌아간답니다.

   워3부터 느꼈지만 휠 돌려서 확대하는 기능은 존재 이유가 의심스럽다. 게임 하는 사람을 위해서라면 정말 쓰잘데기 없는 기능이고 중계용이라고 생각하자면 정말 허섭하기 짝이 없음.

  마지막으로 테란 부속 건물은 왜 오른쪽으로만 달게 했는지도 의문. 나름 전통성의 유지인가요? 낄낄.



덧붙임2

  사양이 너무 높다는 것이 발목을 잡을 거 같다. 워3가 돌아가는 컴퓨터라면 최하옵이 깔끔하게 돌아갔어야 했다. 주변에 하고 싶어하는 사람이 꽤 있는데 사양 때문에 못하는 경우가 많다.



덧붙임3

  인간적으로 엔딩 너무 날림이라고 생각. 아무리 대놓고 확팩을 낸다고 했다지만 스1이나 워3를 봐도 오리지널 엔딩 자체로 충분히 마무리를 지었는데 스2 엔딩은 대놓고 확팩을 기다리라는 분위기.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8/05 00:32
수정 아이콘
모모리님 스2접었다고 들었는데 아니었나보네용 흫
Siriuslee
10/08/05 00:36
수정 아이콘
전 가장 재미있는 미션으로
마지막 직전에 땅굴벌레 무력화 시키는 미션인 '야수의 동굴속으로'를 꼽습니다.

켐페인내내 저놈의 핀들레이는 병풍노릇이나 하고 개그케릭인가 싶었는데 딱한번 조종 가능한 미션이구요.

공속 0.2에 공격력 5 거기에 무려 스플레쉬 대미지를 주는 게틀링 난사하는 핀들레이의 위엄쩝니다..


그리고 스완은 뭔가 잉여스러운데? 라는 생각이 들만할때쯤 등장하는 불꽃페티 HP 750의 위엄;;
10/08/05 01:22
수정 아이콘
확장팩을 기다리는게 너무 힘드네요. 그만큼 미션이 재미있었어요. 지금은 모든 업적 달성을 위해 다시 플레이 하고 있습니다. 정말 대단한 게임이에요.
JunStyle
10/08/05 01:41
수정 아이콘
아 진짜 가독성 어떻게 해줬으면 좋겠네요. 저그는 크립 위에 있으면 더 안보여요 ㅠㅠ
핫타이크
10/08/05 02:45
수정 아이콘
모든 업적 세워가며 25번째 미션까지 깼는데요.
대충 몇번째 미션까지 있는거죠? ㅠㅠ
모모리님은 쉽게 깨신 것 같은데, 업적 이것저것 챙기느라 정신 없네요..
티에리아 아데
10/08/05 03:12
수정 아이콘
미션은 총 29개 입니다. 기본 25개이며 분기점 미션 3개에다가 비밀임무 1개 해서 총 29개 입니다. (비밀임무 - 장막을 뚫고 - 는 언론의 힘 미션에서 5시 방향 건물을 파괴한 후 비밀문서를 획득하면 진행이 가능합니다.)

저도 몇개의 업적을 제외하곤 거의 다 달성해서 이제 숨도 좀 고를 겸 래더를 다시 할 계획입니다.
블랙독
10/08/05 03:22
수정 아이콘
블리자드의 3D RTS는 매우 재밌고 박진감 넘치며 전략적이고 심리전이 난무하는 최고의 RTS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3D라는 점만 제외한다면...
하긴 그들 입장에서도 난감한게 3D로서의 전략을 짜자니 게임이 너무 정신없어지고 스타 특유의 빠른 재미가 사라질 가능성이 커지죠.

10년이 넘는 세월이 흘렀지만
3D의 느낌이 제대로 살아주면서 재밌게 즐겼던 게임은 토탈 밖에 없는것 같네요.
스타2는 그래픽은 3D인데 전략은 2D라고 해야 맞는것 같습니다.
그래서 9.9점 크크크
Summerlight
10/08/05 08:28
수정 아이콘
보통 3D로 게임을 만드는 이유는 3D 시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뭐하고 이런 거창한 게 목표가 아니라 이 쪽이 투자 비용 대비 생산성이 훨씬 낫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래서 굳이 3D일 필요가 없는 게임들도 전부 3D로 개발하는게 요즘 추세죠.
10/08/05 08:44
수정 아이콘
여담이지만 가독성이 아니라 가시성이라고 해야할 듯 하네요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5734 블리자드 도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29] polt8006 11/10/23 8006 0
45731 BlizzCon 2011 현장 취재 - 스타크래프트2 : Chris Sigaty & David Kim 인터뷰 [19] kimbilly7040 11/10/23 7040 0
45722 BlizzCon 2011 현장 취재 - 스타크래프트2 : 블리자드 도타, FAQ [2] kimbilly5317 11/10/22 5317 0
45558 한눈에 보는 aos 장르의 역사 part 1 [33] 마빠이8138 11/09/22 8138 0
45378 지금이라도 유즈맵 자체 패치로 리그를 진행 했으면 좋겠습니다. [71] 마빠이7662 11/08/23 7662 0
45315 도타2 월드 챔피언쉽이 열리고 있습니다. [61] 마빠이6233 11/08/18 6233 0
45290 리그오브레전드 에 총상금 50억이 걸린 리그가 생깁니다. [25] 마빠이6460 11/08/16 6460 0
45281 도타2 의 스크린샷이 유출 되었습니다. [23] 마빠이9347 11/08/15 9347 0
45240 조금은 부러운 중국 E-SPORTS(WCG2011 중국예선전) [16] 잠잘까12161 11/08/09 12161 4
45184 aos 장르의 e스포츠 가능성은 어느정도 일까요? [40] 마빠이7043 11/08/05 7043 0
45121 [리그 오브 레전드] 추천 캐릭터 2명. [60] andante_9395 11/07/30 9395 1
45035 리그 오브 레전드 함께 즐겨요~ 간략한 소개 (1) [75] 거북거북9426 11/07/26 9426 1
44968 스타크래프트 2 새로운 유즈맵! [16] 리얼리스트가5181 11/07/21 5181 0
43064 리그 오브 레전드 이야기 [17] 배려7377 10/09/20 7377 1
42855 현재 한국에서 열리고있는 게임리그 [23] 파르티아7800 10/09/05 7800 0
42479 블리자드의 조바심... 그리고 파이의 크기 [53] 시즈트럭6332 10/08/08 6332 0
42413 스타크래프트2 캠페인 전부 끝낸 기념 리뷰 [20] 모모리6782 10/08/05 6782 0
39914 스타크래프트2가 나온다면 어떤 종류의 유즈맵을 만들고 싶으신가요? [16] 물의 정령 운디5234 10/01/21 5234 0
35601 '끝'이란 외침에대한 잡담. [2] 구름지수~4189 08/09/13 4189 1
32934 스타크래프트 2 개발진 Q&A 22번째 분량 [5] Tail4058 07/11/21 4058 0
31143 또 하나의 기회, WCG 참가 추가 접수 진행중입니다 :) 구우~3832 07/06/21 3832 0
29339 [게임소개] Dota Allstars (워3 유즈맵) [9] JokeR_5198 07/02/20 5198 0
7773 <꽁트?> Into the Warcraft [7] 버로우드론3306 04/09/22 330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