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8/01 16:41:16
Name 김제동의뮤짤
Subject 온겜vs엠겜 의 승자는??
오늘 플옵 경기를 지켜보면서 문득 이생각이 들더군요...

마지막 에이스 결정전을 보다가 이승원 해설의 소름돋는 예지력과 상황 진단력을 보고서.. 역시 해설은 이승원이야!!라고 생각하던중

만약 온겜 해설진과 엠겜 해설진간에 스타브레인을 한판 해본다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라는 호기심이 생기더군요...

예전에 스타브레인에서 김태형해설과 엄재경해설의 특별전을 정말 재밌게 봤었는데요...

정말로  엠겜vs온겜 해설진간의 스타브레인이 성사된다면 정말 재밌는 이벤트가 될것 같더군요...

여러분들의 예상을 한번 듣고싶네요...

일단 제 예상으론 선수 출신간의 대결구도

박용욱vs한승엽 이건 누가 이길지 모르겠네요..박빙일듯 싶구요..

비선수 출신간의 대결구도

김태형, 엄재경  vs 유대현,  이승원 은 엠겜이 약간 우세할거라 생각합니다만 이건 어디까지나 제 추측입니다.
(유대현해설은 선수출신입니다만 은퇴한지 오래되서 이쪽 매치업으로 적었습니다.)


아참 그리고 스타브레인이 뭔지 모르는 분들을 위해서 간단히 설명드리자면요..

예전에 온게임넷에서 했던 프로그램이었는데 지금도 하는지는 모르겠네요

스타브레인은 2인 1조가 되서 플레이를 하는겁니다. 한명은 플레이를 지시하고 다른한명은 그 지시에따라 플레이를 하는거죠

즉 여기서 엠겜과 온겜 해설진이 하는 역할은 직접 플레이하는 사람이 아닌 지령자 역활을 하는것 입니다..

직접 플레이어하는 사람은 프로게이머들이 맡아하구요...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처음느낌
10/08/01 16:42
수정 아이콘
??? 질문게시판으로 고고싱
한승연은내꺼
10/08/01 16:40
수정 아이콘
저도 7경기 승원좌의 해설듣고 소름돋았습니다 와우..
soulbass
10/08/01 16:41
수정 아이콘
오늘의 해설만 놓고 보면 엠겜 윈!!!
하지만.....

광안리에서...
식신캐리MC조합이라면....
이승원KCM+ (한승엽or유병준) 보다는 우위 일 것 같네요...
10/08/01 16:43
수정 아이콘
일단 규정줄수 채우셔야 할 것 같구요. 그리고 님들... 이라는 표현은 음;;

본문 내용에 대해서는 스타브레인이 뭔지 잘 몰라서 뭐라 말씀을 드리기가 어렵네요.
다크질럿
10/08/01 16:44
수정 아이콘
승원좌가 해설하면 몇분 후에 그 일이 이루어지죠.경기 보는 눈이 탁월합니다.
똥꼬털 3가닥처
10/08/01 16:45
수정 아이콘
해설은 보는 눈도 중요하지만 경기를 재밌게 풀어 이야기 해주는 능력이 중요하죠.

반면에 스타브레인은 비록 지시하는 거지만 '직접적인 스타실력'이 아주 중요할꺼라 생각합니다.

그런 점으로 볼 때 스타브레인은 엠겜 해설진이 압도할꺼라 예상합니다.
soulbass
10/08/01 16:47
수정 아이콘
그래도 가장 보고 싶은 조합은...

이승원 해설과...
엄식신 해설과.......
MC용~~준 입니다...

세컨 조합은....
이승원 해설과 강민 해설과.....KCM......
개념은?
10/08/01 16:49
수정 아이콘
15줄부터 채우심이
모범시민
10/08/01 16:59
수정 아이콘
정말 생각해보니 재미난 아이디어겠는데요?

비게이머출신 해설가들을 브레인으로 삼아서 자신이 원하는 게이머를 KT와 SKT를 제외한 나머지 구단의 현직 프로게이머를 이용하여서

스타브레인 한경기를 오프닝 이벤트식으로 해보는것도 재미있겠어요

그것을 광안리에서 하지 않더라도 오프시즌의 이벤트전으로 해본다면 그것도 괜찮겠다 싶고요
noVember
10/08/01 17:11
수정 아이콘
3:3으로 하면
박해설이 한판 따고 나머지는 엠겜 해설이 다 이겨서 1:2로 엠겜이 이길듯 합니다.

아 그리고 유대현 해설도 선수 출신입니다. 우주 방어 테란이란 별명을 가지셨던 걸로 기억합니다.
10/08/01 17:20
수정 아이콘
이승원 해설은 요즘에 더 감이 물이 오른거 같습니다. 거의 틀리는게 없더군요 덜덜

이승원 해설과 택뱅리쌍중 한명이 조합되면 지질 않을거 같습니다. 김용택이라도 택신으로 바꿔줄 포스..
전미가 울다
10/08/01 17:22
수정 아이콘
이승원 해설은.. 날카롭습니다.. 다른 해설들을 깔아보는 건 아니지만, 왠지 공부도 제일 많이 하는 느낌이예요..

정확한 분석력과 예측력... 해설은 역시 경기를 재밌게 이끌어 주는 것도 좋지만, 정확히 판을 읽어 주는 해설이 마음에 드네요..
10/08/01 18:05
수정 아이콘
컴퓨터같이 생각을 게임으로 옮겨줄수있는 존재가 있다면 이승원해설은 거의 프로게이머급 아닐까요? 프로게이머 출신 해설가라고 해도 실전감이 조금 떨어질때쯤이면 해설이 조금씩 빗나가는 경우도 많았는데 이승원해설은 아직까지도 거의 틀리는 판단이 없더군요...
안소희킹왕짱
10/08/01 18:12
수정 아이콘
전 온겜방송으로 봤는데..
해설 들으면서 약간,(사실 많이) 혼란스럽더라구요.
김구현선수 리버드랍이 일꾼 상당히 잡으면서 '오, 유리하겠는데?' 라고 생각했는데
김창선해설께서는 빠른멀티에 비해 수월하게 막은편이다 라고 말씀하시길래 '어?' 했거든요.
박용욱해설께서도 김구현선수가 상당히 유리해졌다는 쪽으로 말씀하셨구요...
물론 그 이후 펼쳐진 2셔틀 공물드랍에 확 기울어진건 맞지만 그 과정을 설명해주는 과정이 양해설간 의견이 다른점도 있고
이해가 힘들더라구요.. 뭐, 그랬어요.
10/08/01 18:48
수정 아이콘
김태형 해설도 마냥 비선수로만 볼 수는 없죠
The Drizzle
10/08/01 19:04
수정 아이콘
김태형 해설도 98년 래더1위 출신이고
유대현 해설 역시 우주방어테란으로 유명했죠.
김정민, 강민 해설이 복귀하면 모를까
지금은 스타실력만큼은 엠겜> 온겜이라고 봅니다.

아 그리고 엠겜의 이승원 해설과 온겜의 엄재경 해설을 빼면
온겜해설이나 엠겜해설이나 그 느낌은 비슷비슷하다고 봅니다.
화이트푸
10/08/01 19:12
수정 아이콘
승원좌는 오늘도 날위에 서서 해설을 하시더군요..

거의 10이면 11개를 맞추는 게임을 보는 대단한 능력...

정말 존경할만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기념에서 두 방송사가 잘 어울려서 이런 이벤트 전 한번 했으면 좋겠네요~
arq.Gstar
10/08/01 19:13
수정 아이콘
저는 온겜이 좋습니다.
괜히 유저들이 온겜 많이 보는게 아닌것 같아요.

게임분석은 내가하면 되는거고,
그냥 게임 자체를 재밌게 만들어주는 중계진이 온게임넷인듯.
그게 만담이던, 선수 뒷 이야기던, 중계할때 어떤 이야기거리도 그렇고 온게임넷이 더 재밌는것 같습니다.

엠겜도 해설 듣다보면 분위기 타서 두 해설자가 오글거릴정도로 한쪽을 많이 비판하던데요.. -_-;
수준은 양쪽 별반 차이 없는듯 하고요..
그냥 많은분들이 그렇듯이 게임 내용은 어느정도 스타좀 했던 팬이라면, 보는입장에서 분석하는게 정확한듯 합니다.
Kristiano Honaldo
10/08/01 19:21
수정 아이콘
온겜은 어제 김동건 아머리 사건때문에 속이 터져서 -_-;
경기중에 어디를 보고 계신건지... 옵저버가 계속 잡아줬는데 제발좀 얘기해달라며
캐리어쥐쥐
10/08/01 19:28
수정 아이콘
전 박용욱 해설 있을 떄만 엠겜 보고 나머지 상황은 온겜봅니다.
음........ 이유는 예전부터 온겜 봐 왔고 사실 해설 잘 안 듣거든요... 근데 박용욱해설 목소리는 아직도 적응이 안되네요;;;
10/08/01 19:42
수정 아이콘
DMB엔 MBC게임이 안 나옵니다. 그러므로 온게임넷 승입니다. (전 주로 DMB로 시청하기 때문에...)
10/08/01 19:53
수정 아이콘
그런의미에서 비시즌 때 양 방송사 해설자분 섞어서 중계하는 이벤트전이라든지, 스무도나 야생중계, 뒷담화 등에서 각각 다른 방송사 해설자분들이 나오시는 것도 좋을거라 생각합니다..

실제로는 어떤 사이인지도 모르고, 양 방송사간의 사이도 잘 모르겠지만 어찌됐던 한번쯤은 한 방송사에 양쪽 해설진들이 다 같이 나와서 같이 게임도 하고 만담도 하는 그런 프로그램 한 번 쯤은 보고싶네요..
"타방송사는..." "옆동네는.." 이런 맨트도 없어졌으면 좋겠습니다. 경쟁하는 양 방송사도 좋지만 이런 맨트에서부터 서로가 인정해주고 이해해준다면 얼마든지 위에 적어놓은 일들이 일어날 것 같네요..
Yellow@.@
10/08/01 20:01
수정 아이콘
결승전 온겜넷은 전용준+식신캐리 조합인가요??
날아라드랍쉽
10/08/01 20:02
수정 아이콘
수정안하시나요 김태형해설, 유대현해설 모두 선수출신입니다.
10/08/01 21:06
수정 아이콘
온겜쪽은 박용욱 해설을 제외하고는 정확도 측면이 너무 떨어져서 아쉽습니다.
그래서 플옵 같이 두 방송사 공히 방송하는 경우에는 거의 엠겜으로 봅니다. 온겜으로 보면 잘못된 해설 때문에 복장이 터지는 경우가 많아요.ㅠㅠ
앵콜요청금지
10/08/01 21:21
수정 아이콘
전 양쪽 방송사 해설에 큰 취향차이는 없습니다. 대신 메인중계를 봅니다. 그래서 준플옵은 온겜을 봤고 플옵은 엠겜을 봤죠. 광안리 결승전은 온겜을 볼것 같습니다. 현장감이라는게 선택의 제 1기준이 되더라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2447 프로리그 결승전-KTvsSKT(2) [357] SKY9218583 10/08/07 18583 0
42446 프로리그 결승전-KTvsSKT(특별전 포함) [354] SKY9216136 10/08/07 16136 0
42443 기업 게임단이 왜 생겨났을까? [62] noknow8667 10/08/07 8667 1
42442 온게임넷, MBC 게임의 스타크래프트2 리그 출범은 과연 언제쯤 가능할까요? [13] 물의 정령 운디4955 10/08/07 4955 0
42441 케스파가 스타2리그에 존재하지 않아도 무방한 이유. [45] homm38032 10/08/07 8032 0
42440 You just activated my trap card [11] 불타는부채꼴7175 10/08/07 7175 1
42439 과연 이영호는 어떻게 받아칠까...... [27] SKY928838 10/08/06 8838 0
42438 [KT응원글] 꿈.. 그리고 KT [2] 스웨트4665 10/08/06 4665 0
42437 [KT응원글] KT가 그간의 한을 꼭 풀어버리길 바랍니다. [15] 칼 리히터 폰 4621 10/08/06 4621 0
42434 GSL의 치명적인 약점 [44] 몽키8754 10/08/06 8754 0
42433 KT vs SK 광안리 결승 예상해봅시다. [36] noknow6929 10/08/06 6929 0
42432 내 인생을 바친 스타...뭔가 교훈이라도 얻어보자~ [25] likeade6046 10/08/06 6046 4
42431 김명운, 김정우, 이제동을 멀리 보내버린 맵. [25] 쿠루뽀롱7887 10/08/06 7887 0
42430 [스포일러 주의]스타크레프트2 자유의 날개 캠페인을 통해 상상해본 창세기전 3 시리즈... [10] 마음속의빛4959 10/08/06 4959 0
42428 눈에 서서히 보이는 블리자드의 야망 [85] 마빠이10473 10/08/06 10473 0
42427 스타크래프트 1의 가장 큰 위기는 스타 2가 아닙니다. [31] 담배상품권8058 10/08/05 8058 0
42425 스타1의 엄청난 위기.. [65] 파르티아10096 10/08/05 10096 0
42424 스타크래프트 2 리그. 연간 계획이 발표되었네요. [54] Leeka8057 10/08/05 8057 0
42423 폴라리스 랩소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86] 중년탐정김정8229 10/08/05 8229 1
42422 Bigfile 2010 MBC게임 스타리그 8강 1회차(2) [247] SKY9210186 10/08/05 10186 0
42421 Bigfile 2010 MBC게임 스타리그 8강 1회차 [405] SKY9212717 10/08/05 12717 0
42420 스타1 선수들이 스타2로 유입 될까요? [35] 똥꼬털 3가닥처6764 10/08/05 6764 0
42419 스타2 개인리그 개최: GSL-우승자 상금1억원 [추가수정] [62] 좋은풍경10995 10/08/05 1099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