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7/05 10:41:51
Name ROKZeaLoT
Subject 오랜만에 스타 뒷담화를 보았습니다.
예전엔 즐겨보던 프로이긴 하지만 요즘엔 잘 안보게 되던(특히 격납고 논란 덕분에요)스타 뒷담화를 오랜만에 보았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승부조작 떡밥이.. 거기다가 오해를 받고 있던 신상호선수까지 출연했더군요. 뭐 시청률도 건지고 억울한 선수도 나와서 해명하고 시청자들은 흥미있게 볼 수 있고.. 신상호선수의 출연은 꽤나 좋은 시도였다고 봅니다.

하지만 저는 이번 뒷담화를 보면서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하나 있었습니다. 뒷담화 시작부분에서 고용준 기자님이 Pain님이 쓰신 글을 언급하며 그 글을 반박하는 장면이 있었는데요, 제가 이해력이 부족한 탓인지 대체 관계자분들이 그 글의 어떤 부분이 왜 옳지 않다라고 하는지 저는 잘 이해가 가지 않았습니다.




대체 뭐가 왜곡되었다는 건지.. 그 글에서 언급한-'연습생들 환경이 좋지 않다'라는-팩트에 대한 반박도 없고 무엇보다 그 글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었던 연습생들의 리플레이 빼돌리기는 언급조차 하지 않는군요. 게다가 말이 끝나기 무섭게 기다렸다는 듯이 삼천포로 빠지는 김해설과 박해설..




(지금 포인트가 그게 아니잖습니까...)

그리고 이어지는 마지막 엄옹의 이슈 전환 화룡점정. 마씨드립이 나옵니다.



(이로써 다시 시청자들의 주의는 마씨에게로...)


이후에는 뜬구름 잡는 소리만 하다가 신상호선수의 출연으로 앞의 모든것이 묻혀버렸습니다.

이번 뒷담화에서 저는 Pain님의 글이 관계자분들의 심기를 꽤나 불편하게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커뮤니티의 오피니언 리더, 즉 네임드의 질타에 관계자로서 뭔가 호통은 쳐야겠는데 찬찬히 뜯어보면 다 맞는 소리고.. 에라 모르겠다 그래도 일단 까고 보는거지뭐 안되면 말고' 랄까요.

아무리 뒷담화가 온게임넷 고유 방송이라고는 하지만 이렇게 관계자들의 속내를 적나라하게 드러낼 필요는 없는것 같은데 말이죠. 방송을 다 보고 나니 못 볼 꼴을 본것 같아 기분이 많이 찜찜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번 뒷담화의 하이라이트, e스포츠 팬분들이라면 반드시 봐야되는 장면.




승부조작, 아직 끝난 것이 아닙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루로우니
10/07/05 10:58
수정 아이콘
벌벌 떨고 있을 선수가 있을라나..?
해골병사
10/07/05 10:58
수정 아이콘
Pain님의 글이 관계자분들에게 고통을 주었군요!

약으로 삼기에는 너무 맛이 썼나 봅니다 크크
Alan_Baxter
10/07/05 11:00
수정 아이콘
고용준 기자가 Pain님이 쓰신 글이라고 지목하지 않았던 이상, Pain님의 글을 특정해서 비판하려는 목적이 없어 보이는데요.
그것도 '어디 매체' 라는 표현은 언론을 표현할 때 쓰는 말이지 보통 커뮤니티 칼럼을 보고 하는 이야기는 아닌 듯 싶습니다.
제일앞선
10/07/05 11:01
수정 아이콘
요즘 뒷담화를 보면 말그대로 스타뒷담화가 아니라
온게임이 필요한 혹은 그동안 불편했던걸 일방적으로 말하고싶은 소통의 한수단으로 삼는듯합니다
10/07/05 11:04
수정 아이콘
(pain님 글보고 말하는건가요? 저는 그때 국회의원이랑 대화나눈 그 기사보고 하는 얘기 인줄 알았는데... 그리고 꼭 기사나 누구의 글이 아니라 저런 얘기 여러 커뮤니티에서 한마디씩 다 나온얘기 이지 않나요?)
저 얘기에서 중요한 것은 프로게이머 처우가 열악해서 조작을 했다는게 아니라는 거죠. 그 뒤에 장면에서도 나오지만 조작한 선수들이 돈 못벌어서 그런게 아니니까. 그리고 왜곡 했다는건 '연습생들 환경이 좋지 않다'라는-팩트를 왜곡한다는게 아니라 '환경이 좋지않아서 조작을 한다' 라는 말이 왜곡 됐다라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매콤한맛
10/07/05 11:18
수정 아이콘
페인님 칼럼뿐만 아니라 다른 기사에서도 처우문제를 언급한 기사가 있었던걸로 기억합니다.
김연우
10/07/05 11:27
수정 아이콘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10100518102804

이 기사를 말씀하시는거 같군요.
참고로 윤형님이 쓰신 이 기사에 역시 Pain님도 등장합니다.
밀가리
10/07/05 12:52
수정 아이콘
http://sports.media.daum.net/general/news/view.html?cateid=1001&newsid=20100528200022604&p=hani
이런 칼럼도 있습니다. 한겨례에서 나온 것이고 김동수 선수도 인터뷰 했으며 뒷담화에 나오는 "닭장"표현도 여기 기사에 나옵니다.
10/07/05 13:01
수정 아이콘
저도 뒷담화보면서 Pain님 글을 바로 떠올렸는데...링크된 칼럼들을 보니 Pain님의 글이라고 보긴 어렵겠네요
10/07/05 13:59
수정 아이콘
그런데 처우가 열악하다는게 초점을 어떤 식으로 맞추냐에 따라 맞는 말 아닌가요??
우리 나라 스포츠는 엘리트 스포츠로 특화 돼서 조명을 받는 극소수(비율로 봤을 떄) 말고는 대부분이 자신이 배운 것과 상관없는 새로운 길을 찾아 나가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역사가 불과 10여년정도 밖에 안되는 이스포츠계도 비슷한 모습을 보이며 기존 스포츠들보다 더 열악하면 열악했지 더 낫지는 않을거라고 생각되네요.
임요환, 이윤열, 이제동 처럼 적어도 그 시대에서는 탑을 차지하며 억대연봉을 받는 몇 선수들은 그나마 그 돈만큼 저축이라도 하고 은퇴하면 모치직이나 관련 일을 할 수 있겠지만 적당히 유명하고 잘 해서 일년에 몇천만원씩 받아봐야 결국 그게 끝 아닌가요?? 수입이 길어봐야 3,4년 지속될 것이고 우리 나라 상황상 젊은 나이에 게임 하는게 다른 활동처럼 나중에 뭘 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는 것도 아닌데 말이죠.
그나마 위에 말한 숫자도 극소수일뿐 대부분은 그렇다할 수익도 올리지 못하고 몇 년 프로게이머 하다가 결국 게임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길을 찾아가는게 현실인걸로 아는데.......

그리고 이렇게 얘기하면 괜히 트집잡는 분위기가 될 것 같지만 저는 열악한 환경도 조작사건의 이유 중 하나일 가능성은 있다고 봅니다. 제가 프로게이머들의 수입을 정확히 알 수는 없어서 확실히는 못하겠지만 마재윤 말고 정말 큰 돈을 번 선수는 없지 않나요??
그럴때마다
10/07/05 16:58
수정 아이콘
박용욱 해설은 '요즘 많이 편해졌다', '예전 같았으면'같은 군대 선임삘 드립은 좀 자제하셨으면 합니다.

진짜 너무 자주 언급하시는게 좀 짜증날 정도...
고생한게 자랑은 아니지 않습니까?

아무리 자신의 선택이었다고 하지만,
꽃다운 나이에 성공이라는 수천대 1의 좁은 문을 향해서,
무임금에 하루 14시간씩 닭장에 갖혀 몸이 녹아나는 연습생들을 처우를 보면...

이건 외쿡이라면 필시 소송감일게야...
왈월왈월
10/07/05 20:08
수정 아이콘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2212 6강진출팀 주요선수 포스트시즌 성적과 예상 [4] noknow4828 10/07/13 4828 0
42211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팀 최종 순위, 개인 순위, 특별한 순위까지.. [17] Alan_Baxter6933 10/07/13 6933 11
42210 AWT 이벤트전 AWT all star vs. WMF!! [211] kapH5129 10/07/13 5129 0
42209 최종 포스트시즌 구도가 나왔네요 [21] SKY925880 10/07/13 5880 0
42208 카운터-스트라이크 7월 2주차 주요소식 [3] epersys4889 10/07/13 4889 1
42207 오늘의 프로리그-하이트vsKT/화승vsMBCgame [256] SKY928400 10/07/13 8400 0
42206 프로리그 올스타전 팬투표 오늘 마감입니다. [21] 信主SUNNY7404 10/07/13 7404 0
42204 철권 크래쉬 본격적인 도전장 날리나요? 날리나요? 날리면.. [20] 빵pro점쟁이5876 10/07/13 5876 0
42203 2010년 7월 둘째주 WP 랭킹 (2010.7.11 기준) [6] Davi4ever5287 10/07/13 5287 0
42202 바뀐 프로리그 포스트시즌 룰 어떤 영향을 미칠까? [11] noknow6065 10/07/13 6065 0
42201 위메이드의 가능성 2 [17] 빵pro점쟁이5476 10/07/12 5476 0
42200 스타2 세레머니에 대해서 [29] steellord5519 10/07/12 5519 0
42199 그는 어디에 있나? [16] sO.Gloomy6513 10/07/12 6513 0
42198 선수들도 이 문제에 대해서 많이 동요하고 있었군요. [22] 물의 정령 운디9069 10/07/12 9069 0
42196 특정 종족전 전용맵에 관해. [15] 흔쾌한타나토6067 10/07/12 6067 0
42195 프로리그 포스트시즌 일정입니다. [36] 5699 10/07/12 5699 0
42192 오늘의 프로리그-Estrovs웅진/공군vsCJ [160] SKY925315 10/07/11 5315 0
42191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시즌, 떠오르는 신예 선수들 [16] epersys5745 10/07/11 5745 0
42190 16강 조별 풀리그 방식에 뭔가 변화가 필요합니다 // 그리고 36강 2차전 명칭 [12] 빵pro점쟁이5913 10/07/10 5913 0
42189 Bigfile 2010 MBC게임 스타리그 32강 C조(김택용의 3저그조 3번째 도전) [294] SKY928103 10/07/10 8103 0
42188 오늘의 프로리그-화승vs하이트/MBCgamevsKT(2) [87] SKY924621 10/07/10 4621 0
42187 폴라리스랩소디와 트라이애슬론. [4] ROKZeaLoT8944 10/07/10 8944 0
42186 오늘의 프로리그-화승vs하이트/MBCgamevsKT [231] SKY925333 10/07/10 533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