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6/22 09:41:24
Name 영웅과몽상가
Subject 김윤환 선수 부진의 원인은?
어제 김윤환 선수가 차명환 선수에게 패배하는 모습을 보면서 김윤환 선수의

패이스가 어느 정도 떨어졌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원래 이 글은 김택용 선수가 승리하지 않았다면 어제 쓰려고 했지만 승리하면서

오늘 글을 남깁니다.

눈빛은 그대로 인 건 분명한데 왠일인지 슬럼프가 찾아올 것 같지 않던 선수에게

슬럼프가 찾아온 것 같습니다.

최근 스타리그 윤용태 선수와의 경기 전 최근 10전이 2승 8패 였습니다.

순간 드는 생각이 "김윤환 선수가 그럴 선수가 아닌데라는 것과 왜 이렇게 주춤하지"

라는 것이 었습니다.

결국 최근 전적대로 상승세의 윤용태 선수에게 2:0으로 패배하게 되었습니다.

브레인이라고 불리던 선수가 프로토스를 상대로 운영한번 제대로 해보지 못하고 졌다는

점에서 그의 장기이던 프로토스 전 운영 또한 어느정도 금이 간 것은 분명한 듯 합니다.

그렇다고 못한다는 건 아닙니다.

어제도 차명환 선수에게 패하는 모습에서 뭔가 안풀린다는 답답한 느낌을 지울 수가 없었습니다.

김윤환 선수는 STX에 있어서 에이스이며, 김구현 선수와 더불어 팀을 이끌어가는 주축선수임이 분명합니다.

김윤환 선수가 지속적으로 부진했을 경우 2위 수성 또한 낙관하기 힘들어지고, 플토라인과 가뜩이나 부족하다고

평가받는 테란라인 또한 부진에 빠질 있는 가능성을 배재할 수 없습니다.

최근 상승세에 있는 T1과 위메이드, 그리고 3위팀인 MBC또한 2위자리를 노리고 있는 상황에서

김윤환 선수의 부진은 상당히 치명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김윤환 선수가 왜 부진에 빠졌는지 이해하기 힘든 대목이네요.

김윤환 선수가 다시금 자신의 자리를 찾는다면 충분히 제 몫은 다 해줄 수 있는 선수라고 봅니다.

P.S 김윤환 선수의 부진의 원인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6/22 10:01
수정 아이콘
잘나가던 시점에 정점을 찍지 못하면 당분간 정체기에 빠지는 그런 케이스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선수가 그랫듯이 스스로 극복하고 올라와야죠 ^^ 개인리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다면 곧 살아나리라 봅니다!
파일롯토
10/06/22 10:07
수정 아이콘
이제동선수도 1년 12달 다잘하는게아니니까요... 6월슬럼프?
10/06/22 10:12
수정 아이콘
다전제에서 완벽히 지고 나면 이런 슬럼프를 겪는 선수들이 많죠.
실력이 있는 선수이니 다시 올라올꺼라 믿습니다.
10/06/22 10:24
수정 아이콘
저도 이 주제로 글을 적고 있었는데 몽상가님께서 먼저 올리셔서 코멘트화 합니다.
글을 약간 수정해 옮긴것이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어제 STX와 삼성전자의 경기를 보니 삼성전자가 확실히 기세가 좋더군요.
결국 삼성전자가 송병구-허영무-차명환 선수카드로 승리를 해 5연승을 찍었습니다.

반면 2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는 STX가 4연패의 부진에 고전하고 있었는데
에이스 주전들이 제 실력을 발휘하지 못하면서 불안불안 해졌네요..
사실 STX가 5라운드전에는 KT를 바짝 위협한 적도 있었는데 갑자기 뜬금없이 이렇게 무너지기 시작하니
보는 입장에서 답답하기도 하고 갑자기 왜 이럴까 나름대로 궁금했습니다.

생각해보니 STX에 에이스에 속하는 김윤환 선수가 요즘들어 이겼던 기억이 전혀없어서 성적이 어떤가 한번 찾아보았는데

현재 케스파랭킹 4위 / 다승순위 11위 54전 31승 23패 57.4%
최근 10경기 1승9패 (5연패) 테란전 4승6패 (3연패) 저그전 4승6패 토스전 5승5패 (2연패)로 상당히 저조하였습니다.
테란전이야 그렇다쳐도 잘해왔던 저저전도 어제 경기를 보니 똑같은 빌드로 시작했는데 무난히 밀리더군요.
그나마 기세좋던 토스전까지도 윤용태 선수에게 내리 2연패 당하면서 스타리그도 탈락했습니다.

부진이 시작된 시기를 찾아보니까 5월 하나대투MSL 4강전 이후로 급격한 내리막길을 타고있었습니다.
그전까지는 5연승을 달리면서 기세좋게 4강전에 임했었는데 말이죠.

4강전 이후에 김윤환 선수의 6월6일자 인터뷰를 보면 (이게 최근 인터뷰네요;;)
- MSL 탈락이 프로리그 연패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나
제동이에게 지고 난 뒤 이상하게 패배가 많아졌다.
상대가 나보다 준비를 잘해온 느낌을 많이 받았는데 오늘을 기점으로 다시 승리를 쌓아가겠다.

- 9드론 저글링 러시를 시도했는데 이 전략을 선택한 이유는
제동이한테 지고 난 뒤 저그전이 안 풀린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공격적으로 경기하자는 생각으로 9드론 전략을 시도했다.

MSL탈락이 부진의 원인이라고 저는 생각되네요.
예전에 한번 다전제에서 이겼던 상대이고 해볼만 하다 생각했을텐데 자신이 준비한건 제대로 하지도 못하고
무기력하게 져서 그로인해 자신감마저 상실한게 아닐까...


더딘걸음으로 한단계 한단계 올라가 아발론MSL에서 기어코 이제동 선수를 꺾고 눈물을 흘리던 모습이 생생합니다.
그만큼 어려운 상대를 뚫고 기어이 우승을 차지하면서 저그의 최강자의 자리에 이름을 올렸고 지금까지 왔습니다.

경력있는 선수이고 똑똑한 선수이니까 이정도쯤은 보란듯이 극복해냈으면 합니다.
김택용 선수도 꽤나 부진이 길었었는데 요즘에는 개인리그도 통과하고 어제는 에결에서 이겨 오랜만에 팀에 승리를
안겨주고 웃는 모습에 제가 다 기뻤는데 김윤환 선수도 다시 일어서서 브레인저그의 막강함을 보여주었으면 싶네요.

각성합시다 김윤환 선수!
패배에 익숙해지다니.. 어울리는 모습이 아니지 말입니다아-
비회원
10/06/22 13:02
수정 아이콘
거래량 실어서 전고점을 돌파, 안착하지 못하는 바람에 일시 조정중일뿐
김윤환 선수의 펀더멘탈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보유의견을 제시합니다.

물론 투자의 모든 책임은 본인에 귀속합니다.
한승연은내꺼
10/06/22 13:02
수정 아이콘
어제경기는 똑같이시작했는데 그대로 밀려버리는.....
테페리
10/06/22 14:36
수정 아이콘
어젠 같은빌드가 아니었을걸요
차명환은 9레어
김윤환은 9발업이었다가 차명환 빌드보고 발업 취소하고 레어찍은것같네요
애초에 원서치한 차명환이 많이 유리했져
글고 김윤환 부진은 일시적이라고 생각여
원래 잘하던 선수니까여
블랙독
10/06/22 17:36
수정 아이콘
저는 김윤환 선수뿐만 아니라 저그 전체가 부진하다고 생각되네요.
요 며칠 사이 플토한테 잡아먹히고 있지 않나요?
빅토리고
10/06/22 17:52
수정 아이콘
최근 김윤환 선수 보면 브레인 저그라서 그런지 몰라도 지나치게 도박수로만 승부하는 경향이 많더군요.... 성공하면 좋겠지만 막히면 뒤가 없는 전략을 많이 쓰던데.... 장기전이 훌륭했던 선수인데 자신감이 떨어져서인지 빨리 승부를 보려고 하더군요.... 컨트롤 실수도 보이구요...
ROKZeaLoT
10/06/22 19:12
수정 아이콘
특히 윤용태선수와의 태풍의눈 경기는 준비해온 수가 거의 맞아떨어졌는데도 어이없게 무너져서 좀 충격이었습니다;
10/06/22 21:09
수정 아이콘
리쌍에게 얻어맞은 데미지가 역시나 크긴 크죠;; 리쌍 둘에게 얻어맞아서 슬럼프 얻은 게이머가 한둘이 아닌듯.....
TheUnintended
10/06/23 06:49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예측이지만 김윤환선수는 다시 부활하지는 못할것 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2145 Mind player - Eagle Jung woo(김정우) [14] 국제공무원5820 10/07/03 5820 3
42144 스타뒷담화(게스트:신상호) [84] SKY929183 10/07/02 9183 0
42143 대한항공 2010 스타리그 Season 2 36강 6회차 [297] SKY926423 10/07/02 6423 1
42142 Electronic Sports World Cup™ 2010 Grand Final - 2일차 [7] kimbilly4808 10/07/02 4808 0
42141 프로리그 6강탈락팀 그 이유는? [21] noknow7641 10/07/02 7641 0
42140 스타2의 18세 버젼의 가능성! [9] 힘내라!도망자7697 10/07/02 7697 0
42138 [기사펌] 대한항공 조현민 스타크래프트 마케팅 뜬다 [21] 창이7841 10/07/02 7841 0
42137 빅파일 MSL 32강 A,B조(3) [126] SKY926348 10/07/01 6348 0
42136 이영호 선수와 김정우 선수 방금 경기 보셨나요? [45] 산들바람10744 10/07/01 10744 0
42135 빅파일 MSL 32강 A,B조(2) [168] SKY925173 10/07/01 5173 0
42134 Electronic Sports World Cup™ 2010 Grand Final - 1일차 [11] kimbilly4828 10/07/01 4828 0
42133 빅파일 MSL 32강 A,B조 [248] SKY925838 10/07/01 5838 0
42132 스타크래프트 2의 가격 정책에 대하여. [75] DEICIDE6721 10/07/01 6721 0
42131 올드보이에 바치는 헌사 [5] lost myself5484 10/07/01 5484 0
42130 조현민 팀장님의 초대로 간 용산(영웅의 귀환을 기다리며~) [8] 아우구스투스8010 10/07/01 8010 0
42129 대한항공 2010 스타리그 Season 2 36강 5회차(4) [124] SKY924996 10/06/30 4996 0
42127 대한항공 2010 스타리그 Season 2 36강 5회차(3) [179] SKY924662 10/06/30 4662 0
42126 대한항공 2010 스타리그 Season 2 36강 5회차(2) [127] SKY924756 10/06/30 4756 0
42125 위메이드 폭스 워3 이벤트 당첨자 발표 [11] reality4278 10/06/30 4278 3
42124 대한항공 2010 스타리그 Season 2 36강 5회차 [229] SKY924354 10/06/30 4354 0
42123 프로리그, 남은 포스트시즌 카드 2장의 행방은? [12] 허느5510 10/06/30 5510 0
42122 오늘의 프로리그-MBCgamevsSKT/삼성vs하이트 [175] SKY925278 10/06/30 5278 0
42121 상성..이란? [10] 프리티카라승5107 10/06/29 510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