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6/04 02:01:40
Name 개념은나의것
File #1 The_Highest_Ranking_of_Each_Race_in_OSL.jpg (202.7 KB), Download : 29
File #2 The_Highest_Ranking_of_Each_Race_in_MSL.jpg (196.6 KB), Download : 26
Subject 역대 양대리그 종족별 성적 분석








♣ 역대 양대리그 종족별 성적 분석 ♣


원문: http://cafe.naver.com/fafostar/224


* 전신(前身) 대회는 포함하며 이벤트성 대회 및 월별 리그는 제외함.
* 동명이인이 등재될 경우 KeSPA식 성명 구분법에 따름.
* 해당 대회 본선 경기의 85%(단, 5위 이하는 75%) 이상을 동일 종족으로 치르지 않은 선수의 종족은 기타(R)로 분류함.
* 3·4위전이 없었던 온게임넷 스타리그의 경우, 해당 양 선수를 공동 3위로 인정하는 현행 온게임넷 스타리그 순위 결정 방식에 따름.
* 3·4위전이 없었던 MSL의 경우, 해당 양 선수의 승률을 기준으로 3, 4위를 구분하는 현행 MSL 순위 결정 방식에 따름.
 (http://www.mbcgame.co.kr/program/hall_of_fame.asp?Top_CD=G_PG&Sub_Title=PP)
* 5위 이하의 순위 구분은 상위 단계 진출 여부에 의거하며, 동일 단계에서 발생한 복수(複數) 탈락자는 승률, 재경기, 와일드카드 결정전, 시드 결정전 등에 관계없이 동일 성적으로 간주함. 단, 조별 리그가 듀얼 토너먼트 방식으로 치러진 경우 최종전 탈락자의 성적을 패자전 탈락자의 성적보다 우위에 둠.
* 진행 중인 대회의 실적은 반영하지 않음.
* 관련 글: 개념은나의것,「주요 개인리그 역대 결승 결과 정리」, 2007, http://cafe.naver.com/fafostar/196



Ⅰ. 역대 양대리그 우승자/준우승자
 ο '대회 순번. 우승자(종족) : 준우승자(종족) - 결승일 - 대회명' 서식 기재.

 ▲ 온게임넷 스타리그
  pre. 최진우(R) : 국기봉(Z) - 1999.12.30 - '99 PKO
   1. 기욤 패트리(R) : 강도경(Z) - 2000.05.16 - 하나로통신
   2. 김동수(P) : 봉준구(R) - 2000.11.01 - 프리챌
   3. 임요환(T) : 장진남(Z) - 2001.05.05 - 한빛소프트
   4. 임요환(T) : 홍진호(Z) - 2001.09.08 - 코카콜라
   5. 김동수(P) : 임요환(T) - 2001.12.28 - 스카이 2001
   6. 변길섭(T) : 강도경(Z) - 2002.06.15 - 네이트
   7. 박정석(P) : 임요환(T) - 2002.10.12 - 스카이 2002
   8. 이윤열(T) : 조용호(Z) - 2003.02.14 - 파나소닉
   9. 서지훈(T) : 홍진호(Z) - 2003.07.13 - 올림푸스
  10. 박용욱(P) : 강 민(P) - 2003.11.09 - 마이큐브
  11. 강 민(P) : 전태규(P) - 2004.03.21 - NHN 한게임
  12. 박성준(Z) : 박정석(P) - 2004.08.01 - 질레트
  13. 최연성(T) : 임요환(T) - 2004.11.20 - 에버 2004
  14. 이윤열(T) : 박성준(Z) - 2005.03.05 - 아이옵스
  15. 박성준(Z) : 이병민(T) - 2005.07.02 - 에버 2005
  16. 오영종(P) : 임요환(T) - 2005.11.05 - SO1
  17. 최연성(T) : 박성준(Z) - 2006.03.04 - 신한은행 2005
  18. 한동욱(T) : 조용호(Z) - 2006.06.23 - 신한은행 2006 시즌1
  19. 이윤열(T) : 오영종(P) - 2006.11.18 - 신한은행 2006 시즌2
  20. 마재윤(Z) : 이윤열(T) - 2007.02.24 - 신한은행 2006 시즌3
  21. 김준영(Z) : 변형태(T) - 2007.07.21 - 다음
  22. 이제동(Z) : 송병구(P) - 2007.12.22 - 에버 2007
  23. 이영호(T) : 송병구(P) - 2008.03.15 - 박카스 2008
  24. 박성준(Z) : 도재욱(P) - 2008.07.12 - 에버 2008
  25. 송병구(P) : 정명훈(T) - 2008.11.01 - 인크루트
  26. 이제동(Z) : 정명훈(T) - 2009.04.04 - 바투
  27. 이제동(Z) : 박명수(Z) - 2009.08.22 - 박카스 2009
  28. 이영호(T) : 진영화(P) - 2010.01.17 - 에버 2009
  29. 김정우(Z) : 이영호(T) - 2010.05.22 - 대한항공


 ▲ MSL
  pre. 임요환(T) : 홍진호(Z) - 2002.04.14 - KPGA 투어 2002 1차
  pre. 이윤열(T) : 홍진호(Z) - 2002.06.22 - KPGA 투어 2002 2차
  pre. 이윤열(T) : 박정석(P) - 2002.10.05 - KPGA 투어 2002 3차
  pre. 이윤열(T) : 조용호(Z) - 2003.01.18 - KPGA 투어 2002 4차
   1. 강 민(P) : 이윤열(T) - 2003.07.19 - 스타우트
   2. 최연성(T) : 홍진호(Z) - 2003.11.30 - TG삼보
   3. 최연성(T) : 이윤열(T) - 2004.04.18 - 하나포스 센게임
   4. 최연성(T) : 박용욱(P) - 2004.08.29 - 스프리스
   5. 박태민(Z) : 이윤열(T) - 2005.02.06 - 당신은 골프왕
   6. 마재윤(Z) : 박정석(P) - 2005.08.06 - 우주
   7. 조용호(Z) : 마재윤(Z) - 2006.01.14 - 싸이언
   8. 마재윤(Z) : 강 민(P) - 2006.07.16 - 프링글스 시즌1
   9. 마재윤(Z) : 심소명(Z) - 2006.11.11 - 프링글스 시즌2
  10. 김택용(P) : 마재윤(Z) - 2007.03.03 - 곰TV 시즌1
  11. 김택용(P) : 송병구(P) - 2007.07.14 - 곰TV 시즌2
  12. 박성균(T) : 김택용(P) - 2007.11.17 - 곰TV 시즌3
  13. 이제동(Z) : 김구현(P) - 2008.03.08 - 곰TV 시즌4
  14. 박지수(T) : 이제동(Z) - 2008.07.26 - 아레나
  15. 김택용(P) : 허영무(P) - 2008.11.22 - 클럽데이 온라인
  16. 박찬수(Z) : 허영무(P) - 2009.03.21 - 로스트사가
  17. 김윤환(Z) : 한상봉(Z) - 2009.08.30 - 아발론
  18. 이제동(Z) : 이영호(T) - 2010.01.23 - 네이트
  19. 이영호(T) : 이제동(Z) - 2010.05.29 - 하나대투증권






Ⅱ. 각 종족 대회별 최고 성적
 ο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의 진행에서 탈락한 선수의 성적 표기는 다음에 준함.
  - 패자 8강 1라운드 탈락=16강, 패자 8강 2라운드 탈락=12강, 패자 4강 1라운드 탈락=8강, 패자 4강 2라운드 탈락=6강, 패자 준결승 탈락=4위, 패자 결승 탈락=3위.

 ▲ 온게임넷 스타리그

  pre. '99 PKO
    · Z: 국기봉 - 준우승
    · T: 박상규 - 8강
    · P: 김태목 - 4위

   1. 하나로통신
    · Z: 강도경 - 준우승
    · T: 김동구, 김슬기, 김정민, 도진광 - 16강
    · P: 이기석 - 8강

   2. 프리챌
    · Z: 박찬문 - 3위
    · T: 최수범¹, 문상헌 - 24강
    · P: 김동수 - 우승

   3. 한빛소프트
    · Z: 장진남 - 준우승
    · T: 임요환 - 우승
    · P: 기욤 패트리 - 3위

   4. 코카콜라
    · Z: 홍진호 - 준우승
    · T: 임요환 - 우승
    · P: 임성춘 - 8강

   5. 스카이 2001
    · Z: 홍진호 - 4위
    · T: 임요환 - 준우승
    · P: 김동수 - 우승

   6. 네이트
    · Z: 강도경 - 준우승
    · T: 변길섭 - 우승
    · P: 손승완 - 8강

   7. 스카이 2002
    · Z: 홍진호 - 3위
    · T: 임요환 - 준우승
    · P: 박정석 - 우승

   8. 파나소닉
    · Z: 조용호 - 준우승
    · T: 이윤열 - 우승
    · P: 김동수, 박정석 - 16강

   9. 올림푸스
    · Z: 홍진호 - 준우승
    · T: 서지훈 - 우승
    · P: 이재훈, 전태규, 박용욱 - 16강

  10. 마이큐브
    · Z: 박경락 - 3위
    · T: 서지훈, 임요환 - 8강
    · P: 박용욱 - 우승

  11. NHN 한게임
    · Z: 변은종 - 4위
    · T: 나도현 - 3위
    · P: 강 민 - 우승

  12. 질레트
    · Z: 박성준 - 우승
    · T: 최연성 - 3위
    · P: 박정석 - 준우승

  13. 에버 2004
    · Z: 홍진호 - 4위
    · T: 최연성 - 우승
    · P: 박정석 - 3위

  14. 아이옵스
    · Z: 박성준 - 준우승
    · T: 이윤열 - 우승
    · P: 박정석 - 16강

  15. 에버 2005
    · Z: 박성준 - 우승
    · T: 이병민 - 준우승
    · P: 박정석 - 8강

  16. SO1
    · Z: 박성준 - 8강
    · T: 임요환 - 준우승
    · P: 오영종 - 우승

  17. 신한은행 2005
    · Z: 박성준 - 준우승
    · T: 최연성 - 우승
    · P: 박지호 - 3위

  18. 신한은행 2006 시즌1
    · Z: 조용호 - 준우승
    · T: 한동욱 - 우승
    · P: 강 민, 송병구, 안기효 - 16강

  19. 신한은행 2006 시즌2
    · Z: 박태민, 박성준1 - 8강
    · T: 이윤열 - 우승
    · P: 오영종 - 준우승

  20. 신한은행 2006 시즌3
    · Z: 마재윤 - 우승
    · T: 이윤열 - 준우승
    · P: 박영민 - 8강

  21. 다음
    · Z: 김준영 - 우승
    · T: 변형태 - 준우승
    · P: 송병구 - 3위

  22. 에버 2007
    · Z: 이제동 - 우승
    · T: 신희승 - 4위
    · P: 송병구 - 준우승

  23. 박카스 2008
    · Z: 박찬수 - 공동 3위
    · T: 이영호 - 우승
    · P: 송병구 - 준우승

  24. 에버 2008
    · Z: 박성준 - 우승
    · T: 이영호 - 8강
    · P: 도재욱 - 준우승

  25. 인크루트
    · Z: 김준영 - 공동 3위
    · T: 정명훈 - 준우승
    · P: 송병구 - 우승

  26. 바투
    · Z: 이제동 - 우승
    · T: 정명훈 - 준우승
    · P: 김택용 - 공동 3위

  27. 박카스 2009
    · Z: 이제동 - 우승
    · T: 정명훈 - 공동 3위
    · P: 손찬웅, 송병구, 김택용 - 16강

  28. 에버 2009
    · Z: 김윤환, 이영한 - 공동 3위
    · T: 이영호 - 우승
    · P: 진영화 - 준우승

  29. 대한항공
    · Z: 김정우 - 우승
    · T: 이영호 - 준우승
    · P: 박세정, 김구현 - 공동 3위


 ▲ MSL

  pre. KPGA 투어 2002 1차
    · Z: 홍진호 - 준우승
    · T: 임요환 - 우승
    · P: 임성춘 - 3위

  pre. KPGA 투어 2002 2차
    · Z: 홍진호 - 준우승
    · T: 이윤열 - 우승
    · P: 이재훈 - 8강

  pre. KPGA 투어 2002 3차
    · Z: 홍진호 - 6강
    · T: 이윤열 - 우승
    · P: 박정석 - 준우승

  pre. KPGA 투어 2002 4차
    · Z: 조용호 - 준우승
    · T: 이윤열 - 우승
    · P: 전태규 - 6강

   1. 스타우트
    · Z: 조용호 - 4위
    · T: 이윤열 - 준우승
    · P: 강 민 - 우승

   2. TG삼보
    · Z: 홍진호 - 준우승
    · T: 최연성 - 우승
    · P: 강 민 - 12강

   3. 하나포스 센게임
    · Z: 조용호 - 6강
    · T: 최연성 - 우승
    · P: 강 민 - 4위

   4. 스프리스
    · Z: 박성준 - 8강
    · T: 최연성 - 우승
    · P: 박용욱 - 준우승

   5. 당신은 골프왕
    · Z: 박태민 - 우승
    · T: 이윤열 - 준우승
    · P: 박용욱 - 8강

   6. 우주
    · Z: 마재윤 - 우승
    · T: 최연성 - 4위
    · P: 박정석 - 준우승

   7. 싸이언
    · Z: 조용호 - 우승
    · T: 최연성 - 3위
    · P: 강 민, 박정석 - 6강

   8. 프링글스 시즌1
    · Z: 마재윤 - 우승
    · T: 전상욱 - 3위
    · P: 강 민 - 준우승

   9. 프링글스 시즌2
    · Z: 마재윤 - 우승
    · T: 서지훈 - 6강
    · P: 강 민 - 3위

  10. 곰TV 시즌1
    · Z: 마재윤 - 준우승
    · T: 진영수 - 3위
    · P: 김택용 - 우승

  11. 곰TV 시즌2
    · Z: 박태민 - 3위
    · T: 이성은 - 4위
    · P: 김택용 - 우승

  12. 곰TV 시즌3
    · Z: 마재윤 - 3위
    · T: 박성균 - 우승
    · P: 김택용 - 준우승

  13. 곰TV 시즌4
    · Z: 이제동 - 우승
    · T: 박성균 - 4위
    · P: 김구현 - 준우승

  14. 아레나
    · Z: 이제동 - 준우승
    · T: 박지수 - 우승
    · P: 박영민 - 4위

  15. 클럽데이 온라인
    · Z: 박명수 - 8강
    · T: 이성은, 이윤열 - 8강
    · P: 김택용 - 우승

  16. 로스트사가
    · Z: 박찬수 - 우승
    · T: 신상문, 이윤열, 박지수 - 8강
    · P: 허영무 - 준우승

  17. 아발론
    · Z: 김윤환 - 우승
    · T: 변형태 - 3위
    · P: 김택용 - 8강

  18. 네이트
    · Z: 이제동 - 우승
    · T: 이영호 - 준우승
    · P: 김구현 - 4위

  19. 하나대투증권
    · Z: 이제동 - 준우승
    · T: 이영호 - 우승
    · P: 윤용태 - 4위






Ⅲ-1. 각 리그 역대 결승전 종족 구성

 ▲ 온게임넷 스타리그
  1. (T vs Z): 13회(8:5, 테란 우세)
  2. (P vs T): 7회(4:3, 프로토스 우세)
  3. (Z vs P): 3회(3:0, 저그 우세)
  4. (P vs P): 2회
  5. (T vs T): 1회
  5. (Z vs Z): 1회
  - 기타: 3회


 ▲ MSL
  1. (T vs Z): 8회(6:2, 테란 우세)
  2. (Z vs P): 5회(4:1, 저그 우세)
  3. (T vs P): 4회(3:1, 테란 우세)
  4. (Z vs Z): 3회
  5. (P vs P): 2회
  6. (T vs T): 1회
  - 기타: 0회




Ⅲ-2. 역대 양대리그 결승전 종족 구성

 ▲ 양대리그 도합
  1. (T vs Z): 21회(14:7, 테란 우세)
  2. (T vs P): 11회(6:5, 테란 우세)
  3. (Z vs P): 8회(7:1, 저그 우세)
  4. (P vs P): 4회
  4. (Z vs Z): 4회
  6. (T vs T): 2회
  - 기타: 3회






Ⅳ-1. 각 리그 종족별 우승/준우승 횟수

 ▲ 온게임넷 스타리그
  1. 테란(T): 우승 12회, 준우승 10회
  2. 저그(Z): 우승 9회, 준우승 11회
  3. 프로토스(P): 우승 7회, 준우승 8회
  - 기타(R): 우승 2회, 준우승 1회


 ▲ MSL
  1. 테란(T): 우승 10회, 준우승 4회
  2. 저그(Z): 우승 9회, 준우승 10회
  3. 프로토스(P): 우승 4회, 준우승 9회
  - 기타(R): 우승 0회, 준우승 0회




Ⅳ-2. 역대 양대리그 종족별 우승/준우승 횟수

 ▲ 양대리그 도합
  1. 테란(T): 우승 22회, 준우승 14회
  2. 저그(Z): 우승 18회, 준우승 21회
  3. 프로토스(P): 우승 11회, 준우승 17회
  - 기타(R): 우승 2회, 준우승 1회



[註]
¹ '최우범'으로 개명했으나 반영하지 않음.

종합 작성: 개념은나의것 http://cafe.naver.com/fafostar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랑의바보
10/06/04 02:03
수정 아이콘
프로토스는...많이 무너졌네요..
장진기
10/06/04 02:53
수정 아이콘
택신의 위엄
저그를 압도하는 토스라....
지금 상황에서 생각해보면 엄청난 위업입니다
10/06/04 08:12
수정 아이콘
저프 7:1이라.. 정말 김택용선수의 위엄이네요.
BoSs_YiRuMa
10/06/04 08:27
수정 아이콘
..기록으로 보니까 저징징할때가 아니었네요. 토스분들은 얼마나 눈물을 흘리셧을지..(..)
다가오더라도
10/06/04 09:26
수정 아이콘
진짜...예전에 박정석 강민 박용욱 시대는...정상급 저그는 못 이긴다는 말이 있었죠..지금이야 더블넥에 2가스 안전하게 줬지만..예전에는 노스텔지어만 봐도...패스트 리버로 시간 벌면서 앞마당 먹고 발업 질럿으로 시간 끌면서 제2가스 먹었던...하물며 머큐리..등은..

많은 토스팬들을 좌절하게 만들었죠.,.
해골병사
10/06/04 09:39
수정 아이콘
테란과 우승횟수가 동수가 될때 자축하는 글이 겜게에 올라왔으면 하네요
그럴수 있을지 그때까지 스타1이 버텨줄지 모르겠지만;;

(은근히 압뷁의 4회차이.. 이거 의외로 오래걸릴수도-_-)
信主SUNNY
10/06/04 09:52
수정 아이콘
봉준구선수가 김동수선수에게 진게 있어서 7:2나 다름없죠. 그렇더라도 저그가 토스에게 많이 앞서있지만요.
천부경
10/06/04 10:10
수정 아이콘
▲ 양대리그 도합
  1. 테란(T) : 우승 22회, 준우승 14회
  2. 저그(Z) : 우승 18회, 준우승 21회
  3. 프로토스(P) : 우승 11회, 준우승 17회
이것을 승률로 환산하면
1. 테란(T) : 59.5%
  2. 저그(Z) : 46.2%
  3. 프로토스(P) : 39.3%
차이가 확실히 많이 나네요.
스누피
10/06/06 10:03
수정 아이콘
msl의 프로토스 4회우승중 3회가 김택용 선수라는;; 후덜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2977 역대 양대리그 종족별 성적 분석 [2] 개념은나의것5035 10/09/13 5035 0
41954 역대 양대리그 종족별 성적 분석 [9] 개념은나의것5347 10/06/04 5347 0
41771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6월 로스터가 발표되었습니다. [47] 민죽이9129 10/05/26 9129 0
40819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시즌 4라운드 로스터가 발표됐습니다. [16] 예수6624 10/04/08 6624 0
40347 현역 프로게임팀 코치들의 현역 생활은? [37] 彌親男9793 10/02/16 9793 0
40201 역대 양대리그 종족별 성적 분석 [17] 개념은나의것5032 10/01/29 5032 0
38892 주요 프로게이머 닉네임 정리 - Edition for PGR21 [38] 개념은나의것9902 09/09/17 9902 1
38870 역대 양대리그 종족별 성적 분석 [8] 개념은나의것5211 09/09/09 5211 1
37297 2003년~2009년까지 대형 선수 이적사례 [25] 아주큰행복6273 09/03/13 6273 0
36956 그래프로 살펴보는 역대 스타리그,MSL 16강~결승 랭킹 DB [17] 중견수6391 09/02/12 6391 0
36926 당시 WP랭킹으로 보는 06~08년 스타리그,MSL 리그 순위 [6] 중견수4730 09/02/10 4730 0
36608 좋아하지 않아도 미워하진 말자.. [7] TaCuro3998 09/01/12 3998 0
36137 12월 로스터가 나왔네요. [32] Mercury]Lucifer7141 08/11/27 7141 0
35698 아무도 안올리기에 올려보는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10월 로스터 [32] 회전목마7937 08/09/29 7937 0
35408 결승전 리뷰 & 몇가지 [21] 종합백과3992 08/08/09 3992 0
34432 스타리그의 집착을 버리다. [9] TaCuro5881 08/03/26 5881 5
31689 새로운 역사가 쓰여졌습니다! [13] My name is J4017 07/08/04 4017 0
31687 삼성전자 칸의 우승을 축하합니다. [24] 종합백과3739 07/08/04 3739 0
27490 [부고] 삼성전자 프로게이머 최수범 부친상 [154] TicTacToe5902 06/11/27 5902 0
17343 [강추]스타크래프트 50대사건 네이버에서 펌~ [21] 톰과란제리7293 05/10/15 7293 0
12087 제가 팀리그시뮬레이터로 연 팀리그 [14] 러쉬고~☆3668 05/04/02 3668 0
12052 달라진 팀들의 현재 위상 [10] 이재석4950 05/04/01 4950 0
12039 각 팀별 원투펀치는 누구일까요? [19] 이재석3776 05/03/31 377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