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5/27 17:16:41
Name 게임균형발전
Subject 결국 스타1은 사라지고 스타크래프트2가 대한민국 e스포츠를 대표하는 게임이될수밖에 없습니다.
스타2 베타를 해보신분이라면 다들아시겠지만
스타2의 게임스타일과 플래이감각은 스타1와 거의 같다고 할정도로 비슷합니다.
스타2를 못해보셨더라도
지금 스타2의 상위랭커가 대부분 스타1의 프로게이머출신이란것만 생각해봐도 얼마나 비슷한지 예상되시리라생각합니다.
게임템포는 스타1때 한시간에 3경기를 진행했다면 지금은 4경기 이상을 진행할정도로 스타1 보다 훨씬빨라졌습니다.
유닛간 상성이 더욱높아져서 전략이 스타1보다 더욱중요해졌고 게임이 불리한상황에서도
이런 유닛간의 상성부분으로 역전하는 역전극의 비율이 스타1에 비해 굉장히 높아졌습니다.

상상을 초월한 모든것이 가능한 맵에디터
스타1에 비해 어마어마하게 발전한 옵저버화면등 뿐만 아니라
게임플래이의 보는 재미는 정말이지
그야말로 e스포츠를 위해 나온게임이라고해도 과연이 아닙니다.

지재권을 가지고있는 블리자드와 케스파의 관계
(최근의 블리자드모하임대표가 한국에 직접와서 프로게이머 스타2베타키증정간담회에 케스파보이콧으로
모이기로한 프로게이머가 단한명도 안와서 블리자드대표가 망신당한것이나
비밀협약약정을 맺고 계약이 틀어지니 언론사에 불리했던 협약내용을 바로노출한것부터
그이전의
블리자드공식인증의 곰티비클래식스타대회에서 케스파의 집단보이콧으로 계획된 4시즌대회가 중단되고
블리자드인비테이셔널에 프로게이머 이벤트전의 방해등 셀수없는 트러블들)

이것으로 볼때 앞으로의 스타2발매이후의 방송경기또한 불투명하며
이건 스타2를 하면서 느낀 제의견이지만
장담하건데 스타2가나오면 스타1의 자리를 반드시 대체합니다.

스타1을 하는사람은 스타2가 발매되면 모두누구나 해볼것입니다.

제경우나 주위를 봐도
스타1의 기대감으로 그렇게 스타2에 적응한사람은 스타1은 다시하기 힘듬니다.
"모든게 똑같지만 모든게 발전도있다"

스타 부르드워가 나오고나서 적응이되면 오리지날을 할수없듯이
디아블로2가나와서 익숙해져면 디아블로1를 하기힘들듯이
워크3 프로즌쓰론 해본사람은 워3오리지날을 못하듯이
이번경우에도 스타2를 해본사람은 스타1을 대체 할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이전에도 이후에도 그랬지만 항상
스타2도 블리자드가 유저에게 실망을 주지않는
게임을 만들어 냈기때문입니다.

그리고  스타2 흥행에 하등도움될것도없도
세계적으로 볼때
성공한 12년된 고전게임정도로 밖에 가치가 미미한
스타1은 사라질수밖에 없습니다.



제가 같은게시판에
스타2가나오면 스타1을 대체한다는걸 주제로 하여

어떻게 해야하는가에 대한 글을 몇번이나 올렸지만
똑같은 글을 대하는
루리웹,파코즈,블로그,pgr21에 올리고 리플을 반응을 살펴본봐로보면
나머지사이트에서는 대부분인정하고 케스파자리또한 다른경쟁자가 대체했으면
좋겠다고 하는 리플이 대부분이였습니다만.
(사실 pgr21을 제외하곤 스타2가 1을 대체한다. 케스파가 사라지고 다른단체가 대체해야한다.라는 주제의
글에대에 반대하는 리플이 단하나도 없었습니다.)

유독 pgr21에서는

스타2는 스타1를 뛰어넘을수없다
설사 스타2가 스타1을 대체하더라도 e스포츠를 사랑하는 팬이면 스타2를 외면할것이다
스타2가 스타1자리를 대체한다면 e스포츠를 안볼것이다같은 리플이 대다수였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엔 이 차이는

스타크래프트란 게임을 사랑하는 팬과 스타라는 게임보다
스타크래프트의 프로게이머를 사랑하는 팬의 차이라고 생각됩니다.
게임보다 응원하는 프로게이머가 더중요하기때문에 이런 견해차이가 벌어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중요한건 이미 케스파와 블리자드사이는 돌이킬수없는상태고
블리자드는 곰tv와 독점 계약을 이미 마친상태라는 겁니다.
피할수 없다면 즐기라는 말처럼
유저와 팬입장에서는 이상황을 스타크래프트2가 나오는 하나의 축제로써 즐기는게
올타고 생각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5/27 17:21
수정 아이콘
스타1과 스타2리그가 공존할 수 없다는 말씀에는 별로 동감되지 않지만,
스타2 해본 사람은 스타1을 대체할 수밖에 없다는 말에는 공감합니다.

제 경우만 하더라도 스타2 베타 당첨되기 전날까지 거의 하루도 빠지지 않고 스타1을 플레이했었지만,
스타2 베타를 플레이해본 이후로 현재까지 스타1은 켜본 적도 없으니까요.
10/05/27 17:22
수정 아이콘
제 똥컴은 스타2가 돌아가지 않네요..;
임이최마율~
10/05/27 17:22
수정 아이콘
스타 부르드워가 나오고나서 적응이되면 오리지날을 할수없듯이

이 문구 공감되네요
밀가리
10/05/27 17:24
수정 아이콘
지겹도록 한말이지만, 스마트폰을 안쓰는 사람에게 스마트폰 좋다고 해봐야 얼마나 좋은지 모르죠.
스타2나오고 많은 플레이를 해보시면, 아시겠죠.
솔직한 말로 스타2 익숙하면 스타1은 눈이랑 손이 짜증나서 배척하게 됩니다.
마스터오브블
10/05/27 17:27
수정 아이콘
시간이 해결해 줄듯하네요
10/05/27 17:28
수정 아이콘
나온지 12년 된 게임을 무려 같은 회사가 12년 후에 갖은 노하우를 가지고 만든 게임과 비교하여 전자가 재밋다는 것은..

그냥 향수 일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쌩양파
10/05/27 17:28
수정 아이콘
스타2를 시작하면 스타1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건 진리입니다.
10/05/27 17:28
수정 아이콘
위에 밀가리 님 말이 크게 와닿네요

진짜 스마트폰 안쓰는 사람들은 스마트폰이 좋다고 말해봤자 모르죠 그 차이를

스타2하다가 스타1하다보면 확실히 불편한 점이 너무 많죠
학교얘들
10/05/27 17:29
수정 아이콘
전 스타1 공방유저 였는데 스타2로 들어와서 제일 좋은점은 공방에서의 반응속도 차이입니다.
스타1은 반응속도를 올리려면 다른 서버를 이용하거나 프로그램을 써야하는데(이것도 상대방이 같은 프로그램을 써야가능...)
스타2는 그런 프로그램없이 만족할만한 반응속도가 전 제일 좋더군요.
조아세
10/05/27 17:31
수정 아이콘
저도 공감합니다. 스타2를 하면서 스타1은 손이 안가게 되더라고요.

그리고 방송 역시도 거의 10년동안 본 온게임넷이나 엠에셀 보다는

곰티비나 다음팟 플레이어에서 방영 하는 스타2 팀배틀이나 요즘 하고 있는 커뮤니티 배틀에 더 눈이 갑니다.
엉망저그
10/05/27 17:37
수정 아이콘
우욱 저도 스타2 못해봤는데...
근데 성격이 이상해서 그때그때 다시하는 인스턴트게임이아닌 렙업게임은 왠지 제가 느끼기에 시간이 장땡인거 같고 불공평한거 같아서 아예 안하는 편인데..
그것때문에 레벨업하는 게임을 싫어해서요..왠지 베타 하던사람이랑 안하던 사람이랑 처음부터 차이가 날거 같은데 이제부터라도 스타2를 해야하나~~
내가 잘때 여전히 집중하신 분들 따라잡는건 무지 힘들던데~~ 해보고 남들보다 잘해서 이길만하면 하고, 자꾸져서 짜증나고 배울맛도 안난다면 안하렵니다 ^_^;;;; 저같이 나이든 유저층은 새로운거 배우기 힘들텐데 나이 좀 들고 엄청 관심이 있지도 않은 라이트 유저들은 과도기(?)를 계기로 빠져나갈거 같기도 합니다.
그냥 제 생각이 그래서요..
10/05/27 17:40
수정 아이콘
저만해도 스타 2 베타키를 못받았고, 뭐 맘만 먹으면 얼마든지 구할 수는 있는데, 귀찮아서 관두고 있습니다.
어차피 출시일도 멀지 않았고, 정식판 나오면 해보려구요... 저 같은 사람도 꽤나 많을겁니다.
당장 저희 회사 분들만 해도 저랑 같은 생각이구요, 다들 출시되면 바로 사겠다고 대기중입니다.

하는걸 직접 본 적도 있고, 한두번 플레이도 해봤는데...
저 같은 사람들까지 스타 2에 유입되면, 파급효과는 장난이 아닐 것 같다는 생각은 듭니다.
게임균형발전
10/05/27 17:41
수정 아이콘
포스트잇메모로 옴기다보니
글자수때문에 글이 짤려서
수정하였습니다.
비_욘_태
10/05/27 17:42
수정 아이콘
스타2는 안해봤지만 블리자드가 이렇게 강수를 둘 수 있는건 스타2에 대한 자신감이 있기 때문이겠죠.
분명 스타1을 능가하는 재밌는 게임이 될 거라고 생각은 합니다.
선수들도 슬슬 스타2 연습 시작해야 하는 상황이겠네요..
10/05/27 17:42
수정 아이콘
공감합니다. 아무리 스타1을 재밌게 하고 즐겼었지만, 정작 스타2가 나오고선, 플레이시간도 적어지고 심지어는 스타리그도 잘 안보게되네요.
10/05/27 17:44
수정 아이콘
스타2를 시작하면 스타1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건 진리입니다.(2)

아직 베타라 회선의 불안정함 이라던가 하는 문제때문에 짜증도 나고 하지만,
게임성,편의성 등등은 스타1과 비교자체를 불허합니다.

솔직히 스타2 정식발매되고 이곳저곳에서 떠들어대면 스타1 묻히는건 금방일꺼같은데요-_-
검은산
10/05/27 17:46
수정 아이콘
스타2인터페이스에 적응하니 도저히 스타1을 제대로 할 수 없더군요.
솔직히 스타2의 성공을 확신하지는 못하겠습니다. 다만 스타2를 해보니 스타2나 스타1중에 한가지는 분명 사장되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루로우니
10/05/27 17:46
수정 아이콘
스타2 해봤지만 솔직히 재미는 있습니다
그런데 스타1처럼 낮은 사양이 아니라서 얼마나 대중화가 될지는 솔직히 잘모르겟습니다
개인적으로 스타2는 방송도 많이 보고 있지만 보는 사람 입장으로 게임이 전체적으로 어둡다는 것과 체력바가 굉장히 거슬리더군요 아직은.
10/05/27 17:47
수정 아이콘
a라는 상품이 좋다고 모두에게 좋을 수는 없고 그것이 대다수의 층을 이룬다고 할 수 없죠.
그건 단순히 상품이 좋고 나쁘고로 구분지을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스마트폰에 대한 비유도 적절치만은 않다고 생각되는 것이 스마트폰은 현재 모바일 시장에서 기술발전이나 방향성에서의 메인스트림에 있습니다. (판매량은 여전히 피쳐폰에 밀리지요) 하지만, 스타2가 게임시장의 (같은 분야의)메인스트림에 서게 될 것이냐는 그렇다는 생각은 들지 않네요. 모바일시장의 방향성은 구체적이고 어느정도 한정적인 반면에 게임시장은 스펙트럼이 너무 넓죠..한 게임으로 모두를 아우를 수는 없으니..

스타2가 스타1이랑 비슷하다라는 생각과 상품성이 있다는 생각은 많이 해봤습니다.
하지만 이스포츠를 대표하고 1->2가 자연스럽게 될 것인가는 아직은 그렇다고 못하겠네요.
그 이유중에는 아직 발매조차 되지 않은 게임이라는데에도 있구요.
10/05/27 17:48
수정 아이콘
그리고 몇몇 리플들 보면..

스타1을 즐기는,스타1이 발매될 당시 열광했던 중,고딩들,연령층은 더이상 새로운 것을 접하기 꺼려하는 연령대가 되었기때문에,
스타2가 대세가 된다면 스타1의 팬덤층의 이탈화로 스타2는 망할것이다..라는 의견을 적으신분들이 굉장히 많으신데,

당장 제가 다니는 피시방 가보면 스타2 하는 아해들,다 초딩,고딩이던데요.
스타2가 나와서 팬덤층이 형성된다면 그 아해들이 팬덤층이 되겠죠. 설령 말씀하신대로 스타1을 즐기는 팬덤층이 이탈한다고 해도 말이죠.

새로운걸 접하기 어려워서,시간이 없어서 스타2 못보겠다고 하신다면,그러시면 됩니다.
어차피 더 젋은 연령층의 아이들이 그 자리를 매꿔주리라 보거든요.
굿바이레이캬
10/05/27 17:48
수정 아이콘
아마도 병행이 되겠죠. 그러다 서서히 어느 하나로 집중되고, 남은 하나는 사라질 것 같습니다. 아니면 끝까지 두 개가 병행될 수도 있다고 봅니다. 서로 다른 종목처럼요. 1이 남을지 2가 남을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팬과 시장 논리에 움직여야 하는데, 다만 블리자드가 의도적인 움직임은 있을 수 있다고 봅니다.

중요한 것은 현 시점에서 뭐가 남고 뭐는 사라질 것이라고 말하는 건 의미 없다고 봅니다. 자연스럽게 흘러가는게 좋을 것입니다.
좋은풍경
10/05/27 17:49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스타2를 해보는 사람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이런 현상은 가속화 되겠죠.
바스데바
10/05/27 17:50
수정 아이콘
전 다른데.. 스타2해본 결과 별로 재미가 없더라는..
스타1이 훨씬 재밌던데..
원시제
10/05/27 17:50
수정 아이콘
스타 2를 안하는 사람은 있어도,
스타 2를 하고 나서 스타 1으로 돌아가는 사람은 거의 없겠죠.

문제는 스타 2를 아예 시작조차 하지 않는 사람의 비율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대한민국 남자 중에서 스타 1을 시작조차 하지 않은 사람은 얼마나 될까요? 별로 높지 않겠지요.

하지만 지금은 과거와는 상황이 조금 다릅니다.
수많은 MMORPG, FPS, 캐주얼 게임들이 있고, 그 와중에 피시방은 과거와 같은 영광을 누리지는 못하고 있지요.
스타 1이 붐을 일으키던 시기와는 환경이 조금 다르지 않나 생각합니다. 소위 '게임에 아무런 관심이 없던 사람도'
친구들과 어울리기 위해서는 마린은 뽑을줄 알아야 했던 시기가 아니지요 이제.

그런 이유로
게임으로서 스타 2가 스타 1을 대체할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문화로서 스타 2가 스타 1의 자리를 대체하기는 어렵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10/05/27 17:51
수정 아이콘
그리고 스타2가 얼마나 방송에 적합한지 아직 접해보지 못하신분들이 계신다면..
당장 저번주에 열렸던 스타2베타 커뮤니티 대항전 - pgr21 vs 스타2메카 3경기를 보시길 바랍니다.

같이보던 스타2는 커녕 스타1도 제대로 모르는 제 여친도 와 저거 재밌네 하던데요..
밀가리
10/05/27 17:52
수정 아이콘
스타2가 스타1이랑 전혀 다른 게임도 아닙니다. 스타1-워3의 관계가 아닙니다. 스타2에도 스타1의 유닛을 볼 수 있으며 새로운 유닛이라고 해도 스타1의 역활을 가진 유닛들이 많기 때문에(벌처-화염차) 스타1 유저라면 금방 스타2 넘어옵니다. 전략이나 운영도 비슷하죠. 프로토스가 대저그 상대로 하드코어 질럿러쉬를 할 수도 있고 포지더블넥도 할 수 있습니다. 테란도 저그 상대로 메카닉운영할 수도 있고 바이오닉탱크로 운영할 수도 있는거죠. 프로토스는 마법+힘, 테란은 방어+화력, 저그는 물량+기동력 공식도 그대로 적용되구요.
원시제
10/05/27 17:56
수정 아이콘
스마트폰이라는 좋은 예를 들어주셨네요.

핸드폰이 막 나올 즈음에는 모두들 핸드폰을 들고 다녔기 때문에 핸드폰이 없으면 매우 불편했습니다.
그러니, 사실 나에게는 핸드폰이 꼭 필요가 없다 해도 핸드폰을 사야 했지요. '붐'이었으니까요.

하지만 스마트폰은 조금 다릅니다.
스마트폰이 있으면 아주 편리하겠죠. 말씀해주신것처럼 스마트폰 쓰다가 일반 폰으로 회귀하는건 불가능에 가까울겁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굳이 스마트폰으로 갈 필요가 없습니다. 이제 시대가 달라졌거든요. 스마트폰이 없어도 조금도 불편하지 않습니다.
스마트폰이 전화기로서 일반 핸드폰보다 월등하게 뛰어난 성능을 가진 것은 맞지만, 스마트폰이 가져온 변화와 충격은
일반 핸드폰의 그것과 비교할 수 없는 것이지요. 너도나도 핸드폰을 사야 했던 것처럼, 너도나도 스마트폰을 사야 하는 시기는 아닙니다.
3배빠른
10/05/27 18:01
수정 아이콘
게임으로서 스타 2가 스타 1을 대체할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문화로서 스타 2가 스타 1의 자리를 대체하기는 어렵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2)
진호vs요환
10/05/27 18:08
수정 아이콘
스포츠문화로써 스타1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더라도
리그를 시청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기 위해 스타급 플레이어들이 필수적이고.. 어느정도까지는 스타1의 게이머들이 넘어가서
초반에 스타2 인기프로게이머가 되어 어느정도의 흥행은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뒤는 스타2가 가진 잠재성에 달려있다고 생각되네요..
(改) Ntka
10/05/27 18:08
수정 아이콘
핸드폰의 등장과
스마트폰의 등장의 차이겠죠.

누군가만 보고 하던 스타1과 누군가만 쓰던 핸드폰
이후 누구나 보고 하는 스타1과 누구나 쓰는 핸드폰

누군가는 보고 하고 있는 스타2와 누군가는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
근데 꼭 누구나 할 필요도 없고 가질 필요도 없을 듯한 스타2와 스마트폰...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 이 방식도 누구나 보고하고 쓸 수 있는 시대가 될 수도 있겠죠.
어쨌든 스타2는 게임문화 자체의 정점에 설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게임이 문화의 대표 중 하나가 되기위한 조건으로는 저도 어렵지 않나 생각 중입니다.
민경아♡
10/05/27 18:41
수정 아이콘
저 역시 스타2를 해보고 그냥 워크를 흉내냈다 이 정도의 느낌정도밖에 ..

재미없었습니다. 제 주위의 반응도 그랬구요.

스타2가 1을 능가할지는 아직 모르겠군요.
10/05/27 20:45
수정 아이콘
스타2 열심히 하다 스타1으로 돌아간 사람이 바로 저예요... 스타2하면서 아 다신 스타1 못하겠다. 화면조차 못 보겠다 하다가... 패치가 거듭될수록 엄청난 똥컴의 버벅임 때문에 눈물을 흘리며 다시 스타1 합니다. 물론 컴터가 최저옵이라도 쌩쌩 돌아간다면 스타1은 쳐다도 안 봤겠지만...
피지알뉴비
10/05/27 21:46
수정 아이콘
스타2를 몇판해봤지만 스타1 특유의 다이내믹함은 느껴보지못했네요.

일례로 유닛이 죽는다는 느낌이아니라 스르륵 사라진다는 느낌이랄까...뭔가 밋밋했어요. 신나는(?) 뮤짤도 안되고..

글과 댓글들 보니 전 대세와 거리가 먼듯하네요;
Psy_Onic-0-
10/05/27 23:27
수정 아이콘
저도 대세에 역행하는 인물인가요ㅜ
스타2 한 20판 정도 해보긴 했는데
뭐랄까.. 아케이드적인 요소가 많은 게임을 좋아해서..(4d5d6d7d8d..이런거 진짜 맘에 듭니다 크)
iccup 계속 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5949 WCG 2011 Grand Final - 3일차 : 스타2, 워크3, 철권6, 카스, LOL #1 [268] kimbilly6772 11/12/10 6772 0
45946 WCG 2011 Grand Final - 2일차 : 세계 최대 e스포츠 페스티벌 현장 스케치 [3] kimbilly5568 11/12/09 5568 0
45941 WCG 2011 Grand Final - 2일차 : 스타2, 워크3, 철권6, 카스, LOL [131] kimbilly7669 11/12/09 7669 0
45933 WCG 2011 Grand Final - 1일차 : 스타2, 워크3, 철권6, 카스, LOL [119] kimbilly9795 11/12/08 9795 0
45731 BlizzCon 2011 현장 취재 - 스타크래프트2 : Chris Sigaty & David Kim 인터뷰 [19] kimbilly7040 11/10/23 7040 0
45724 셧다운제 시행되면 한국에서는 새벽에 배틀넷 접속이 불가능하다네요. [47] aSlLeR8490 11/10/22 8490 0
45568 WCG 2011 한국 대표 선발전 - 스타2 생방송 시청 방법 [15] kimbilly8359 11/09/23 8359 0
45240 조금은 부러운 중국 E-SPORTS(WCG2011 중국예선전) [16] 잠잘까12160 11/08/09 12160 4
45222 WCG 2011 한국 대표 선발전 오프라인 예선 결과 [34] kimbilly8500 11/08/07 8500 0
45185 끝이 아닌 시작을 말하여 봅시다. [10] 백대건6605 11/08/05 6605 0
44439 스타1유저가 스타2를 하지 않는 이유 [81] 김연우16681 11/05/15 16681 20
42942 차기 곰티비 스타크래프트2리그(GSL)에서는 해외 선수들을 초청하면 어떨까요? [11] 비비안4904 10/09/12 4904 0
42745 곰TV GSL 스타2 오프라인 1일째 결과 및 잡담... [11] 성야무인Ver 0.006923 10/08/28 6923 0
42659 스타2는 다 좋은데 가독성이 너무 떨어지는것 같아 불만입니다. [93] SkPJi13057 10/08/22 13057 1
42575 wcg 예선 워크3 장재호 vs 엄효섭 관전기 (스포있음) [5] 아마돌이5408 10/08/18 5408 0
42419 스타2 개인리그 개최: GSL-우승자 상금1억원 [추가수정] [62] 좋은풍경9973 10/08/05 9973 0
41798 우려... [13] 케이윌4579 10/05/27 4579 4
41782 결국 스타1은 사라지고 스타크래프트2가 대한민국 e스포츠를 대표하는 게임이될수밖에 없습니다. [48] 게임균형발전6024 10/05/27 6024 0
41775 곰TV: 블리자드와 독점계약 성사에 관해- "국내 E스포츠판의 미래가 달려있다" [99] 좋은풍경9783 10/05/27 9783 0
38912 블리즈컨 2009 스타크래프트2 Q & A 새로운 내용.(퍼옴) [4] 물의 정령 운디4909 09/09/23 4909 0
38848 스타크래프트2 테란, 프로토스, 저그 Q&A 정보.(경기 동영상 추가합니다!!!) [7] 물의 정령 운디6110 09/09/04 6110 0
38827 스타크래프트2 관련 정보 퍼옴.(내용 방대함.) [14] 물의 정령 운디5390 09/09/01 5390 0
38766 개인 [50] Judas Pain9742 09/08/27 9742 2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