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5/17 01:15:43
Name theory!
Subject Greatest One...
조용하고 과묵한 팀으로 유명하고 그런 팀컬러에 맞게 묵묵히 열심히 연습하는 선수들이 많아 좋은 선수를 많이 배출하였습니다.
개인리그, 단체전에서도 좋은 성적을 보여주었으며 늘 성적은 꾸준히 상위권을 유지하여 명문팀이라 불리는 팀이죠.
2003년쯤 슈마일렉트로닉스와 스폰계약을 맺고 트레이드마크인 하얀 해군제복을 버리고 파란색  유니폼을 선택했지만
1년만인 2004년에 계약만료와 슈마의 어려운 사정으로인해 다시 GO로 회귀하게 됩니다.


1년간 슈마와의 계약을 제외하고는 2006년 4월까지 비기업팀으로 팀리그에서의 상금과
선수들의 개인리그 상금, 그리고 조규남감독의 사비로 팀을 오랜기간 이끌게되지요..
좋은 선수가 많이나오는 전통의명가 GO, 명문팀이지만 아무래도 연봉을 줄수없는 비기업팀으로의 기간이 길어
이팀은 타팀으로의 선수이적이 잦습니다.


최인규와 김근백이 삼성전자 칸으로 이적을 시작으로 팀의 정신적 지주인 김정민과 실질적 에이스였던 강민이 동시에 KTF 매직엔스로,
GO의 프로리그 우승에 많은 기여를 했고 GO의 첫신인왕인 전상욱과 최다연승 무적의 포스를 보여줬던 박태민도 동시에 SK 텔레콤 T1으로
이적.. 팀컬러에 맞게 비기업팀으로의 설움 때문에 어쩔수없다고 생각하고 팀컬러와 맞게 팀의 정신적지주이자 에이스인 서지훈은 조규남 감독옆에 남아 묵묵히 팀을 이끕니다.


인지도 높고 실력좋은 많은 선수들과 못해도 상위권에는 항상 유지하고 있지만
다른팀들은 하나둘 창단 소식이 들려오는데 왜그런지 GO는 아무런 소식도 들려오지 않았습니다.
여기저기서 조금씩 우려와 걱정의 소리가 들려옵니다. GO의 가장큰 위기라고 생각되었지요.



그리고 조규남 감독 자신도 팀의 비후원 상황이 장기간 이어지자 보유한 선수들을 더이상 얽매지 않기 위해 2006년 초에
"1개월 안에 스폰서가 잡히지 않으면 해체하겠다."라는 강수를 둡니다.
그렇게 배수진을 치고 여러 기업과 접촉하여 우여곡절 끝에 마침내, 2006년 4월에 CJ와 창단계약이 성사..



조규남감독이 그렇게 원하던 선수들에게 최고의 대우.. 타기업쪽에서 자신의 연봉과 인수금을 더준다고 했지만
선수들의 최고대우를 위해 조규남감독은 CJ를 선택했지요.
특히 2001년 입단하여 2006년까지 묵묵히 팀을위해 헌신한 GO맨 서지훈에게 걸맞는 대우를 위해
자신의 연봉까지 깎아가며 프로게이머 최고액 수준으로 서지훈은 억대연봉 계약을하며 이제 팀은 장미빛만 있을줄 알았지요..


3해처리운영을 정착시키며 전성기시절 양대리그 도합 4회우승 2회준우승으로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줬던 유일한 저그본좌 마재윤..
하지만 2007년 그유명한 3.3혁명.. 김택용 선수와의 결승전에서 3:0으로 완패한 이후 극심한 슬럼프 끝에 2군 강등까지 되는 수모를 겪었고
성적은 기대이하이고 경기력도 그저그렇지만 원래 잘했던 선수였기에 금방 올라오리라 믿었고.. 팀의 정신적 지주라고 믿었습니다..



GO라는 이름에 대한 애착이 강해 네이밍 문제때문에 협상이 결렬됐던적이 있다고 알고있습니다.
선수들의 대우때문에  GO라는 이름마저 포기하며 어렵게 창단했고.. 전통의 명가 GO를 잇는 e스포츠의 명문팀 CJ엔투스입니다.
미꾸라지 한마리때문에 아무일도 잡히지가 않네요.. 제가 e스포츠를 포기할수 없는건 GO라는 팀과 함께한 시간과 애착 그것뿐입니다..



Image and video hosting by TinyPic


"믿어야죠. 또 믿기로 했고,
빈말이 아니라 잘하는 선수입니다.
실제로도 잘하니 만큼 꼭 좋은 모습을 보일겁니다".



"재윤이는 지더라도 계속 경기에 출전시킬겁니다.
CJ라는 팀의 아이콘이고 저는 재윤이를 믿으니까요.
원래 잘하는 아이이고 지금도 잘하기때문에 믿습니다."

-CJ엔투스 조규남감독 인터뷰中



-----------------------------------------------
하루종일 아무일도 잡히지가 않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brasax_:JW
10/05/17 01:19
수정 아이콘
서지훈 선수는 왜 절 CJ팬으로 만들어서
괜히 짜증이 나고... 허무하고... 씁쓸합니다.
처음에 조작 관련 터졌을 때 피지알 디시 등 신나서 돌아다녔는데... 여기 있는 글을 못 보겠어요.

유게도 못 보겠어요...
블랙독
10/05/17 01:21
수정 아이콘
아오;; 진짜 꺼꾸로 매달고 막 패고 싶다;;;
10/05/17 01:21
수정 아이콘
서지훈선수와 조규남감독이 서로 보게되면 정말 아무말없이 쳐다보다가 눈물흘릴것 같네요. 아나킨 스카이워커를 키운 콰이곤진과 오비완의 기분이려나...
하쿠나마타타
10/05/17 01:22
수정 아이콘
아기곰 시절이 좋았지.... 에혀..
아지다하카
10/05/17 01:23
수정 아이콘
저도 서지훈 선수 때문에 스타에 제대로 빠져들고 지금 CJ팬으로 머물고 있는데...
지금 가장 가슴이 미어질 사람은 조규남 감독님이실듯...
10/05/17 01:25
수정 아이콘
조규남 감독님 충격과 상심이 얼마나 크실지 상상조차 가지 않네요.
일개 팬인 저도 뒤통수 후려맞는 기분이 들었는데.....참 마씨가 여러사람에게 씻을수 없는 상처를 남기네요.
개미먹이
10/05/17 01:31
수정 아이콘
한때 GO 팬으로서.. 착찹합니다.
mylittleLoveR
10/05/17 01:34
수정 아이콘
오늘 하루 하도 혼란스러워서 조작관련 글에는 댓글 달고 싶은 마음이 없었지만
Greatest One이라는 제목을 보니 도저히 손가락이 움직이지 않고는 못견디겠어요...
...서지훈이고 마재윤이고 얼마나 내가 얼마나 좋아했는데...
서지훈 선수, 강민 선수로 시작해서, 이팀에 있는 애들 그냥 엎어놓고 예뻐라했고
Greatest One 언제나 자랑스럽게 생각했고 내팀이었고 내홈이었고
선수들 감독님 그고생하면서 일궈놓은팀을 자신만만한 웃음과 함께 하늘높이 올려보내는 너...
너를, 그래서 마재윤 너도 무얼해도 예뻐라했고 너는 영원히 강자이길 바랐고

서지훈이 없고 서지훈과 함께 했던 선수들이 없는 상황에서도 내가 이판 놓을수 없었던 것은
네놈이 다시 나는 모습이 나는 너무 보고 싶어서... 어쩌면 서지훈보다 더
서지훈은 앉아다니나 기어다니나 이제 완전히 내선수라는 생각에
.. 해탈했다 생각하고 성적이고 나발이고 덮어넣고 예뻐할수 있었어도
마재윤 니가 지면 얼마나 얼마나 마음이 아팠는데... 예선전도 얼마나 덜덜덜 떨면서 지켜봤는데..
그때 그런 마음졸임들이 아직 가슴에 남아서 믿고 싶지 않게 만드는구나.
근데 아무리 믿고 싶지 않은 열망이 강해도... 너는 쓰레기가 맞구나. 나는 맞는 걸 아니라고 하지는 못하겠다.

네놈을 봐서라도 난 끝까지 씨제이 옆에 남을거야...... 잘가.
하얀조약돌
10/05/17 02:19
수정 아이콘
가슴이 먹먹합니다. 잠이 오지 않습니다. 골수 GO빠로서... 도대체 이상황이 정말 사실인건지? 아직까지도 부인하고 싶습니다.
아니 저는 정말 마재윤선수가 조사해서 "결백하다"라고만 말해도 아무리 누가 뭐라해도 어떤 증거가 내 눈에 보인다 하더라고
이건 사실이 아니라고 믿어 버리고 싶습니다.
이럴수는 없는 없습니다. 아니 마재윤선수 아니라고 해주세요. 제발이요...
김정민해설을 좋아한 그 순간부터내 20대를 바쳐가며 응원한 팀입니다... 마재윤선수도 내 GO팀도 아니 내 CJ팀도 하나도 놓칠 수 없는 보물이라고요!!
10/05/17 11:10
수정 아이콘
조규남 감독의 잘못이라면 아마 자기 선수에 대한 믿음이 너무 컸던것이 아닐까 쉽네요.....자기 선수에 대한 프라이드가 워낙 강한 분이니깐요.....하지만 선수는 그 믿음을 배신으로 갚네요...
10/05/17 19:59
수정 아이콘
아나킨 스카이워커를 키운 콰이곤진과 오비완의 기분이려나...





진짜 적절한 비유 감사합니다... 스타판의 Death Vader... 마막장... 마재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1970 블리자드와 대한항공의 파트너쉽이 사실로 드러나고 있는듯 합니다. [59] 물의 정령 운디14803 10/06/06 14803 1
41966 스타크래프트2 리그가 출시부터 대박이 터지는 것이 아닌지 모르겠네요. [55] 물의 정령 운디11500 10/06/05 11500 0
41948 양 방송사의 관계 변화와 MBC게임의 협상에 대하여... 彌親男4754 10/06/03 4754 0
41652 조규남감독의 미소 [21] SKY927085 10/05/22 7085 4
41551 별풍선 사냥꾼 그리고 유료 스타 강사. [17] 허세판7364 10/05/20 7364 0
41504 승부조작보다 더 배신감 느낀것은.. [30] noknow6994 10/05/19 6994 0
41474 승부조작으로 도마에 오른 e-sports의 구조적인 병폐에 대해 드리는 뼈아픈 글 [15] Laurent7149 10/05/18 7149 5
41472 예측 불가능한 한국 이스포츠 미래 [8] noknow4701 10/05/18 4701 0
41455 승부조작을 행한 이들에게. [1] 이태원서울팝4541 10/05/18 4541 0
41443 모 기업팀 해체설 [28] 위너스클럽12014 10/05/17 12014 0
41403 Greatest One... [13] theory!6215 10/05/17 6215 3
41386 정말 나쁜놈입니다. [31] Miyake향6662 10/05/16 6662 1
41368 안녕히 계세요. E 스포츠. [60] 레종7148 10/05/16 7148 0
41335 협회 및 전 프로게임단은 이번 사태에 관련하여 발언해 주시기 바랍니다 [21] Nerion5819 10/05/16 5819 1
41249 e스포츠 프로게임팀, 공군ACE 를 바라보며 [12] epersys5013 10/05/11 5013 0
41133 공군 에이스 3기 구성 문제 [14] noknow6981 10/05/02 6981 0
41122 문제의 근원은 Kespa와 블리자드의 이해관계 차이 [20] Q1325053 10/05/01 5053 0
40929 드래프트로 살펴본 09~10 시즌 [31] 캠퍼6822 10/04/14 6822 2
40904 어느 무명회원의 편지 [2] DeepImpact4203 10/04/13 4203 0
40898 드림팀 팬을 그만둘 때인가 봅니다. [15] 교회오빠6071 10/04/13 6071 0
40770 스타크래프트 주요 프로게임단 연혁 정리 [17] 개념은나의것6308 10/04/04 6308 1
40694 2006 후기리그 준플레이오프의 추억 [7] 4196 10/03/27 4196 0
40680 프로리그의 클로저(下) - 통합리그 출범 이후 [15] 彌親男5772 10/03/23 5772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