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4/26 19:30:55
Name 캠퍼
Subject 지금 가장 걱정되는 것은...

국내에는 현재 스타크래프트 리그가 주축, 아니 전부다. 그러나 나름대로 개선안인지 아니면 의미 없는 행동이었는지 몰라도 스타크래프트
외의 게임리그가 열리고 있긴 하다. 그리고 현재 케스파에 등록된 게임은 23개로써 그 게임들을 나열해본다면

*현 케스파 공인 종목
국내 리그가 열리고 있는 종목은 철권, 스페셜포스, 서든어택, 던전 앤 파이터, 아발론 온라인 뿐이다. 심지어 어떤 종목은 현재까지 제대로
된 리그가 열린 적도 없으며 프로로 등록된 선수 자체가 없는 종목도 존재한다. 사실상 이름 뿐인 종목이며 이는 케스파가 E-스포츠 활성화
를 위해 무엇을 노력했는지 물어보고 싶을 정도로 어이 없는 상황이다.

이제 스타크래프트2가 들어서면 어떻게 되든 간에 현재 국내 케스파 주도의 리그 구도는 완벽하게 바뀔 것이다. 우선적으로 최악으로
흘러  간다면 수백명의 스타1의 프로게이머는 스타2로 전향하거나 그것도 여의치 않으면 선수 생활을 그만 둘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들
모두 스타1처럼 스타2에서 활약할 수 있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설사 전향하더라도 전과 같은 성적을 내지 못하고 몰락하는 선수들도
상당수 나올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선수들은 승부 조작 같은 파문에서 이 판이 붕괴될지도 모른다는 공포심을 안고 아직까지 스타1에만
매달리고 있다. 수많은 어린 선수들이 오로지 이 판만을 보고 달려오고 있는데 자칫 잘못하면 전부 실업자 신세가 될지도 모른다는 이야기
다. 그러나 이런 상황에서도 케스파는 오로지 지적재산권 협상까지 내민 블리자드의 손을 뿌리치고 중계권 사태처럼 명분 없는 주장만
내세우고 있다.

최소한 케스파의 이런 행태를 인정하는 것부터 어렵지만 그 전에 케스파가 무슨 의도로 이런 행동을 보이는지 의심스럽다. 제대로 블리자드
의 스타크래프트2에 대항할만한 대체 종목도 없으며, 그렇다고 블리자드와의 지적 재산권 협상권에서 내세울 근거도, 명분도 없으며 당장
블리자드에 의해서 현재 스타리그나 MSL 등의 모든 스타크래프트 리그가 중단될지도 모르는 상황을 무슨 수로 벗어날 것인지 모르겠다.

내가 보기엔 지금 스타2 발매를 앞에 둔 이 상황은 중계권 사태보다도 더 심각한 문제로 발전할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가장 걱정되는 일은
현재 이 판만을 보고 열심히 활동하는 선수들, 그리고 이제 연습생이 되서 프로 선수를 꿈꾸는 이들이 더는 E-스포츠 무대에 서지 못하고  
그대로 추락하는 일이다.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케스파는 억지로 가득한 주장으로 이 판을 망쳐버리는 일이 있어선 안될 것이다.
하루빨리 블리자드와의 협상을 통해서 원만한 관계를 맺기 바랄 뿐이고 이후 스타2의 리그 활성화 등을 통해서 수많은 선수들이 계속해서
활동할 수 있도록 하면 하는 바람이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BoSs_YiRuMa
10/04/26 19:48
수정 아이콘
양대 방송사에서 키워 놓은것을 협회랍시고 다 된 틀 안에서 이리저리 말만 늘어놓으며 떡하니 자리 차지하고 있다가 원 제작자가 수익분배를 요구하니까 안된다고 하는거죠.뭐.
바다밑
10/04/26 21:09
수정 아이콘
울며겨자먹기라 할지라도 이판유지를 위해서라면 그리고 여럿을 위해서라면 해야할 때도 있는것인데...
이게 어떻게 이뤄놓은역사인데
존재감에 항상 의문이 드는 그들의 귄리란것 때문에 모두를 저버릴 판단할 저들을 보면 딱하다...
이래서 몇년전 강짜부리고 힘싸움만 하려드는 저들이 힘안들이고 이판의 최상위에 들어설때 불안했었는데
Korea_Republic
10/04/28 07:38
수정 아이콘
한국스포츠는 경기력 수준은 높은데 각 종목별 협회들의 행정력 때문에 발전이 참 더딘듯 합니다 ㅡㅡ;;;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1101 저도 요즘 스타보는게 조금 지루해졌습니다... [48] 마키아토6462 10/04/29 6462 0
41100 이영호 선수의 최근 몇경기를 보면서 문득... [47] 칼라일217386 10/04/28 7386 0
41099 스타보는 재미가 영 시들시들하네요 [74] 케이윌7784 10/04/28 7784 0
41098 프로리그 5월 로스터가 발표되었습니다. [31] 삭제됨7357 10/04/28 7357 0
41097 텍크 4기 완성된 8강 조편성입니다. [12] SKY924288 10/04/28 4288 0
41096 ▶오뚜기 뿌셔뿌셔 2010 TEKKEN CRASH S2 D조 [241] o파쿠만사o4521 10/04/28 4521 0
41095 [공지] Pgr 살림을 옮길 계획입니다. [19] 항즐이8037 10/04/26 8037 2
41094 빛바랜 사신과 영웅 [25] 영웅과몽상가5942 10/04/28 5942 0
41093 오늘의 프로리그- 웅진스타즈 VS CJ / 공군 VS 이스트로 [425] 영웅과몽상가6953 10/04/28 6953 1
41092 [E-Sports CARD 제작] 택뱅리쌍.... 그리고 황제와 폭풍. [28] Thanatos.OIOF7I7661 10/04/28 7661 1
41091 어제 경기로 100전 (비공식 포함)이 되었습니다. [24] Ascaron6089 10/04/28 6089 0
41090 요즘 그분의 경기가 너무 보고 싶습니다. [7] 비형머스마현5252 10/04/28 5252 0
41089 양산형의 진정한 의미 그리고 스타1이 사라지는 것이 아쉬운 이유 [8] 멜로5181 10/04/28 5181 0
41088 설레발 한번 쳐보겠습니다~ [27] Go_TheMarine5195 10/04/28 5195 0
41086 양산형을 아십니까? [22] 수험생7607 10/04/27 7607 0
41085 ▶오늘의 프로리그 - MBC게임vs하이트 / 화승vsKT (2) [332] 윰댕6892 10/04/27 6892 0
41084 ▶오늘의 프로리그 - MBC게임vs하이트 / 화승vsKT [384] 윰댕6161 10/04/27 6161 0
41083 스타2리그와 오프라인 리그의 한계점 [11] 彌親男4934 10/04/27 4934 2
41082 김택용 그의 명암과 새로운 도전 [16] 영웅과몽상가6331 10/04/27 6331 0
41081 프로야구 매니저 카드식? 프로게이머 카드! [이제동!] [30] 예아나무7572 10/04/27 7572 0
41080 이제동 선수의 테란전에 관한 하찮은 분석 [22] 트레제디7280 10/04/27 7280 1
41078 NSL WarCraft III Global League - 오프라인 경기 방송 안내 [4] kimbilly4422 10/04/26 4422 0
41077 ▶오늘의 프로리그 - SKT vs 삼성 / STX vs 위메이드 (2) [252] 윰댕5739 10/04/26 573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