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4/26 16:24:48
Name 梨軒
Subject 저작권에 대한 생각들
논쟁하시는 중에 저작권에 대해서 개념 정리가 필요할 듯 하여 참고삼아 올립니다. 자료를 찾아서 올리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개념이 그렇다는 것이구요.

저작권이라는 말은 많은 개념을 포함합니다. 이걸 가장 쉽게 설명할 수 있는 길은 음반 또는 음원이 되겠습니다.

1. 작곡가, 작사가 - 저작권 하면 가장 떠오르는 사람들이죠. 곡을 만든 사람들이 되겠습니다. 당연히 저작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2. 가수, 연주가 - 편곡, 프로듀싱 포함이겠습니다. 위의 곡을 사용하여 음원을 만든 사람들이 되겠습니다. '인접저작권'이 맞는지 '저작인접권'이 맞는지 모르겠습니다만 그런 형태의 저작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3. CD를 사보셨으면 음반에 뭐라고 써있냐 하면 '허가되지 않은 복사, 임대, 공공의 공연, 방송은 금지'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한 권리는 '실연권'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베토벤의 교향곡 5번을 음반으로 녹음하는 경우 작곡가가 사망한지 한 세기가 넘어서 어느 나라에 가건 베토벤과 그 후손에게 돈을 지불하지 않아도 됩니다. (악보에 대해서는 돈 주고 사야합니다만...) 하지만 음반 녹음에 참여한 지휘자, 오케스트라 등에 대해서는 2번의 권리가 생깁니다. 그리고 이를 FM 라디오에서 방송을 하는 경우 3번의 권리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게 되지요.

블리자드사가 가장 불만스러워 하는 부분은 '실연권'에 해당하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1이나 2에 대한 권리는 이미 패키지를 많이 팔아서 땡큐인 상황이겠구요. 그나마 불법복제 천국이었던 1990년대보다는 상황이 많이 나아져서...

일단 스타크래프트에 나오는 모든 유닛, 지형 등에 대한 디자인. 이것을 방송에 노출시키는 것이 '실연권'을 주장할 수 있는 근거이겠구요. 이어서 게임 플레이를 방송에 내는 부분에 대해서는 조금 애매하겠습니다. 다른 스포츠 중계와 여기서 걸립니다. MLB나 NBA 같은 경우는 경기에 대한 중계권을 파는 형식으로 권리를 챙기고 케스파 역시 같은 방식으로 권리를 행사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야구나 농구는 저작권이 소멸되었다고 봐도 되는(정확히는 저작권을 행사할 권리자가 없는 상황)이지만 e스포츠는 아니라는 점이죠.

법리 해석에 아시는 분이 코멘트를 달아주셨으면 하는데... 일단 제가 생각하는 합리적인 선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블리자드사는 저작권을 소유(당연한거구요)
2. 요거 문제입니다. 인접저작권. 제가 여기에서 막힙니다.-_- 여기서 배틀넷이 끼는 것 아닌가 하네요.
3. 케스파는 블리자드사에 대해 게임에 등장하는 캐릭터, 맵, 게임 플레이 룰(좀 애매하죠?) 등에 대한 실연권에 해당하는 계약을 맺는다.
4. 케스파는 중계권을 행사한다.

2하고 3때문에 싸우는것으로 보여지는데 케스파 입장에선 변리사 등을 고용해서 법정에 가는 것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법리적으로 블리자드사와 대응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4/26 16:32
수정 아이콘
안타깝게도(?) 저작권은 변리사의 업무영역이 아니네요.
저도 관심이 많기는 한데, 공부를 한 적이 없어서 뭐라 말할 수 있는게 없네요.
10/04/26 21:41
수정 아이콘
블리자드는 작사가, 작곡가
스타크래프트는 명곡
선수들은 가수
케스파는 소속사?, 가수협회?, 음악프로그램 제작진? (어느 쪽이죠?)
온겜엠겜은 음악중심 정도에 비교 가능하겠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1101 저도 요즘 스타보는게 조금 지루해졌습니다... [48] 마키아토6462 10/04/29 6462 0
41100 이영호 선수의 최근 몇경기를 보면서 문득... [47] 칼라일217386 10/04/28 7386 0
41099 스타보는 재미가 영 시들시들하네요 [74] 케이윌7784 10/04/28 7784 0
41098 프로리그 5월 로스터가 발표되었습니다. [31] 삭제됨7357 10/04/28 7357 0
41097 텍크 4기 완성된 8강 조편성입니다. [12] SKY924289 10/04/28 4289 0
41096 ▶오뚜기 뿌셔뿌셔 2010 TEKKEN CRASH S2 D조 [241] o파쿠만사o4522 10/04/28 4522 0
41095 [공지] Pgr 살림을 옮길 계획입니다. [19] 항즐이8038 10/04/26 8038 2
41094 빛바랜 사신과 영웅 [25] 영웅과몽상가5943 10/04/28 5943 0
41093 오늘의 프로리그- 웅진스타즈 VS CJ / 공군 VS 이스트로 [425] 영웅과몽상가6954 10/04/28 6954 1
41092 [E-Sports CARD 제작] 택뱅리쌍.... 그리고 황제와 폭풍. [28] Thanatos.OIOF7I7662 10/04/28 7662 1
41091 어제 경기로 100전 (비공식 포함)이 되었습니다. [24] Ascaron6090 10/04/28 6090 0
41090 요즘 그분의 경기가 너무 보고 싶습니다. [7] 비형머스마현5253 10/04/28 5253 0
41089 양산형의 진정한 의미 그리고 스타1이 사라지는 것이 아쉬운 이유 [8] 멜로5182 10/04/28 5182 0
41088 설레발 한번 쳐보겠습니다~ [27] Go_TheMarine5196 10/04/28 5196 0
41086 양산형을 아십니까? [22] 수험생7608 10/04/27 7608 0
41085 ▶오늘의 프로리그 - MBC게임vs하이트 / 화승vsKT (2) [332] 윰댕6893 10/04/27 6893 0
41084 ▶오늘의 프로리그 - MBC게임vs하이트 / 화승vsKT [384] 윰댕6162 10/04/27 6162 0
41083 스타2리그와 오프라인 리그의 한계점 [11] 彌親男4935 10/04/27 4935 2
41082 김택용 그의 명암과 새로운 도전 [16] 영웅과몽상가6332 10/04/27 6332 0
41081 프로야구 매니저 카드식? 프로게이머 카드! [이제동!] [30] 예아나무7573 10/04/27 7573 0
41080 이제동 선수의 테란전에 관한 하찮은 분석 [22] 트레제디7280 10/04/27 7280 1
41078 NSL WarCraft III Global League - 오프라인 경기 방송 안내 [4] kimbilly4423 10/04/26 4423 0
41077 ▶오늘의 프로리그 - SKT vs 삼성 / STX vs 위메이드 (2) [252] 윰댕5739 10/04/26 573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