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4/16 11:51:32
Name 멍하니하늘만
Subject 지형이 없으면 지형을 만들기
위너스리그를 포함해서 최근의 이영호 경기를 보니까

위치 선정도 좋지만 넓은 지형에서 서플이나 엔베를 군데군데 지어서 지형을 만드는

그래서 스스로 요새화 하는 능력이 뛰어난거 같습니다.

사실 다른 경기에 별 흥미가 없어서 이영호 경기만 챙겨보는데

다른 테란들도 이런 식으로 하나요?


최근에 KT vs STX 경기 보면 김구현이랑 할 때, 분명히 김구현이 안 좋은 위치에 있던 적도 있지만

서플만 없다면 김구현도 할만한 지역이 있었는데 탱크 앞에 마인이랑 서플로 벽을 치니까 김구현이 뭘 못하더라구요

요즘은 전진 서플이 많이 나오는데 이게 정석인건지...궁금하네요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YellOwFunnY
10/04/16 11:52
수정 아이콘
스타 1세대 신주영, 이기석 선수 전략집 봐도 나오는 내용이죠. 오홍
DavidCoverdale
10/04/16 11:57
수정 아이콘
하면야 좋은데 귀찮아서인지 잘 안하죠.
10/04/16 12:00
수정 아이콘
질게로 가야 할듯....
아비터가야죠
10/04/16 12:01
수정 아이콘
하면 굉장히 좋죠.. 드라군들은 적이 바로 앞에 있어도 서플 때리다가 탱크한테 다 녹습니다.. 이영호선수가 자주 보여주던 거죠.
드랍쉽도잡는
10/04/16 12:03
수정 아이콘
귀찮은 것보다는 마인드의 문제가 큰 요인인 듯.
이영호 선수를 보면 평소에도 항상 꼼꼼합니다. 똑같이 원팩 더블을 해도 정찰이 안 됐을 경우 초반 셔틀 동반 올인 뚤기 식의 대비도 잘 해 놓는 등의 플레이를 잘 보여줍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선수들은 그냥 신경쓰지 않고 하죠.

평소에도 그랬는데 진영화 선수와의 결승전 이후는 그런 모습들이 더 업그레이든 된 것 같더군요.
(단장의 능선에서 보여준 그 심시티는 정말 승부를 결정지어버린...)
토스가 테란보다 물량이 일찍 폭발하거나 넓거나 이 쪽 저 쪽 치기 좋은 맵 등, 테란이 일단 불리함을 떠 안고 수비를 해야할 상황이 발생하는 일이 벌어지면 그걸 심시티로 커버하는 모습이 대박인 듯.
체념토스
10/04/16 12:05
수정 아이콘
이영호 선수 지형만들기가 참으로 훌륭하죠.
뭐 그것 말고도 투팩이나 타이밍류를 할때 소수SCV를 이용한 치료 및 터렛 건설이나 이런 것들도 아주 훌륭합니다.

그것 말고도 이영호 선수는 플레이는 놀라운 것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냥 미니맵만 봐도 탄성이 저절로 나옵니다.

유닛의 탄력적인 움직임과 지형잡는 모습이 장난이 아니거든요.

그래서 요즘 이영호 선수 경기보면 미니맵 위주로 봅니다.
오우거
10/04/16 12:20
수정 아이콘
1.08패치 전후시점에서

임요환 선수를 필두로 건물을 이용해 스스로 유리한 지형을 만들어 버리는 플레이가 기승을(!?) 부렸죠...
사실 드랍쉽을 이용해서 상대를 짜증나게 만드는 일명 "양아X 테란"은 이러한 건물짓기 플레이도 한몫 했습니다.

때문에 최근 몇년동안 센터필드가 광활한 맵은 거의 대부분 건물을 지을 수 없게 지형이 세팅되어 있습지요.....

........라고 어렴풋이 기억나는데 말입니다.....
jinhosama
10/04/16 12:20
수정 아이콘
저도 진영화선수랑 했을때의 단장의 능선이 생각나네요..
지 맘대로 맵개조수준....
10/04/16 12:22
수정 아이콘
테란이 어려운 단장의 능선에서 지형의 재구성은 확실히 우승의 가장 큰 견인차였습니다.
맵이 워낙 넓고 수비할데도 광범위한 약점을 지형의 재구성으로 바꿨으니까요.
상대선수 입장에서 그 지형이 인위적으로 뚫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면 맵을 새로 만드는거죠. 단장의 능선 2.1 version정도..;;

플토 입장에서 참 답답하죠. 어택하면 건물이나 때리고 있고,, 무브하면 마인이 님하,감사~하면서 달려드니..;;

10년도 넘은 게임인데 아직도 발전요소가 있다는게 신기합니다.
드랍쉽도잡는
10/04/16 12:25
수정 아이콘
단장의 능선의 그 심시티가 빛을 발한 건...
맵 자체가 넓고 길도 많고 그런 이유도 있지만 보통 그 타이밍의 단능 경기라면 토스가 폭발한 물량으로 밀 수 있는 타이밍인데 그걸 원천 봉쇄하면서 멀티를 타 맵처럼 잘 돌릴 수 있었죠. 덕분에 진영화 선수 꼬이고...
앵콜요청금지
10/04/16 12:25
수정 아이콘
- 이영호만의 플레이를 하려면 어떤 점이 가장 중요하나.
▲ 눈치가 세계 최강으로 중요하다. 이런 플레이를 4인용 맵에서는 나만 하고 있는 것 같다. 나만 할 수 있는 플레이이기 때문에 이런 플레이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언제나 이런 플레이를 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알아주셨으면 좋겠다.

지형을 만들고 이용하는데 제일 중요한게 이영호선수 말처럼 눈치 같네요. 상대방이 어디로 들어올것 같다 싶으면 미리 그자리가서 기다리고 있고 불리한 상황에서도 늘 좋은자리를 만들어서 싸우더라고요. 스타리그 바로 뒷경기에서 진영수선수의 유리한상황에서의 막전투와 많이 비교가 됬죠.
lafayette
10/04/16 12:34
수정 아이콘
중계를 보는 사람들이 '아 이거 하면 이길수 있을텐데' 생각하면 그대로 해내는 선수죠.
그런의미에서 이영호 선수 경기는 참 재밌습니다. 보는사람 생각대로 다 되니까요. 병력운용, 물량, 컨트롤...
김구현 선수와의 경기에서도 '멀티 3개는 동시에 밀어야 이길수 있겠네' 라고 생각했더니 정말로 해내더라구요.
ROKZeaLoT
10/04/16 13:14
수정 아이콘
또한.. 베슬 나오자마자 골리앗 소수랑 묶어서 구석구석 옵저버 제거하는 플레이역시 일품이죠.

이게 정말 별거 아닌거같지만 토스입장에선 정말 짜증납니다.. 테플전에서 옵저버 적정수 유지하는게 얼마나 중요한데..
다레니안
10/04/16 13:26
수정 아이콘
옵저버 제거가 진짜 일품이죠 -_-;

옵저버 생산도 짜증나지만 가스소모량도 어마어마 합니다 ㅠㅠ
10/04/16 14:01
수정 아이콘
줄수가 부족하지않나요?;
10/04/16 14:06
수정 아이콘
줄수도 부족하고 질게로 가는게 나을것 같네요.
배추열포기
10/04/16 15:57
수정 아이콘
이영호선수는 정말 '테란답게' 플레이합니다. 김캐리의 말처럼 테란 그 자체같다고 할까요?
테란이 건물을 지형 대용으로 쓰거나 천연벙커식으로 활용하는 것은 종족의 특징이자 장점입니다.
얼마전 프로리그 stx전이나 스타리그에서도 김구현을 상대로 자신의 방어라인에 여지없이 활용하더군요.

또 이영호선수는 여타 테란플레이어에 비해서 리페어 기능도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
메카닉 병력을 한번 쓰고 버리는 다른 선수들에 비해 바쁜 와중에도 꼼꼼하게 일일히 고쳐주는 모습을 보고 감탄했습니다.
arq.Gstar
10/04/16 16:18
수정 아이콘
이영호선수는 상대가 자신의 유닛들에게 달려와서 꼴아박게 하는데 일가견이 있는듯..
그만큼 테란을 잘 이해하고 있고..

잘하는 다른 테란들도 잘 하긴 하지만 유독 이영호는 공격갈때조차
상대 병력이 도우러 오는 길까지 예상해서 시즈배치, 마인배치, 벌처골리앗 배치 하더라구요.
정작 넥서스 때리는 시즈는 극히 일부분이고.. 꼬시는거죠..
넥서스 에너지는 내려가지.. 마음은 급하지.. 완전 심리전 잘합니다. -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1032 하나대투증권 2010 MBC게임 스타리그 16강 3회차(3) [465] SKY926329 10/04/22 6329 0
41031 하나대투증권 2010 MBC게임 스타리그 16강 3회차(2) [259] SKY924656 10/04/22 4656 0
41030 공군 e스포츠병의 자격조건 [11] 윤하6668 10/04/22 6668 1
41029 스파키즈태란의 대저그전 빌드에 대한 의견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12] 담을넘어4495 10/04/22 4495 1
41028 이제동이라는 이름을 가진 저그의 드라마 [9] NecoAki5313 10/04/22 5313 1
41027 하나대투증권 2010 MBC게임 스타리그 16강 3회차 불판입니다. [269] WizardMo진종7008 10/04/22 7008 0
41026 김경모 선수 공군 합격했습니다. [19] 영웅과몽상가6755 10/04/22 6755 0
41025 이제동의 업적에 대한 간단한 접근 [19] becker7865 10/04/22 7865 2
41024 이기려면 최대한 할 수 있는 것은 다 해야 하지 않을까요? [35] 멍하니하늘만4980 10/04/22 4980 2
41023 프테전 아비터 보호하기 - 피드백 외의 아이디어 [9] epic4792 10/04/22 4792 0
41022 이영호 선수의 2연속 양대결승 진출이 이루어지길.. [40] Ascaron5967 10/04/22 5967 2
41021 프로토스와 테란의 교전시 다크아칸의 활용은 어떨까요? [36] BoSs_YiRuMa6495 10/04/22 6495 0
41020 토스 아비터, 그리고 테란의 대항마... [23] 9th_Avenue5721 10/04/22 5721 0
41019 전병헌 "e스포츠 승부조작사건 딛고, 제2의 임요환 만든다" [9] 낭만드랍쉽6957 10/04/22 6957 0
41018 3.3 이후 택뱅리쌍의 개인리그 성적 [65] 케이윌7889 10/04/21 7889 0
41017 NSL WarCraft III Global League - 오프라인 일정, 방송 안내 [5] kimbilly4484 10/04/21 4484 0
41016 드랍쉽에 디펜시브매트릭스를 걸어주는 전술에 대해서. [35] 삭제됨7950 10/04/21 7950 0
41015 오뚜기 뿌셔뿌셔 Tekken Crash 2010 S2 C조 [109] o파쿠만사o4303 10/04/21 4303 0
41014 오늘의 프로리그-하이트vs삼성/SKTvsMBCgame (2) [71] KIESBEST5381 10/04/21 5381 0
41013 역대 프로리그/팀리그 포스트시즌 결과-통산전적 업데이트 [6] Korea_Republic4607 10/04/21 4607 0
41012 오늘의 프로리그-하이트vs삼성/SKTvsMBCgame [420] SKY925570 10/04/21 5570 0
41011 입스타의 분류와 짧은 역사에 대해 [12] becker6179 10/04/21 6179 5
41010 간단하게 보는 승률괴물들의 객관적인 자료들. [62] 완성형폭풍저9336 10/04/20 933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