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4/04 20:41:39
Name 개념은나의것
File #1 IS.JPG (359.8 KB), Download : 48
Subject 스타크래프트 주요 프로게임단 연혁 정리






♣ 스타크래프트 주요 프로게임단 연혁 정리 ♣


원문: http://cafe.naver.com/fafostar/740


* 전신(前身) 팀의 연혁도 포함함.
* 계약월과 창단월이 상이할 경우 창단월을 표기함.
* 관련 글: 개념은나의것,「스타크래프트 리그 연대기」, 2007, http://cafe.naver.com/fafostar/193



▲ 웅진 스타즈
 · 1999년 11월 'SM' 창단
 · 2000년 중반 네오엠파이어와 스폰서 계약, '네오엠파이어'로 개명
 · 2000년 말 스폰서 계약 종료, 'SM'으로 회귀
 · 2001년 05월 한빛소프트, 게임단 인수, '한빛 스타즈' 창단
 · 2003년 08월 KTF 에버컵 프로리그 준우승(對 동양 오리온)
 · 2003년 10월 라이프존 팀리그 준우승(對 슈마 GO)
 · 2004년 07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4 1라운드 우승(對 SK텔레콤 T1)
 · 2005년 02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4 통합챔피언전 우승(對 팬택&큐리텔 큐리어스)
 · 2005년 10월 제1회 KeSPA컵 준우승(對 삼성전자 칸)
 · 2008년 09월 웅진, 게임단 인수, '웅진 스타즈' 창단




▲ KT 롤스터
 · 1999년 12월 KTF, 'ⓝ016 온라인' 창단
 · 2001년 03월 'KTF 매직엔스'로 개명
 · 2004년 02월 LG IBM 팀리그 준우승(對 4U)
 · 2005년 02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4 3라운드 준우승(對 KOR)
 · 2005년 07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준우승(對 SK텔레콤 T1)
 · 2006년 02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5 통합챔피언전 준우승(對 SK텔레콤 T1)
 · 2009년 06월 'KT 매직엔스'로 개명
 · 2009년 07월 'KT 핑거붐'으로 개명
 · 2009년 08월 'KT 롤스터'로 개명
 · 2010년 04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위너스리그 우승(對 MBC게임 히어로)




▲ 화승 OZ
 · 1999년 'DT' 창단
 · 2000년 중반 'IS' 창단
 · 2001년 말 '게임아이'가 'IS'로 병합
 · 2001년 말 'DT'가 'IS'로 병합
 · 2003년 07월 케이텍과 스폰서 계약, '케이텍 플러스'로 개명
 · 2004년 01월 스폰서 계약 종료, '플러스'로 개명
 · 2006년 03월 화승, 게임단 인수, '르까프 OZ' 창단
 · 2007년 08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 준우승(對 삼성전자 칸)
 · 2008년 01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 우승(對 CJ 엔투스)
 · 2008년 02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통합챔피언전 우승(對 삼성전자 칸)
 · 2008년 03월 KeSPA 선정 2007 올해의 프로게임단¹
 · 2009년 01월 '화승 OZ'로 개명
 · 2009년 03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위너스리그 준우승(對 CJ 엔투스)
 · 2009년 08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준우승(對 SK텔레콤 T1)




▲ 삼성전자 칸
 · 2000년 06월 삼성전자, '삼성전자 칸' 창단
 · 2005년 10월 제1회 KeSPA컵 우승(對 한빛 스타즈)
 · 2006년 01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준우승(對 SK텔레콤 T1)
 · 2007년 08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 우승(對 르까프 OZ)
 · 2008년 02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통합챔피언전 준우승(對 르까프 OZ)
 · 2008년 08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우승(對 온게임넷 스파키즈)




▲ STX SouL
 · 2000년 07월 'SouL' 창단
 · 2003년 06월 계몽사 팀리그 준우승(對 GO)
 · 2004년 10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4 2라운드 준우승(對 팬택&큐리텔 큐리어스)
 · 2006년 04월 STX와 스폰서 계약, 'STX SouL'로 개명
 · 2007년 05월 STX, 게임단 인수, 'STX SouL' 공식 창단




▲ 위메이드 폭스
 · 2000년 말 '게임아이' 창단
 · 2001년 말 '게임아이'가 'IS'로 병합
 · 2003년 06월 'IS'에서 분파, 'SG패밀리' 창단
 · 2003년 08월 투나와 스폰서 계약, '투나 쥬디스'로 개명
 · 2003년 말 '투나 SG'로 개명
 · 2004년 02월 네오위즈 피망컵 프로리그 준우승(對 슈마 GO)
 · 2004년 06월 스폰서 계약 종료, 'SG패밀리'로 회귀
 · 2004년 08월 팬택&큐리텔, 게임단 인수, '팬택&큐리텔 큐리어스' 창단
 · 2004년 10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4 2라운드 우승(對 SouL)
 · 2005년 02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4 통합챔피언전 준우승(對 한빛 스타즈)
 · 2005년 03월 MBC 무비스 팀리그 준우승(對 GO)
 · 2006년 04월 '팬택 EX'로 개명
 · 2007년 09월 위메이드 엔터테인먼트, 게임단 인수, '위메이드 폭스' 창단




▲ 하이트 스파키즈
 · 2000년 '플라워' 창단
 · 2000년 10월 'KOR'로 개명
 · 2005년 02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4 3라운드 우승(對 KTF 매직엔스)
 · 2006년 06월 온게임넷, 게임단 인수, '온게임넷 스파키즈' 창단
 · 2007년 03월 제2회 KeSPA컵 준우승(對 MBC게임 히어로)
 · 2008년 08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준우승(對 삼성전자 칸)
 · 2009년 04월 하이트맥주와 네이밍 스폰서 계약, '하이트 스파키즈'로 개명




▲ CJ 엔투스
 · 2001년 '프로슈머' 창단
 · 2001년 09월 '프로슈머'가 '게임아이 이노츠'로 병합
 · 2002년 04월 '게임아이 이노츠'에서 분파, 'GO' 창단
 · 2003년 06월 계몽사 팀리그 우승(對 SouL)
 · 2003년 09월 슈마일렉트론과 스폰서 계약, '슈마 GO'로 개명
 · 2003년 10월 라이프존 팀리그 우승(對 한빛 스타즈)
 · 2004년 02월 네오위즈 피망컵 프로리그 우승(對 투나 SG)
 · 2004년 08월 투싼 팀리그 준우승(對 SK텔레콤 T1)
 · 2004년 09월 스폰서 계약 종료, 'GO'로 회귀
 · 2005년 03월 MBC 무비스 팀리그 우승(對 팬택&큐리텔 큐리어스)
 · 2006년 05월 CJ, 게임단 인수, 'CJ 엔투스' 창단
 · 2007년 01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 준우승(對 MBC게임 히어로)
 · 2008년 01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 준우승(對 르까프 OZ)
 · 2009년 03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위너스리그 우승(對 화승 OZ)




▲ 이스트로
 · 2002년 01월 AMD와 스폰서 계약, 'AMD 드림팀' 창단
 · 2004년 01월 스폰서 계약 종료, '드림팀'으로 개명
 · 2004년 02월 아이스타존과 스폰서 계약, '헥사트론 드림팀'으로 개명
 · 2005년 02월 스폰서 계약 종료, '드림팀'으로 회귀
 · 2005년 03월 PC와사람들과 스폰서 계약, '이네이처 톱 팀'으로 개명
 · 2006년 10월 인터내셔널이스포츠그룹, 게임단 인수, '이스트로' 창단




▲ MBC게임 히어로
 · 2002년 08월 'POS' 창단
 · 2004년 11월 이고시스템과 스폰서 계약, '이고시스 POS'로 개명
 · 2005년 11월 스폰서 계약 종료, 'POS'로 회귀
 · 2006년 04월 MBC게임, 게임단 인수, 'MBC게임 히어로' 창단
 · 2006년 07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 준우승(對 SK텔레콤 T1)
 · 2007년 01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 우승(對 CJ 엔투스)
 · 2007년 01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6 통합챔피언전 우승(對 SK텔레콤 T1)
 · 2007년 03월 KeSPA 선정 2006 올해의 프로게임단
 · 2007년 03월 제2회 KeSPA컵 우승(對 온게임넷 스파키즈)
 · 2010년 04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위너스리그 준우승(對 KT 롤스터)




▲ SK텔레콤 T1
 · 2002년 11월 'IS'에서 분파 및 동양제과와 스폰서 계약, '동양 오리온' 창단
 · 2003년 08월 KTF 에버컵 프로리그 우승(對 한빛 스타즈)
 · 2003년 12월 스폰서 계약 종료, '4U'로 개명
 · 2004년 02월 LG IBM 팀리그 우승(對 KTF 매직엔스)
 · 2004년 04월 SK텔레콤, 게임단 인수, 'SK텔레콤 T1' 창단
 · 2004년 07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4 1라운드 준우승(對 한빛 스타즈)
 · 2004년 08월 투싼 팀리그 우승(對 슈마 GO)
 · 2005년 07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우승(對 KTF 매직엔스)
 · 2006년 01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우승(對 삼성전자 칸)
 · 2006년 02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5 통합챔피언전 우승(對 KTF 매직엔스)
 · 2006년 03월 KeSPA 선정 2005 올해의 프로게임단
 · 2006년 07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 우승(對 MBC게임 히어로)
 · 2007년 01월 스카이 프로리그 2006 통합챔피언전 준우승(對 MBC게임 히어로)
 · 2009년 08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우승(對 화승 OZ)
 · 2009년 12월 KeSPA 선정 2009² 올해의 프로게임단




▲ 공군 ACE
 · 2007년 04월 대한민국 공군, '공군 ACE' 창단



[註]
¹ KeSPA e스포츠대상: 2005 시즌 후 제정되어 해마다 열리는 e스포츠 최고 권위 시상식으로 올해의 선수, 올해의 프로게임단, 종족별 최우수선수 등을 시상.
² 2008-2009 통합 시상.

종합 작성: 개념은나의것 http://cafe.naver.com/fafostar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김진우
10/04/04 20:56
수정 아이콘
임요환,홍진호,김종성 선수만 알아보겠군요..
하야로비
10/04/04 20:56
수정 아이콘
잘 봤습니다. 옆에 역대 각 팀들의 감독님들도 같이 올려 주셨으면 더 좋았을 텐데요.
The_Mineral
10/04/04 20:58
수정 아이콘
박효민 선수랑 이은경 선수 아닌가요 나머지분은 저도 잘.... 밑에분께서 설명해주시기를....
앤디듀프레인
10/04/04 21:26
수정 아이콘
헉,김종성 선수...비하하는거 절대 아니고, 외모로 유명하지 않았나요 ^^;
탈북...
네오제노
10/04/04 21:39
수정 아이콘
홍진호 선수를 보면 괜히 주위에서 2와 연관된 무언가를 찾고 있는 내 자신을 찾게 되네요
10/04/04 22:04
수정 아이콘
이스트로 팀도 다른팀처럼 우승 혹은 준우승 경력이 빨리 붙었으면 좋겠어요

공군팀도
홍승식
10/04/04 22:24
수정 아이콘
삼성전자 칸은 공군을 제외하고는 창단부터 지금까지 팀명이 한번도 바뀌지 않은 유일한 팀이군요.
이대로 쭈~욱 이어지는 팀이길 바랍니다.
핫타이크
10/04/04 23:32
수정 아이콘
핑거붐이 눈에 쏙 들어오네요;;;
Korea_Republic
10/04/05 11:54
수정 아이콘
IS팀이 분열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상상을 가끔 해보곤 합니다.
임이최마율~
10/04/06 09:02
수정 아이콘
삼성전자 칸은 공군을 제외하고는 창단부터 지금까지 팀명이 한번도 바뀌지 않은 유일한 팀이군요(2)
10/04/06 13:18
수정 아이콘
사진 좀 위메이드 폭스 자게로 퍼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0821 MSL 스폰서가 공개되었습니다!! [45] Dizzy8254 10/04/08 8254 1
40819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시즌 4라운드 로스터가 발표됐습니다. [16] 예수7604 10/04/08 7604 0
40816 PGR21 블리자드 스타2 토너먼트 E조~ H조 경기결과 [1] canoppy4691 10/04/08 4691 0
40815 전태양에게서 냄새가 난다. [15] Dizzy7717 10/04/08 7717 1
40814 전태양선수에 관한 소고 [14] kimera6822 10/04/08 6822 10
40813 이제동의 네이트배 우승... [50] 케이윌7435 10/04/07 7435 6
40812 김택용 3.0으로 돌아올 그를 위해서. [13] 영웅과몽상가5598 10/04/07 5598 0
40811 PGR21 블리자드 스타2 토너먼트 -전경기 생방송 중 canoppy4732 10/04/07 4732 0
40810 대한항공 2010 스타리그 16강 3회차(2) [100] SKY924610 10/04/07 4610 0
40809 신대근 vs 이영호 짧은 리뷰. [24] becker7755 10/04/07 7755 0
40808 대한항공 2010 스타리그 16강 3회차 [362] SKY925897 10/04/07 5897 0
40807 특별히 응원하는 팀,선수가 없다는 것이 좋은 점도 있네요. [7] 인격4502 10/04/07 4502 0
40806 (방송종료)오뚜기 뿌셔뿌셔 2010 TEKKEN CRASH S2 16강 A조 [206] o파쿠만사o5534 10/04/07 5534 0
40805 프로리그 4라운드 방식 변경 [25] xeno4836 10/04/07 4836 0
40803 재미삼아 보는 10년간 이어진 본좌론 이야기 [50] 고지를향하여10514 10/04/07 10514 19
40802 PGR21 블리자드 스타2 토너먼트 - 금일 예선 20:00 전경기 방송 예정 [1] canoppy5008 10/04/07 5008 0
40801 이제동의 본좌론의 정리와 그의 호칭문제. [57] 그레이티스트5141 10/04/07 5141 1
40799 이번 시즌 홈런왕과 통산 홈런왕 [32] 마바라4136 10/04/07 4136 0
40797 이제동은 본좌는 아니지만 본좌만큼 대단합니다. [53] 그레이티스트4501 10/04/07 4501 0
40796 당대최강자로 가는길은 여러가지가 있다. [36] 케이윌4654 10/04/07 4654 0
40795 본좌론의 모순 [52] 정전5316 10/04/06 5316 6
40793 본좌란 칭호는 10년후에도 불가능합니다 [120] 파일롯토6656 10/04/06 6656 1
40792 2010 MBC게임 스타리그 Season 1 32강 G조불판입니다 [292] 승리의기쁨이5101 10/04/06 510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