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2/11 14:13:33
Name 매콤한맛
Subject 프로리그와 승률인플레의 정확한 상관관계
이것을 확인하려면 상당히 까다로운 자료조사가 있어야 합니다.
만약 05년과 09년의 상위권게이머 승률을 비교해본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렇다면 갖춰줘야할 자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05년과 09년의 전체 등록된 프로게이머의 수
[2] 상위권게이머의 명확한 구분 : 당시 상위 10%, 상위 20% 등.
[3] 06년 당시 상위권게이머들과 09년 상위권 프로게이머들의 해당년도 승률

만약 05년의 게이머숫자가 150명, 09년의 게이머 숫자가 450명이라고 가정하면
05년의 상위 10%는 1~15위, 09년의 상위 10%는 1~45위가 됩니다.
그러면 05년의 1~15위까지의 전적합계와 09년의 1~45위까지의 전적합계를 구해서
각각의 승률을 비교해보아야 진짜 상위권의 승률 인플레가 일어났는지 그렇지 않는지를
알수 있습니다.

현재 몇몇게이머의 승률만 가지고 승률인플레가 났다고 하기는 무리가 있는 것이
프로리그에 집중하느라 개인리그를 소홀히 했을수가 있고, 혹은 그 반대의 경우도
있을수 있으며, 단판제에 강한 스타일과 다전제에 강한 스타일의 선수도 엄연히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승률 인플레는 예전부터 많이 나왔던 논쟁입니다만, 아직까지 정확한 자료를 제시하면서
논쟁이 벌어진 경우는 없었던걸로 기억합니다. 정확한 자료없이 이루어지는 논쟁은
소모적인 논쟁밖에 되지 않겠지요. 각자 자신이 생각하는게 옳다고 믿을테니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나는 고발한다
10/02/11 14:19
수정 아이콘
옳은 지적입니다. 위에 제시하신 것 말고도 몇 가지 변수가 더 떠오르는군요. 예상외로 복잡한 계산이 될 것 같네요.
10/02/11 14:20
수정 아이콘
그렇습니다.
절대마신
10/02/11 14:20
수정 아이콘
현 10위권 게이머들의 승률이, 예전 10위권 선수들의 승률보다 높다고 해서 폄하를 해서는 안된다고 봅니다

예전 10위권 선수들이 100명중 10위였다면, 요즘 10위권은 200명중 10위죠
10/02/11 14:23
수정 아이콘
절대마신님// 하긴 그런 면모도 있군요.
나는 고발한다
10/02/11 14:25
수정 아이콘
맵, 스케줄, 상대, 당시의 기대승률....통제해야 될 변수가 한두가지가 아닙니다. 생각만 해도 아찔하네요.
오토모빌굿
10/02/11 14:27
수정 아이콘
옳은 말씀이네요. 확실히 어설픈 자료로 대충 설명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닙니다.
나는 고발한다
10/02/11 14:29
수정 아이콘
절대마신님// 그것도 나름 재미있는 수수께끼입니다. 선수들의 전체적인 실력분포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는 문제거든요. 200명의 선수가 상향평준화되어 있다면 10위권을 유지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반면 새롭게 증가한 100명이 허수라면 10위권 유지는 더욱 간단해질 수 있습니다. 행정고시의 경쟁률은 9급 공무원시험보다 꽤 낮지만, 정작 더 어려운 것은 행정고시인 것과 비슷한 문제죠.

이런 세부적인 변수를 통제하지 않는 이상 데이터는 이론가의 장난감에 불과합니다. 으으, 어려운 세계입니다.
매콤한맛
10/02/11 14:33
수정 아이콘
나는 고발한다님// 프로게이머의 구멍은 엄청난 바늘구멍으로 알려져있고 그 시험을 통과해야 비로소 프로게이머가 되죠.
프로게이머가 되는 조건이 예전보다 더욱 까다로웠으면 까다로웠지, 쉬워지지는 않은걸로 알고있습니다.
원서만 내면 시험을 볼수있는 것과는 다른 예라고 생각되네요.
10/02/11 14:34
수정 아이콘
다만 입증이 불가능하거나 힘든 것은 것이고, 가설을 제시하고 그를 통해 현실을 이해하는 관점을 세우고 문제 해결을 도모하는 것 자체는 필요한 일이겠지요.
매콤한맛
10/02/11 14:34
수정 아이콘
이리님// 그렇습니다.
나는 고발한다
10/02/11 14:45
수정 아이콘
매콤한맛님// 합리적인 지적입니다. 사실 저도 무한경쟁 시대에 택뱅리쌍 체제가 어떻게 지속되고 있는지 의문입니다^^;;
이리님// 지극히 옳으신 말씀입니다. 단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것과 불충분한 증거로 결론을 내리는 것은 다른 문제입니다.
10/02/11 14:46
수정 아이콘
나는 고발한다님// 네. 제가 글을 잘못 썼습니다.
10/02/11 15:02
수정 아이콘
전혀 다른 글 얘기지만, 오류가 제법 있어보이고, 피곤하기도 해서 지웠습니다. 삼가 죄송합니다.
10/02/15 13:32
수정 아이콘
야구에서도 조정 스탯이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0360 스타크래프트2 베타 플레이 실시간 중계 화면 [36] 난 애인이 없다7431 10/02/18 7431 1
40359 100218 기록으로 보는 경기 -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3,4조 [4] 별비4383 10/02/18 4383 0
40358 브루드워 싱글 유즈맵, Twilight Struggle [15] 읭?19011 10/02/18 19011 0
40357 스타2 베타 스샷 [8] 마음이10984 10/02/18 10984 1
40356 스타크래프트2 베타 시작 [58] osbal6784 10/02/18 6784 1
40355 대한항공 2010 스타리그 36강 C조(2) [101] SKY925406 10/02/17 5406 0
40354 대한항공 2010 스타리그 36강 C조 [237] SKY924914 10/02/17 4914 0
40353 100217 기록으로 보는 경기 - 대한항공 스타리그 36강 C조 [5] 별비4060 10/02/17 4060 0
40352 99PKO부터 NATE MSL까지의 리그 방식 변천사 [17] 彌親男6527 10/02/17 6527 1
40351 스타리그 시드 쟁탈전을 제안합니다 [16] 어진나라4976 10/02/17 4976 2
40350 스타크래프트2 유출된 베타테스트 FAQ [7] 물의 정령 운디6658 10/02/17 6658 0
40349 복수용달 제 7회 김명운vs윤용태 [168] SKY926979 10/02/16 6979 0
40348 [빅파일배 ChaosClanBattleX] 16강 B조 1일차 경기 [47] 비스군3972 10/02/16 3972 0
40347 현역 프로게임팀 코치들의 현역 생활은? [37] 彌親男10736 10/02/16 10736 0
40346 여성 리그가 활성화 되는 스타크래프트2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73] 물의 정령 운디9585 10/02/13 9585 2
40345 2010년 2월 둘째주 WP 랭킹 (2010.2.14 기준) [10] Davi4ever6347 10/02/13 6347 1
40343 대한항공 2010 스타리그 36강 B조(3)(+뒷담화 불판) [346] SKY928047 10/02/12 8047 0
40342 대한항공 2010 스타리그 36강 B조(2) [222] SKY924323 10/02/12 4323 0
40340 대한항공 2010 스타리그 36강 B조 [364] SKY925219 10/02/12 5219 0
40339 드림리그 최근 5경기 폼가이드 랭킹(10주차까지, 2010.02.12 일 기준) [5] 그녀를 기억하4783 10/02/12 4783 1
40338 2010 mbc게임 서바이버 토너먼트 season1 2조 [108] 하성민6146 10/02/11 6146 0
40337 [빅파일배 ChaosClanBattleX] 2월 11일 16강 A조 2일차 [162] 비스군4889 10/02/11 4889 0
40336 프로리그 최근 5경기 폼가이드 랭킹(2010.2.10 기준) [7] 그녀를 기억하4237 10/02/11 4237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