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1/29 13:52:51
Name 개념은나의것
File #1 The_Hightest_Ranking_of_Each_Race_in_OSL.jpg (202.3 KB), Download : 159
File #2 The_Hightest_Ranking_of_Each_Race_in_MSL.jpg (193.8 KB), Download : 125
Subject 역대 양대리그 종족별 성적 분석








♣ 역대 양대리그 종족별 성적 분석 ♣


원문: http://cafe.naver.com/fafostar/224


* 전신(前身) 대회는 포함하며 이벤트성 대회 및 월별 리그는 제외함.
* 동명이인이 등재될 경우 KeSPA식 성명 구분법에 따름.
* 해당 대회 본선 경기의 85%(단, 5위 이하는 75%) 이상을 동일 종족으로 치르지 않은 선수의 종족은 기타(R)로 분류함.
* 3·4위전이 없었던 온게임넷 스타리그의 경우, 해당 양 선수를 공동 3위로 인정하는 현행 온게임넷 스타리그 순위 결정 방식에 따름.
* 3·4위전이 없었던 MSL의 경우, 해당 양 선수의 승률을 기준으로 3, 4위를 구분하는 현행 MSL 순위 결정 방식에 따름.
 (http://www.mbcgame.co.kr/program/hall_of_fame.asp?Top_CD=G_PG&Sub_Title=PP)
* 5위 이하의 순위 구분은 상위 단계 진출 여부에 의거하며, 동일 단계에서 발생한 복수(複數) 탈락자는 승률, 재경기, 와일드카드 결정전, 시드 결정전 등에 관계없이 동일 성적으로 간주함. 단, 조별 리그가 듀얼 토너먼트 방식으로 치러진 경우 최종전 탈락자의 성적을 패자전 탈락자의 성적보다 우위에 둠.
* 진행 중인 대회의 실적은 반영하지 않음.
* 관련 글: 개념은나의것,「주요 개인리그 역대 결승 결과 정리」, 2007, http://cafe.naver.com/fafostar/196



Ⅰ. 역대 양대리그 우승자/준우승자
 ο '대회 순번. 우승자(종족) : 준우승자(종족) - 결승일 - 대회명' 서식 기재.

 ▲ 온게임넷 스타리그
  pre. 최진우(R) : 국기봉(Z) - 1999.12.30 - '99 PKO
   1. 기욤 패트리(R) : 강도경(Z) - 2000.05.16 - 하나로통신
   2. 김동수(P) : 봉준구(R) - 2000.11.01 - 프리챌
   3. 임요환(T) : 장진남(Z) - 2001.05.05 - 한빛소프트
   4. 임요환(T) : 홍진호(Z) - 2001.09.08 - 코카콜라
   5. 김동수(P) : 임요환(T) - 2001.12.28 - 스카이 2001
   6. 변길섭(T) : 강도경(Z) - 2002.06.15 - 네이트
   7. 박정석(P) : 임요환(T) - 2002.10.12 - 스카이 2002
   8. 이윤열(T) : 조용호(Z) - 2003.02.14 - 파나소닉
   9. 서지훈(T) : 홍진호(Z) - 2003.07.13 - 올림푸스
  10. 박용욱(P) : 강 민(P) - 2003.11.09 - 마이큐브
  11. 강 민(P) : 전태규(P) - 2004.03.21 - NHN 한게임
  12. 박성준(Z) : 박정석(P) - 2004.08.01 - 질레트
  13. 최연성(T) : 임요환(T) - 2004.11.20 - 에버 2004
  14. 이윤열(T) : 박성준(Z) - 2005.03.05 - 아이옵스
  15. 박성준(Z) : 이병민(T) - 2005.07.02 - 에버 2005
  16. 오영종(P) : 임요환(T) - 2005.11.05 - SO1
  17. 최연성(T) : 박성준(Z) - 2006.03.04 - 신한은행 2005
  18. 한동욱(T) : 조용호(Z) - 2006.06.23 - 신한은행 2006 시즌1
  19. 이윤열(T) : 오영종(P) - 2006.11.18 - 신한은행 2006 시즌2
  20. 마재윤(Z) : 이윤열(T) - 2007.02.24 - 신한은행 2006 시즌3
  21. 김준영(Z) : 변형태(T) - 2007.07.21 - 다음
  22. 이제동(Z) : 송병구(P) - 2007.12.22 - 에버 2007
  23. 이영호(T) : 송병구(P) - 2008.03.15 - 박카스 2008
  24. 박성준(Z) : 도재욱(P) - 2008.07.12 - 에버 2008
  25. 송병구(P) : 정명훈(T) - 2008.11.01 - 인크루트
  26. 이제동(Z) : 정명훈(T) - 2009.04.04 - 바투
  27. 이제동(Z) : 박명수(Z) - 2009.08.22 - 박카스 2009
  28. 이영호(T) : 진영화(P) - 2010.01.17 - 에버 2009


 ▲ MSL
  pre. 임요환(T) : 홍진호(Z) - 2002.04.14 - KPGA 투어 2002 1차
  pre. 이윤열(T) : 홍진호(Z) - 2002.06.22 - KPGA 투어 2002 2차
  pre. 이윤열(T) : 박정석(P) - 2002.10.05 - KPGA 투어 2002 3차
  pre. 이윤열(T) : 조용호(Z) - 2003.01.18 - KPGA 투어 2002 4차
   1. 강 민(P) : 이윤열(T) - 2003.07.19 - 스타우트
   2. 최연성(T) : 홍진호(Z) - 2003.11.30 - TG삼보
   3. 최연성(T) : 이윤열(T) - 2004.04.18 - 하나포스 센게임
   4. 최연성(T) : 박용욱(P) - 2004.08.29 - 스프리스
   5. 박태민(Z) : 이윤열(T) - 2005.02.06 - 당신은 골프왕
   6. 마재윤(Z) : 박정석(P) - 2005.08.06 - 우주
   7. 조용호(Z) : 마재윤(Z) - 2006.01.14 - 싸이언
   8. 마재윤(Z) : 강 민(P) - 2006.07.16 - 프링글스 시즌1
   9. 마재윤(Z) : 심소명(Z) - 2006.11.11 - 프링글스 시즌2
  10. 김택용(P) : 마재윤(Z) - 2007.03.03 - 곰TV 시즌1
  11. 김택용(P) : 송병구(P) - 2007.07.14 - 곰TV 시즌2
  12. 박성균(T) : 김택용(P) - 2007.11.17 - 곰TV 시즌3
  13. 이제동(Z) : 김구현(P) - 2008.03.08 - 곰TV 시즌4
  14. 박지수(T) : 이제동(Z) - 2008.07.26 - 아레나
  15. 김택용(P) : 허영무(P) - 2008.11.22 - 클럽데이 온라인
  16. 박찬수(Z) : 허영무(P) - 2009.03.21 - 로스트사가
  17. 김윤환(Z) : 한상봉(Z) - 2009.08.30 - 아발론
  18. 이제동(Z) : 이영호(T) - 2010.01.23 - 네이트






Ⅱ. 각 종족 대회별 최고 성적
 ο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의 진행에서 탈락한 선수의 성적 표기는 다음에 준함.
  - 패자 8강 1라운드 탈락=16강, 패자 8강 2라운드 탈락=12강, 패자 4강 1라운드 탈락=8강, 패자 4강 2라운드 탈락=6강, 패자 준결승 탈락=4위, 패자 결승 탈락=3위.

 ▲ 온게임넷 스타리그

  pre. '99 PKO
    · Z: 국기봉 - 준우승
    · T: 박상규 - 8강
    · P: 김태목 - 4위

   1. 하나로통신
    · Z: 강도경 - 준우승
    · T: 김동구, 김슬기, 김정민, 도진광 - 16강
    · P: 이기석 - 8강

   2. 프리챌
    · Z: 박찬문 - 3위
    · T: 최수범¹, 문상헌 - 24강
    · P: 김동수 - 우승

   3. 한빛소프트
    · Z: 장진남 - 준우승
    · T: 임요환 - 우승
    · P: 기욤 패트리 - 3위

   4. 코카콜라
    · Z: 홍진호 - 준우승
    · T: 임요환 - 우승
    · P: 임성춘 - 8강

   5. 스카이 2001
    · Z: 홍진호 - 4위
    · T: 임요환 - 준우승
    · P: 김동수 - 우승

   6. 네이트
    · Z: 강도경 - 준우승
    · T: 변길섭 - 우승
    · P: 손승완 - 8강

   7. 스카이 2002
    · Z: 홍진호 - 3위
    · T: 임요환 - 준우승
    · P: 박정석 - 우승

   8. 파나소닉
    · Z: 조용호 - 준우승
    · T: 이윤열 - 우승
    · P: 김동수, 박정석 - 16강

   9. 올림푸스
    · Z: 홍진호 - 준우승
    · T: 서지훈 - 우승
    · P: 이재훈, 전태규, 박용욱 - 16강

  10. 마이큐브
    · Z: 박경락 - 3위
    · T: 서지훈, 임요환 - 8강
    · P: 박용욱 - 우승

  11. NHN 한게임
    · Z: 변은종 - 4위
    · T: 나도현 - 3위
    · P: 강 민 - 우승

  12. 질레트
    · Z: 박성준 - 우승
    · T: 최연성 - 3위
    · P: 박정석 - 준우승

  13. 에버 2004
    · Z: 홍진호 - 4위
    · T: 최연성 - 우승
    · P: 박정석 - 3위

  14. 아이옵스
    · Z: 박성준 - 준우승
    · T: 이윤열 - 우승
    · P: 박정석 - 16강

  15. 에버 2005
    · Z: 박성준 - 우승
    · T: 이병민 - 준우승
    · P: 박정석 - 8강

  16. SO1
    · Z: 박성준 - 8강
    · T: 임요환 - 준우승
    · P: 오영종 - 우승

  17. 신한은행 2005
    · Z: 박성준 - 준우승
    · T: 최연성 - 우승
    · P: 박지호 - 3위

  18. 신한은행 2006 시즌1
    · Z: 조용호 - 준우승
    · T: 한동욱 - 우승
    · P: 강 민, 송병구, 안기효 - 16강

  19. 신한은행 2006 시즌2
    · Z: 박태민, 박성준1 - 8강
    · T: 이윤열 - 우승
    · P: 오영종 - 준우승

  20. 신한은행 2006 시즌3
    · Z: 마재윤 - 우승
    · T: 이윤열 - 준우승
    · P: 박영민 - 8강

  21. 다음
    · Z: 김준영 - 우승
    · T: 변형태 - 준우승
    · P: 송병구 - 3위

  22. 에버 2007
    · Z: 이제동 - 우승
    · T: 신희승 - 4위
    · P: 송병구 - 준우승

  23. 박카스 2008
    · Z: 박찬수 - 공동 3위
    · T: 이영호 - 우승
    · P: 송병구 - 준우승

  24. 에버 2008
    · Z: 박성준 - 우승
    · T: 이영호 - 8강
    · P: 도재욱 - 준우승

  25. 인크루트
    · Z: 김준영 - 공동 3위
    · T: 정명훈 - 준우승
    · P: 송병구 - 우승

  26. 바투
    · Z: 이제동 - 우승
    · T: 정명훈 - 준우승
    · P: 김택용 - 공동 3위

  27. 박카스 2009
    · Z: 이제동 - 우승
    · T: 정명훈 - 공동 3위
    · P: 손찬웅, 송병구, 김택용 - 16강

  28. 에버 2009
    · Z: 김윤환, 이영한 - 공동 3위
    · T: 이영호 - 우승
    · P: 진영화 - 준우승


 ▲ MSL

  pre. KPGA 투어 2002 1차
    · Z: 홍진호 - 준우승
    · T: 임요환 - 우승
    · P: 임성춘 - 3위

  pre. KPGA 투어 2002 2차
    · Z: 홍진호 - 준우승
    · T: 이윤열 - 우승
    · P: 이재훈 - 8강

  pre. KPGA 투어 2002 3차
    · Z: 홍진호 - 6강
    · T: 이윤열 - 우승
    · P: 박정석 - 준우승

  pre. KPGA 투어 2002 4차
    · Z: 조용호 - 준우승
    · T: 이윤열 - 우승
    · P: 전태규 - 6강

   1. 스타우트
    · Z: 조용호 - 4위
    · T: 이윤열 - 준우승
    · P: 강 민 - 우승

   2. TG삼보
    · Z: 홍진호 - 준우승
    · T: 최연성 - 우승
    · P: 강 민 - 12강

   3. 하나포스 센게임
    · Z: 조용호 - 6강
    · T: 최연성 - 우승
    · P: 강 민 - 4위

   4. 스프리스
    · Z: 박성준 - 8강
    · T: 최연성 - 우승
    · P: 박용욱 - 준우승

   5. 당신은 골프왕
    · Z: 박태민 - 우승
    · T: 이윤열 - 준우승
    · P: 박용욱 - 8강

   6. 우주
    · Z: 마재윤 - 우승
    · T: 최연성 - 4위
    · P: 박정석 - 준우승

   7. 싸이언
    · Z: 조용호 - 우승
    · T: 최연성 - 3위
    · P: 강 민, 박정석 - 6강

   8. 프링글스 시즌1
    · Z: 마재윤 - 우승
    · T: 전상욱 - 3위
    · P: 강 민 - 준우승

   9. 프링글스 시즌2
    · Z: 마재윤 - 우승
    · T: 서지훈 - 6강
    · P: 강 민 - 3위

  10. 곰TV 시즌1
    · Z: 마재윤 - 준우승
    · T: 진영수 - 3위
    · P: 김택용 - 우승

  11. 곰TV 시즌2
    · Z: 박태민 - 3위
    · T: 이성은 - 4위
    · P: 김택용 - 우승

  12. 곰TV 시즌3
    · Z: 마재윤 - 3위
    · T: 박성균 - 우승
    · P: 김택용 - 준우승

  13. 곰TV 시즌4
    · Z: 이제동 - 우승
    · T: 박성균 - 4위
    · P: 김구현 - 준우승

  14. 아레나
    · Z: 이제동 - 준우승
    · T: 박지수 - 우승
    · P: 박영민 - 4위

  15. 클럽데이 온라인
    · Z: 박명수 - 8강
    · T: 이성은, 이윤열 - 8강
    · P: 김택용 - 우승

  16. 로스트사가
    · Z: 박찬수 - 우승
    · T: 신상문, 이윤열, 박지수 - 8강
    · P: 허영무 - 준우승

  17. 아발론
    · Z: 김윤환 - 우승
    · T: 변형태 - 3위
    · P: 김택용 - 8강

  18. 네이트
    · Z: 이제동 - 우승
    · T: 이영호 - 준우승
    · P: 김구현 - 4위






Ⅲ-1. 각 리그 역대 결승전 종족 구성

 ▲ 온게임넷 스타리그
   1. (T vs Z): 12회(8:4, 테란 우세)
   2. (P vs T): 7회(4:3, 프로토스 우세)
   3. (Z vs P): 3회(3:0, 저그 우세)
   4. (P vs P): 2회
   5. (T vs T): 1회
   5. (Z vs Z): 1회
   - 기타: 3회


 ▲ MSL
   1. (T vs Z): 7회(5:2, 테란 우세)
   2. (Z vs P): 5회(4:1, 저그 우세)
   3. (T vs P): 4회(3:1, 테란 우세)
   4. (Z vs Z): 3회
   5. (P vs P): 2회
   6. (T vs T): 1회
   - 기타: 0회




Ⅲ-2. 역대 양대리그 결승전 종족 구성

 ▲ 양대리그 도합
   1. (T vs Z): 19회(13:6, 테란 우세)
   2. (T vs P): 11회(6:5, 테란 우세)
   3. (Z vs P): 8회(7:1, 저그 우세)
   4. (P vs P): 4회
   4. (Z vs Z): 4회
   6. (T vs T): 2회
   - 기타: 3회






Ⅳ-1. 각 리그 종족별 우승/준우승 횟수

 ▲ 온게임넷 스타리그
   1. 테란(T): 우승 12회, 준우승 9회
   2. 저그(Z): 우승 8회, 준우승 11회
   3. 프로토스(P): 우승 7회, 준우승 8회
   - 기타(R): 우승 2회, 준우승 1회


 ▲ MSL
   1. 저그(Z): 우승 9회, 준우승 9회
   2. 테란(T): 우승 9회, 준우승 4회
   3. 프로토스(P): 우승 4회, 준우승 9회
   - 기타(R): 우승 0회, 준우승 0회




Ⅳ-2. 역대 양대리그 종족별 우승/준우승 횟수

 ▲ 양대리그 도합
   1. 테란(T): 우승 21회, 준우승 13회
   2. 저그(Z): 우승 17회, 준우승 20회
   3. 프로토스(P): 우승 11회, 준우승 17회
   - 기타(R): 우승 2회, 준우승 1회



[註]
¹ '최우범'으로 개명했으나 반영하지 않음.

종합 작성: 개념은나의것 http://cafe.naver.com/fafostar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파란무테
10/01/29 13:56
수정 아이콘
아직 스타리그에서는 결승에서 프로토스가 저그 상대로 승리하질 못했군요.
이제동 대 송병구
박성준 대 박정석
박성준 대 도재욱
MSL에서도 3.3혁명이 유일. 와.....
은비까비
10/01/29 13:58
수정 아이콘
프로토스가 이렇게 약한 종족이였다니...

프로토스들이여 일어나라
thesupreme
10/01/29 14:12
수정 아이콘
2. T vs P : 11회(6:5, 테란 우세)
3. Z vs P : 8회(7:1, 저그 우세)

프..프로토스...
특수알고리즘
10/01/29 14:19
수정 아이콘
저그가 태란이기는게 제일힘들줄알았는데.. 프로토스가 저그이기는게 더힘든거였군요..

3.3혁명 우와...
10/01/29 14:20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09아발론과 09박카스에서는 8강이상에 프로토스가 김택용 하나였네요..
프로토스는 확실히 너무 맵을 잘타는 종족이군요..
10/01/29 14:28
수정 아이콘
프로토스 유저들은 3.3혁명을 좀 더 찬양해도 될 듯 합니다...
야광팬돌이
10/01/29 14:30
수정 아이콘
결승에서만 토스를 두번학살한 박성준선수, 이제동선수...
김택용선수는 정말 대단하네요..
프로토스 유저들은 3.3혁명을 좀 더 찬양해도 될 듯 합니다... (2)
Psy_Onic-0-
10/01/29 14:33
수정 아이콘
연승 기록만 봐도 그렇죠... PvsZ 연승만 한자리수(9연승...-강민,김택용)니까요...

이번에 김택용 선수가 다시 연승 쌓으면서 꺠길 바랬는데... 바로 택레발 작렬...

슬슬 프로토스 우승할떄도 됬는데 말이죠... 김택용 선수...
케세라세라
10/01/29 14:36
수정 아이콘
프로토스...
아...프징징은 정당한 권리였습니다.
10/01/29 14:41
수정 아이콘
사실 토스대 저그 다전제 전적 보면 비슷한데 결승에서는 만난 상대가 마재윤 3번 박성준 2번 이제동 2번, 박찬수 1번이라...; 박찬수 선수는 그렇다쳐도 마재윤 박성준 이제동은 토스로 넘기 어려운 벽이었죠 -_-;
태연사랑
10/01/29 14:46
수정 아이콘
김택용선수 제발 대한항공 결승 가서 토스시대를 다시 엽시다
thesupreme
10/01/29 14:59
수정 아이콘
여담이지만 기록 보다가 놀랐는데 2003년 강민선수 이후로 MSL 프로토스 우승자가 김택용선수밖에 없군요.... 헉

온게임넷 스타리그도 2004년 강민 선수 이후 17개 대회에서 2차례만 우승..

프로토스 힘좀 냅시다
信主SUNNY
10/01/29 15:59
수정 아이콘
파란무테님// 온게임넷에서는 김동수선수가 봉준구선수를 상대로 승리한 것을 토스가 저그를 상대로 승리한 것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신한은행 시즌2 후 뒷담화에서 엄재경해설위원이 모든종족이 모든종족을 상대로 우승한 적이 있는데, 저그가 저그를 상대로 우승한 적만 없다. 그래서 저저전을 했으면 좋겠다라고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실제 저저전 결승이 나왔던 박카스배에서도 해설중에 언급하셨구요.
봉준구선수를 랜덤으로 규정한 것은 개념의 나의것님의 개인적인 정의구요. 최근에 다른종족을 가끔이라도 사용하는 선수가 없다보니 봉준구선수가 랜덤소리도 듣지만, 봉준구선수는 스타게이머로서 활동할 당시 랜덤소리를 들은 적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제가 당시 봉준구선수 팬이었는데, 최소한 전 들은 적이 없어요.
절대마신
10/01/29 16:04
수정 아이콘
결승전에서 저그를 꺾은 최초의 토스는 가림토 김동수라고 봅니다
상대인 봉준구선수가 결승전에서 한판은 토스를 골랐다는 점에서 논란이 되는데, 주종족인 저그로는 답이 없는 토스맵이라서 어쩔수 없이 토스로 한걸로 기억합니다
10/01/29 16:27
수정 아이콘
에효 토스빠는 슬프네요

스타2에선 토스가 우승횟수 많이많이 채우길 빌고싶네요
스타1에선 어짜피 테란 저그판이니까
토스가 앞으로 우승할일은 별로 없어보이는데
이영호 이제동의 압박...
거침없는몸부
10/01/29 18:38
수정 아이콘
정말 이런 자료를 볼 때마다 토스빠인 것이 슬픕니다 ㅠㅠ
10/01/29 21:09
수정 아이콘
저그가 섬맵에서 적당히 약했으면 저그/플토 밸런스도 지금보다 훨씬 좋을 겁니다.
너무 약한 저그를 배려해서 섬맵/반섬맵을 아예 안 써버리니,,,
맵밸런스 치킨게임에서 저그가 먼저 배를 째버리는 바람에 토스가 이모양이죠.
저그 배가 찢어지던 말던 무조건 섬맵/반섬맵/힘싸움맵/전략맵 이렇게 쓰면 테란>토스=저그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2977 역대 양대리그 종족별 성적 분석 [2] 개념은나의것5086 10/09/13 5086 0
41954 역대 양대리그 종족별 성적 분석 [9] 개념은나의것5386 10/06/04 5386 0
41771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6월 로스터가 발표되었습니다. [47] 민죽이9187 10/05/26 9187 0
40819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시즌 4라운드 로스터가 발표됐습니다. [16] 예수6681 10/04/08 6681 0
40347 현역 프로게임팀 코치들의 현역 생활은? [37] 彌親男9851 10/02/16 9851 0
40201 역대 양대리그 종족별 성적 분석 [17] 개념은나의것5096 10/01/29 5096 0
38892 주요 프로게이머 닉네임 정리 - Edition for PGR21 [38] 개념은나의것9972 09/09/17 9972 1
38870 역대 양대리그 종족별 성적 분석 [8] 개념은나의것5262 09/09/09 5262 1
37297 2003년~2009년까지 대형 선수 이적사례 [25] 아주큰행복6333 09/03/13 6333 0
36956 그래프로 살펴보는 역대 스타리그,MSL 16강~결승 랭킹 DB [17] 중견수6441 09/02/12 6441 0
36926 당시 WP랭킹으로 보는 06~08년 스타리그,MSL 리그 순위 [6] 중견수4783 09/02/10 4783 0
36608 좋아하지 않아도 미워하진 말자.. [7] TaCuro4032 09/01/12 4032 0
36137 12월 로스터가 나왔네요. [32] Mercury]Lucifer7190 08/11/27 7190 0
35698 아무도 안올리기에 올려보는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10월 로스터 [32] 회전목마7995 08/09/29 7995 0
35408 결승전 리뷰 & 몇가지 [21] 종합백과4027 08/08/09 4027 0
34432 스타리그의 집착을 버리다. [9] TaCuro5916 08/03/26 5916 5
31689 새로운 역사가 쓰여졌습니다! [13] My name is J4057 07/08/04 4057 0
31687 삼성전자 칸의 우승을 축하합니다. [24] 종합백과3778 07/08/04 3778 0
27490 [부고] 삼성전자 프로게이머 최수범 부친상 [154] TicTacToe5931 06/11/27 5931 0
17343 [강추]스타크래프트 50대사건 네이버에서 펌~ [21] 톰과란제리7392 05/10/15 7392 0
12087 제가 팀리그시뮬레이터로 연 팀리그 [14] 러쉬고~☆3709 05/04/02 3709 0
12052 달라진 팀들의 현재 위상 [10] 이재석4996 05/04/01 4996 0
12039 각 팀별 원투펀치는 누구일까요? [19] 이재석3814 05/03/31 381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