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1/24 03:43:23
Name Gallimard
Subject 2010년 1월 23일, 아프다.
댓글만, 그것도 아주 가끔 흔적을 남기다 글을 씁니다.
여전히 흥분이 가라앉지 않은 상황이라 몹시 망설여집니다.
하지만 뱉어내지 않고는 잠들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마음이 아픕니다.
돌아보니 꽉 찬 8년입니다.
삼십대가 되었고 할 일은 더 많아졌지만 이상하리만큼 애정은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애증, 네, 애증이란 단어가 어울릴 것 같습니다.
하지만 사랑이 훨씬 컸습니다.

90년대 후반의 어느 때.
선배도 동기도 후배도 사라져버렸습니다.
그들은 학교 앞 술집도, 당구장에도 없었습니다. 그때의 pc방은 낯설었고, 멀쩡한 성인들이 pc앞에 앉아 이름 모를 게임에 넋이 나간 것을 도무지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그리고 제가 좋아하는 사람들과 대화(소통이 아닙니다. 그저 ‘대화’)하기 위해, 이상한 화면을 줄기차게 봤습니다. 가르쳐 주는 사람도 없었고 그들의 흥분도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결국, 케이블TV를 통해 외계어를 습득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컴퓨터와의 조촐한 경기를 시작했습니다.

임요환 선수와 박정석 선수의 결승을 봤습니다. 아직도 잊혀지지 않습니다. 제대로 알아듣지 못함에도 무작정 빨려들어갔습니다. 스스로 게임을 하지 못해도 보는 것만으로도 축구나 야구처럼 즐길 수 있었습니다. 감동. 흥분. 활력. 아쉬움. 눈물. 희노애락이 거기 있었습니다.

생각납니다. 이 한참 어린 남자애들이 어떻게 살아갈까. 게임이 생계를 담보할 수 있을까. 내게 삶의 활력을 불어넣어 준 이 소중한 사람들이 행복한 미래를 꿈꿀 수 있을까. 그런 걱정이 있던 때가 있었습니다.
고작 일개 시청자에 불과했던 제게도 들리고 보였던 얘기들, 어떤 선수의 팬클럽에서 반찬을 넣었다. 뭐 그런, 이제와 한줌 추억밖에는 되지 않는 얘기들.
내게, 우리에게 이런 재미와 감동과 눈물을 주는 저 어린 청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원했던 사람들. 그리고 현장에서 피고름을 쏟았을 수많은 사람들.
그렇게 ‘스타크래프트’는 자랐습니다.

강의를 버리고, 작업을 버려가며 배틀넷에 매달렸던 친구들도 이제는 배가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제게 화려한 전적을 뽐내고, 방송을 보면 니가 뭘 아냐며 비아냥대던 선배들도 머리가 벗겨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제게 묻습니다.
요즘은 누가 잘해? 임요환보다? 홍진호보다? 박정석보다?

나보다 스타 방송을 많이 보던 애인, 스타에 관심 없던 애인, 내가 좋아하던 선수를 압살하던 최연성 선수를 좋아하던 애인, 무슨 여자가 스타냐며 무시하던 애인, 네, 제게도 시간이 흘렀습니다. 아주 한참이나.

응원하고 좋아하고 최고의 자리에 서길 바랐던 그 선수들은 이제 은퇴했거나 공군에이스에 있습니다. 이미 들끓었던 청춘의 한 자락을 함께 했던 선수들은 정상에 있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스타크래프트를 보는 이유는... 아, 뭐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오랜 시청자지만, 뉴비와 다를 바 없습니다. 전 단축키조차 잘 모르는 걸요. 그래도 내 삶의 우울이 스타를 통해 용기와 즐거움으로 바뀌는데 이걸 어찌합니까. 내가 사랑했던 선수들의 전성기에 존재했던 그들이 사라져도... 스타는 지속되는 것을요.

그렇게 오래, 구경만 했습니다. 일개 시청자로서, 수년째 눈팅만 하던 피지알의 식구로서.

스타판은 그새 많이 달라지고 변했습니다. 쫓아가기 버거울 정도로 무섭도록 빠르게. 협회와 방송국의 방침이나 변화에 따라가는 것은 버겁기도 했습니다. 수많은 사건들을 접하고 수많은 팬들의 의견을 지켜봅니다. 생각과 표현의 결은 다양해 그 조차도 숨을 헐떡대며 따라갑니다.

제게 가장 중요했던 것은, 제 인생에 가장 힘겨웠던 어떤 시기에 웃음과 눈물, 희망을 주었던 아주 어린 청년들에 대한 소소한 보은이었습니다. 별다른 은퇴식도 없이 사라져간 선수가 어디서든 잘 살길 바라는 바람, 진로를 바꾸어 그 궤적을 팬들에게 보이는 前 선수들이 훌륭한 커리어를 쌓았음 좋겠다는 희망, 많은 고민 끝에 이 길을 선택한 어린 소년들에게 후회 없을 미래가 되길 해버리는 기대. 무엇보다 이 희노애락의 깊고 길고 애꿎은 감각이 더 오래 가길 원하는 마음.

네, 저도 실망스러웠습니다. 창피했습니다. 안타깝고 속상했습니다.
할 말 많았던 이 리그의 과정이 그래도 ‘리쌍’이라 축제가 되길 원했습니다.
박정석, 홍진호. 지금까지 내게 최고인 그 선수들의 버퍼를 받아 무작정 안착한 이영호 선수의 팬이지만, 누가 이기든 최고의 경기로 다시 웃음과 눈물을 줄 거라고 믿었습니다.

피지알을 비롯한 거의 모든 스타크래프트 커뮤니티의 접속이 원활하지 않아 들르게 된 모 사이트에서, 우승자 이제동 선수를 향해 환히 웃는 이영호 선수의 사진을 봤습니다. 그에 응대하는 이제동 선수의 미소도 말이죠. 그리고 그것으로 인해 실시간으로 쌓이는 수많은 감각들을 가까스로 눌러 죽일 수 있었습니다.

이제동 선수의 우승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이영호 선수의 포스와 맵의 불편에도 불구하고 이제동 선수의 매 경기는 빛났습니다.
어제 발생했던 어떠한 상황도 이제동 선수의 우승을 폄훼할 수는 없습니다.
누가 뭐라 해도 당신은 우승자입니다.

그리고,
스타크래프트라는 것을 알게 된 이래 처음으로 테란팬으로 만들어 준 이영호 선수.
어느덧 상대를 향해 그렇게 웃어줄 수 있는 어른이 되었군요.
아쉽고 안타깝지만, 당신의 빛나는 준우승도 축하합니다. 그리고 언제나 응원하겠습니다.

우세승, 재경기 어떤 것이 옳은 것이냐, 더 타당한 것이냐에 대해서는 여러 유저분들의 말씀을 경청하겠습니다. 어떤 판정이어도 아픔과 분노와 아쉬움이 있겠지요.
하지만, 이 결승을 위해 달려온 두 선수. 누구의 팬(혹은 양 선수의 팬이 아니었어도)이건 느꼈을 어제의 그 엄청난 상황에서도 최선을 다 한 이 두 청년의 시간에 박수를 보냅니다.

사진에 잡힌 리쌍의 모습이 제게 희망을 줍니다.
아 맞아, 난 특정 방송사 때문에 스타를 사랑한 게 아니야, 특정 해설 때문에 이렇게 오래 봐 온 게 아니야. 결국 이 청년들인거야. 자신에게 주어진 순간에 최선을 다하는, 이 빛나는 사람들.

오프 관전도 손에 꼽고, 그저 편애하는 선수와 팀의 경기를 VOD로 챙겨보기도 바쁜 이름 없는 팬입니다만, 알고 있습니다. 허탈함과 아쉬움과 분노가 모두 관심과 사랑 때문임을. 다소 수위가 높았던 오늘입니다만, 그것 역시 비할 데 없는 애정에 기인한 것을 알고 있습니다.

모두 아프고 힘드셨죠.
왠지 모두를 안아주고 싶고 안기고도 싶습니다.
어떻게 말로는, 몇 마디로는 표현이 되지 않는 이 감각들을 함께 나누고 싶었습니다.
말주변도 글재주도 없어 낙서처럼 되었습니다만,
언제나 최선을 다하는 선수들도.
그들과 함께했던 코칭 스탭과 구단 관계자들도, 방송사 및 관련 언론 관계자도.
무엇보다도 팬들, 저와 여러분들.
토닥토닥 하고 싶습니다.






그러나 말입니다.
반성과 사과는 참 중요합니다.
일개 ‘라이트’로 분류될 한 사람입니다만, 정말인지 슬프고 분노했더랬습니다.
잘못한 것도 없이 그저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두 선수에게 미안했습니다.
(물론 거슬러 올라가면 김구현 선수에게까지!)

너무 많은 일이 있었습니다.
한 문장의 사과로는, 한 페이지의 변명으로는 이미 이해의 수준을 뛰어넘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정하고 사과하고 반성하는 것은 옳고 아름다운 것입니다.







여기에 모인 어느 누구도 스타의 끝을 바라지 않습니다.
본좌 논쟁으로 전쟁에 다를 바 없는 난장판이 되어도 판의 종결을 원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이들이, 혹은 그네들이 당신들의 동력입니다.
선수가 포기하지 않는 한 팬은 먼저 포기하지 않습니다.

불과 한 외국회사에서 만든 게임이 왜 지금을 만들어냈는지 잊지 마세요.
여기 오기까지 뿌려진 수많은 땀과 눈물을 쉽게 거둬가지 마세요.
배 나오고 머리 벗겨지고... 칭얼대는 아이가 생겨도 지켜보고 있는 그 마음을 외면하지 마세요.

선수(코칭 스탭, 구단 및 관계자)와 방송사와 팬.
스타크래프트는 삼위일체입니다.

어제와 같은 날은 다시 오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이 새벽에도 이런 기분으로 잠 못 드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다시 한 번,
이영호-이제동, 이제동-이영호 두 선수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리쌍록을 지켜본 스타팬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그라쥬
10/01/24 03:49
수정 아이콘
글을 보면서 흡사 빨려들어갈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감명깊게 보았구요.

저도 소리 없이 이 스포츠의 한 구성원들이 역사의 뒤안길을 걸어갈때면.. 많이 씁쓸하더군요..

뭐 그렇죠. 이 판 안에서 따라가지 못하고 낙오 된다면 남은 방법은 그 길 이겠지요.

오늘 경기 만큼은 말을 많이 아껴주시는게 이 스포츠 판을 아끼는 길이 아닐까 싶네요..

서로 흠집내기 한들.. 남는건 자신의 상처겠죠.
10/01/24 03:52
수정 아이콘
잠못자고계신 많은 PGR러분들과 스타크래프트 팬분들의 마음에

위로가 되는 글인것 같습니다..

Gillimard 님, 편안한밤 되세요!
10/01/24 03:52
수정 아이콘
1경기 이제동 선수가 보여준 명품 뮤탈 컨트롤.

2경기 이영호 선수가 보여준 신의 한수 본진 드랍.

그리고 3경기에서 두선수가 보여준 최고의 공방전.

이제동 선수의 팬임에도 불구하고 제발 3:0으로 허무하기 지지 않기만을 바랬던 제 소소한 걱정을 날려버리는 듯한 이제동 선수의 좋은 판짜기와 컨트롤에 경탄하고, 그것을 또 입이 다물어지지 않는 상황판단으로 2세트를 따낸 이영호 선수의 강함에 전율하고,

3경기 승부의 분수령에서 왠지 이제동 선수가 이길 거 같다는 느낌을 받으며 3:2로 누가 이기든 명승부가 나올 수 있겠다고 생각했던 절 비웃듯한 암전...

정말 최고의 선수들이 최선의 노력을 다한 결과물이었습니다.

단지 무대가 최악의 무대였을 뿐.

두 선수 모두 수고하셨고 정말 멋진 경기 보여주어서 고맙습니다.

오늘 밤은 정말 두 선수에게 미안하고, 엠비씨게임에 화가나서 잠들지 못하는 밤이 될 것 같습니다.
10/01/24 03:56
수정 아이콘
소소한 보은이란 말씀이 참 와닿네요..
저 역시 Gallimard님과 같은 마음입니다..
SigurRos
10/01/24 03:56
수정 아이콘
참 정말 잠들기 쉽지 않은 밤이네요.. 좋은글 읽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stardust
10/01/24 04:19
수정 아이콘
저랑 비슷한 시기에 스타리그를 접하신것 같네요. 그래서 그런지 이 판을 보면서 들었던 생각마저 비슷한 것 같습니다.

2002년 어느 가을 우연찮게 자취방 TV에서 보았던 어느 앳된 프로토스 유저의 게임을 시작으로 아직까지도 제 소소한
일상중 작은 즐거움으로 남아 있었는데...


오늘의 이 사태를 두고 여러 사람들은 "망했다" 하시지만 사실 이 판에 종사하는 사람이나 팬분들중
그 어느 누구도 게임판이 망하는 것을 원하는 사람은 단 한명도 없다고 자신합니다

전 방송국빠로 따지자면 골수 온겜넷파지만 엠비씨게임과 같이 공생하는 관계가 되는것이
우리가 사랑하고 아끼는 이 판이 발전하는 원동력이 된다고 봅니다.

엠비씨게임은 다시한번 초심의 마음가짐을 되새기며 절치부심하여 예전의 위상을 회복하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mylittleLoveR
10/01/24 04:33
수정 아이콘
..........

추게로......
Gallimard
10/01/24 05:32
수정 아이콘
아직도 잠들지 못했네요, 한글에서 쓰고 붙여넣기 했더니 이렇게 읽기가 나쁘군요.
부족한 글에 공감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수많은 논란은 다른 글도 충분하니, 그저 두 선수와 스타팬들, 토닥토닥 하고 싶습니다.
몇시간 뒤 개막할 위너스리그와 담달 초 시작될 스타리그를 기약하며, 모두 편안히 주무세요. 좋은 꿈 꾸세요.
10/01/24 09:21
수정 아이콘
정말 좋은 글 감사합니다.
어쩜 이리 제맘과 같으신지...
이제 저도 감정 낭비는 자제해야겠네요..
사실 너무 속상하고 허무해서 잠도 설쳤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0045 2010년 1월 23일, 아프다. [9] Gallimard4190 10/01/24 4190 6
38861 So1 <4> [23] 한니발8784 09/09/07 8784 22
38121 테테전의 거장 서지훈 (1)Before Xellos [17] fd테란7054 09/07/06 7054 10
37963 폭풍 속의 알바트로스 [27] 9251 09/06/20 9251 22
36359 So1 <2> [23] 한니발8507 08/12/18 8507 20
35558 삼황 오제 사천왕 -第二十章- [4] 설탕가루인형3615 08/09/03 3615 0
35215 삼황 오제 사천왕 -第十五章- [14] 설탕가루인형4183 08/07/16 4183 0
34978 Zergology 12-2. - 한순간이라고 해도 우리는 마에스트로의 기적을 목격했습니다. [26] 펠쨩~(염통)6630 08/06/20 6630 11
34863 Zergology 12-1. - 레어 마스터와 하이브 마스터. [6] 펠쨩~(염통)5161 08/06/03 5161 0
34738 쿼 바디스 (Qvo Vadis) 1 [20] 폭풍검5590 08/05/15 5590 25
34619 『업적, 조용호』 [35] 펠쨩~(염통)9488 08/04/28 9488 44
34222 CJ 엔투스 장육선수 은퇴+이지훈선수 KTF수석코치로 돌아오다 [23] 보름달7783 08/03/06 7783 0
34007 붉은 혁명가. [12] 말다했죠~4426 08/02/17 4426 0
33842 옮긴 글) "조용호 대 마재윤 - tide was high" [32] Judas Pain9691 08/02/04 9691 45
24147 북한 미사일 발사... [98] loveJS5226 06/07/05 5226 0
23333 한니발을 붕괴시킨 방법, [41] 김사무엘4843 06/05/18 4843 0
21845 영웅전설 시리즈를 아시는지요 ^^ [32] 작살3498 06/03/18 3498 0
16691 IS..한빛..GO [41] paramita5108 05/09/21 5108 0
16080 스타크래프트소설 - '그들이 오다' 54화 DEICIDE4254 05/08/30 4254 0
13763 한화, 그리고 장종훈과 함께한 프로야구 [24] SEIJI5095 05/06/16 5095 0
11880 SCE를 Aux로!! [7] 총알이 모자라.3398 05/03/24 3398 0
8694 [추억의 인물] 역대 한국 최고의 특급투수 선동렬 그는 누구인가. [42] 치토스4389 04/11/01 4389 0
7282 현재 MLB에서 관심 가는 것 몇 가지 [22] 어딘데3270 04/08/31 327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