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9/09/23 11:42:41
Name 물의 정령 운디
Subject 블리즈컨 2009 스타크래프트2 Q & A 새로운 내용.(퍼옴)
블리즈컨이 끝난 지가 언젠데 외국 팬사이트들이 이제야 인터뷰 자료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엠바고라도 걸렸었나...

원어민 또는 원어민 수준으로 영어 잘 할 경우 아래 링크에서 원본 동영상 (총 5개) 보고 알아서 이해하세요.

http://sclegacy.com/feature/102-bc-09/505-blizzcon-2009-starcraft-2-fansite-qaa

이 번역본에서는 중요한 것 같은 내용만 번역합니다.

---------------------------------------------------------------------------------------------------------

For BlizzCon 2007's story-mode build, most players would just click through Raynor's dialog lines, ignoring them. Blizzard wanted the player to choose how they want to play the game based on the missions they chose, not based on something they said in a bar, because that doesn't feel appropriate for a game about commanding armies and smashing empires. Choices that gave more meaning were; "Where do I send my army next?" and "How do I upgrade my technology?" The choices you were given when speaking to other characters looked like they were important and meaningful, though they really weren't, that's why Blizzard removed it from the game. Some people would probably have enjoyed this part of the game, but that's not most people. Blizzard cut content because they want to keep the best stuff, and overall this makes it a better game.
Blizzard does have interest in exporting replays to a video format, but will probably not get around to it soon due to time constraints. Dustin Browder claims "We're hugely interested in supporting e-sports and this is one of those things we want to do. I don't know what the status on this is, but we will have patches after ship and expansions yet to come."
The map editor will be released on beta, but not at day 1. Probably somewhere mid beta. Blizzard wants to beta test the editor itself first and see how it interacts with Battle.net. Also Blizzard wants to let modders try it, so when release comes we will see some cool mods pretty early.
맵 에디터는 베타 테스트에 등장하겠지만 베타 테스트 시작과 함께 공개되지는 않을 겁니다. 보나마나 중반 쯤에나 공개될 듯 싶네요. 블리자드 사측에선 에디터를 먼저 베타에서 시험하여 배틀넷과의 호환성 등을 확인할 계획입니다. 또한, 맵 제작 전문가들 및 드래프트 제작자들에게도 기회를 주는 것이므로 게임이 출시되기 전부터 다양한 유즈맵들을 볼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Some RPG-styte- quests in StarCraft II take hours to create, others could take weeks or months, depending on how difficult it was to put together. Blizzard wants some of the quests to have multiple solutions. They did not want an RPG system that implies that there will be hundreds of quests. They want it to be more about the starmap and tech purchase.
StarCraft II has alot of unit models that are no longer in the multiplayer, and some who were made specifically for single player. Dustin didn't have a number, but claimed we will probably have to wait until the expansions to reach the same amount of models that were in WarCraft III.
The BlizzCon demo takes place at the middle of the beginning part of the campaign, there are three missions previous to the mission branch playable at BlizzCon. The Zerg are making their move into Terran space, but Jim Raynor at the time is leader of a relatively small and helpless faction.
Blizzard has put equal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single-player and multiplayer. Many fans of the series that are still active in the community are focused mostly on multiplayer, but much of Starcraft's popularity is based on it's campaign modes.
Dustin's biggest hope for the game is racial balance and living up to StarCraft's expectations and legacy.
The campaign has a full tutorial system, with videos and interactive missions. Skirmish mode also includes starting tutorials for the non campaign races. The campaign also includes multiplayer oriented challenge modes that help practice skills and tactics used for multi-player battles.
켐페인은 영상, 연습용 미션 등을 포함한 완벽한 초보자 가이드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커스텀 게임 모드에서도 해당 켐페인 종족 외 두 종족을 위한 가이드를 따로 마련해놨습니다. 켐페인은 멀티 플레이어에서 쓰일 만한 기능들을 익힐 수 있는 챌린지 모드도 포함합니다.

Internally, Blizzard feels the Zerg are vastly underpowered, namely in tier 2. Beta will be the period where they direct the game's balance.
Racial identities and playstyte-s are being treated as self-emerging through develeopment. Terrans have developed into a much more mobile race, but this is not the final decision for their overall playstyte- feel.
Unit upgrades and unique abililty upgrades are not segregated in order to make the building choices more varied and interesting.
Macro mechanics are still being reworked, overall they are happy with spawn larvae and MULE calldown, while Proton Charge is still being looked at for big changes.
매크로 컨트롤 기능은 아직 더 개발이 필요하며 애벌레 부화 및 지게로봇(MULE) 소환 기술에 대해선 크게 만족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프로토스 광양자 충전 기술은 변화가 있을 지도 모릅니다.

Dustin feels that Zerg and Terran are close to equal difficulty, with Protoss being the easiest to use.
더스틴은 저그와 Terran의 난이도가 비슷하며 프로토스는 그 둘 보다 더 쉽다고 판단합니다.

The Raven is close to how they want it designed, with some changes possibly needed for the point-defense turret to make it's role more clearly understood.
흑수리(레이븐)은 계획대로 거의 제작되었으며 방어유도기(포인트 디펜스 터렛) 의 기능이 쉽게 이해가도록 살짝 변경이 필요할 뿐입니다.

Infestor's spells are currently being re-worked.
감염자(인페스터)의 기술들을 전격 수정중입니다.

Burrowed Banelings contain Terrans until they acquire mobile detection (Ravens).
Terran은기동성 디텍터 유닛 (흑수리) 를 생산하기 전까지 잠복(버로우) 기능이 있는 맹독충(베인링)들에게 쳐발립니다.

Some Protoss missions are playable in WoL for storytelling purposes.
자유의 날개 Terran 캠페인 내에서 줄거리 설명을 위하여 프로토스 미션 몇 개가 등장합니다.

The campaign currently has approximately 15 tilesets.
Mutiple tilesets can be used in single maps.
캠페인은 현재 15종류의 타일셋이 있으며 한 맵에 다양한 종류의 타일셋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The basic idea for the Protoss campaign is the ultimate shattering and re-unification of the Protoss factions. The basic gameplay idea is to utiliz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different Protoss factions to create your own new Protoss unification.
프로토스 캠페인의 바탕 줄거리는 프로토스의 분열 및 재결합입니다. 각 프로토스 당파들의 장점들만을 모은 새로운 강력한 프로토스 당파를 제작하는 만드는게 게임 플레이의 주 내용입니다.

The plan for the Zerg campaign is to be hero-centric than the other two campaigns.
저그 캠페인은 다른 캠페인들과 달리 영웅들에 집중될 계획입니다.

The Protoss campaign will be more focused on the Star Map and planet exploration than the Terran campaign.
프로토스 캠페인은 Terran 캠페인보다 우주 지도 및 행성 탐험에 더 집중될 겁니다.

The DLC plan includes additional challenges more geared to the evolution on the current meta game. Other DLC plans are still not decided.
Map editor features not necessary for StarCraft II (such as an inventory and hero system for DOTA clones) are included.
맵 에디터에는 스타크래프트2 게임에 필요없는 기능 (예: 워크3 카오스(DoTA)와 유사한 영웅 시스템 및 아이템 창고) 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Models and graphics from the campaign can be used in custom maps, animations can not.
The Zerg have more "iconic" units that they feel could not be removed (zergling, hydralisk, mutalisk), so it is more difficult to make the Zerg fresh and interesting.
저그에는 상징적인 유닛들 (리스크로 끝나는 것들) 이 다소 많아 타 종족들과는 달리 종족 자체를 새롭게 바꾸기가 힘듭니다.

The campaign will feature a lot of super high powered unit upgrades and abilities that won't be in multiplayer.
켐페인에는 멀티플레이어에 없는 (브리핑룸 무기고) 초강력 업그레이드들이 존재합니다.

Translated by 까꿍,

다음 스타크래프트 맵진™

퍼가시려면 출처를 밝히세요 ㅠㅠ

번역에는 다음 스타크래프트 맵진의 까꿍 님께서 수고해 주셨습니다. 언제나 늘 번역에 많은 수고를 해주셔서 참 감사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물의 정령 운디
09/09/23 18:13
수정 아이콘
흠... 그런데 왜 댓글이 없지??? ㅠㅠ
김영민
09/09/24 01:28
수정 아이콘
겜내용보단 캠페인이 더 기대되네요. 저그는 종족특성상 영웅이 없을만한 종족인데 저그 캠페인에서는 영웅위주라니.. 어떤 얘들이 나오는걸까요?
타우τ
09/09/24 01:42
수정 아이콘
김영민님// 케리건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고 했으니
케리건의 대모험 쯤 되겠죠
09/09/24 11:24
수정 아이콘
현재 단계에서는 저그가 레어 단계에서 굉장히 약한 감이 있어서 이를 해결하는 중이라는 내용이 있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5240 조금은 부러운 중국 E-SPORTS(WCG2011 중국예선전) [16] 잠잘까12149 11/08/09 12149 4
45222 WCG 2011 한국 대표 선발전 오프라인 예선 결과 [34] kimbilly8491 11/08/07 8491 0
45185 끝이 아닌 시작을 말하여 봅시다. [10] 백대건6590 11/08/05 6590 0
44439 스타1유저가 스타2를 하지 않는 이유 [81] 김연우16668 11/05/15 16668 20
42942 차기 곰티비 스타크래프트2리그(GSL)에서는 해외 선수들을 초청하면 어떨까요? [11] 비비안4896 10/09/12 4896 0
42745 곰TV GSL 스타2 오프라인 1일째 결과 및 잡담... [11] 성야무인Ver 0.006918 10/08/28 6918 0
42659 스타2는 다 좋은데 가독성이 너무 떨어지는것 같아 불만입니다. [93] SkPJi13055 10/08/22 13055 1
42575 wcg 예선 워크3 장재호 vs 엄효섭 관전기 (스포있음) [5] 아마돌이5406 10/08/18 5406 0
42419 스타2 개인리그 개최: GSL-우승자 상금1억원 [추가수정] [62] 좋은풍경9968 10/08/05 9968 0
41798 우려... [13] 케이윌4575 10/05/27 4575 4
41782 결국 스타1은 사라지고 스타크래프트2가 대한민국 e스포츠를 대표하는 게임이될수밖에 없습니다. [48] 게임균형발전6017 10/05/27 6017 0
41775 곰TV: 블리자드와 독점계약 성사에 관해- "국내 E스포츠판의 미래가 달려있다" [99] 좋은풍경9775 10/05/27 9775 0
38912 블리즈컨 2009 스타크래프트2 Q & A 새로운 내용.(퍼옴) [4] 물의 정령 운디4908 09/09/23 4908 0
38848 스타크래프트2 테란, 프로토스, 저그 Q&A 정보.(경기 동영상 추가합니다!!!) [7] 물의 정령 운디6105 09/09/04 6105 0
38827 스타크래프트2 관련 정보 퍼옴.(내용 방대함.) [14] 물의 정령 운디5387 09/09/01 5387 0
38766 개인 [50] Judas Pain9736 09/08/27 9736 27
38622 스타크래프트 2 - 싱글플레이 체험기 [22] Toby6500 09/08/18 6500 1
38177 스타크래프트2 Q&A 퍼옴(스크롤 압박) [6] 물의 정령 운디6719 09/07/11 6719 0
38027 스타2의 변화는 꼭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23] 풀잎녹차5881 09/06/28 5881 0
35796 블리즈컨 1일차 [4] 항즐이6070 08/10/09 6070 0
35238 스타크래프트2 체험 소감 [8] WithOr6258 08/07/19 6258 0
34643 스타크래프트1과 스타2가 나왔을때의 주관적인 시뮬레이션에 대한 주절거림 [22] 피스6541 08/05/02 6541 0
32274 WCG 2007 시애틀 현장 스케치 [14] M Powered5012 07/10/11 501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