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9/03/16 11:14:07
Name 플러스
Subject 본좌 및 본좌후보들의 양대리그 "고군분투 수치"
개념의나의것님의 "양대리그 통산 커리어 랭킹"글을 보다가 문득 생각나서,
우승자가 우승한 리그의 4강에... 자신과 같은 종족인 선수가 얼마나 있었는지를 살펴봤습니다
네이밍은 썰렁한 "고군분투 수치"로 -_-;
양대리그 통산 2회이상 우승한 선수들과 택뱅리쌍의 데이터만 뽑아봤습니다

* 본좌
이윤열 - 우승 6회 (동족 6명) - 1
최연성 - 우승 5회 (동족 7명) - 1.4
마재윤 - 우승 4회 (동족 3명) - 0,75
임요환 - 우승 3회 (동족 2명) - 0.67

* 준본좌(?)
박성준 - 우승 3회 (동족 2명) - 0.67
강민 - 우승 2회 (동족 2명) - 1
김동수 - 우승 2회 (동족 0명) - 0

* 택뱅리쌍
김택용 - 우승 3회 (동족 5명) - 1.67
이제동 - 우승 2회 (동족 0명) - 0
송병구 - 우승 1회 (동족 1명) - 1
이영호 - 우승 1회 (동족 0명) - 0

양대리그 (OSL, MSL) 통산으로 살펴보니 위와 같네요
수치 계산법은, 예를 들어, 마재윤이 4회 우승할 동안 4강에 자신을 제외한 저그가 0명, 0명, 1명, 2명 있었습니다
합계인 3명을 우승회수 4회로 나눈 3/4 = 0.75가 "나혼자잘해 수치"입니다

* 우승회수 (랭킹은 우승 횟수 → 준우승 횟수 → 3위 횟수 → 4위 횟수 순)

1. 이윤열 6회
2. 최연성 5회
3. 마재윤 4회
4. 임요환 3회
5. 박성준 3회
6. 김택용 3회
7. 강민 2회
8. 이제동 2회
9. 김동수 2회
10. 송병구 1회
11. 이영호 1회

* 고군분투 수치 (수치가 적은 순서로 나열, 동률시 위의 우승회수 순으로)

1. 이제동 - 0
2. 김동수 - 0
3. 이영호 - 0
4. 임요환 - 0.67
5. 박성준 - 0.67
6. 마재윤 - 0.75
7. 이윤열 - 1
8. 강민 - 1
9. 송병구 - 1
10. 최연성 - 1.4
11. 김택용 - 1.67



사족...
- 데이터의 범위를 4강 선수들로만 하니까, 결과가 많이 썰렁하네요 -_-;
- 테란 본좌 3명 중 이윤열/최연성이 테란번성기에 정점을 찍었다면, 임요환은 테란을 개척했다고 볼 수 있을듯...
- 마재윤은 워낙 고군분투한 이미지가 강해서 4강에 저그가 거의 없었을 것 같았는데... 막상 보니 생각보다는(?) 많네요
그래도 그 본좌로드를 오르는 과정은, 4회라는 우승회수로 표현하기는 부족할 것 같네요...
- 김동수... 정말 힘들게 2회 우승했었던... 이제동... 요즘 그렇게 힘들게 버텨주고 있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tardust
09/03/16 11:22
수정 아이콘
송병구, 이영호 껴주실라면 박정석도 껴주세용...
밑힌자
09/03/16 11:23
수정 아이콘
박정석 선수 들어가면 리그 16강까지 해도 1위는 문제 없을 듯 - _-
플러스
09/03/16 11:30
수정 아이콘
Art Brut님// 그래서 준본좌(?)라고 적었어요 ^^;
09/03/16 11:48
수정 아이콘
임요환(조정현, 최인규)...Z(홍진호*2, 장진남, 이근택) P(기욤, 박용욱, 임성춘)
이윤열(임요환, 최인규, 김현진, 이병민*2, 전상욱)...Z(조용호*3, 홍진호*2, 박경락, 박신영, 장진남, 박성준, 박태민), P(박정석, 오영종)
최연성(이윤열*2,임요환,한동욱,이병민*2,김정민)...Z(홍진호*2,박성준), P(박정석, 박지호,박용욱,강민*2)
마재윤(조용호, 변은종, 심소명)...T(이윤열,변형태,한동욱,전상욱,최연성), P(박정석,박용욱,강민*2)
박성준(박태민,박찬수)...T(최연성,이병민,서지훈,나도현), P(박정석,도재욱,손찬웅)
김택용(허영무,송병구,김구현,강민,윤용태)...T(진영수,이성은), Z(박태민,마재윤)
이제동(없음)...T(신희승,박성균),P(송병구,김택용,김구현,허영무)

자신포함 종족수 / 우승횟수*4
임요환 5/12 = 0.42
이윤열 12/24 = 0.5
최연성 12/20 = 0.6
마재윤 7/16 = 0.44
박성준 5/12 =0.42
김택용 8/12 = 0.66
이제동 2/8 = 0.25

이제동-임요환,박성준-마재윤-이윤열-최연성-김택용 순이군요
태바리
09/03/16 12:00
수정 아이콘
마재윤선수는 조용호선수 때문에 수치가 올라간것 같군요.
신소재
09/03/16 12:13
수정 아이콘
마재윤 선수는 저저전결승을 2번이나 경험한 선수니까요.
래몽래인
09/03/16 12:25
수정 아이콘
고금 최강의 저그 리제동~~~무~
플러스
09/03/16 12:33
수정 아이콘
에르님// 자신을 포함한 종족수가 더 보기좋네요 ^^
그리고 이윤열선수 4강에 동족이 7명이 아니라 6명이었네요 --; 덕분에 수정했습니다
sgoodsq289
09/03/16 13:19
수정 아이콘
잘 봤습니다만 살짝 테클;; 위에 글에서
우승 횟수 동률은 이제동(2) / 김동수(2) 순서인데
고군분투 동률에서는 김동수(0) / 이제동(0) 이네요..
둘다 우승 횟수 순서라는데... 몬가 잘 못 된 듯 싶군요.
플러스
09/03/16 14:37
수정 아이콘
sgoodsq289// 앗... 수정했습니다
KnightBaran.K
09/03/16 16:02
수정 아이콘
재밌는 데이타네요. 8강이나 16강까지 확장하면 더욱 흥미롭겠는데요~~
박정석이나 강민선수의 수치가 궁금하네요
BuyLoanFeelBride
09/03/16 18:25
수정 아이콘
4강만으로 하되 결승진출한 대회를 모두 써보시는 게 어떨까 합니다^^

표본이 너무 적은 것 같습니다. 가령 박성준의 경우 총 결승진출이 5회니까요. 임요환은 6회던가 7회던가?

16강은 너무 범위가 넓어지는 것 같고, 8강 정도는 괜찮겠지요.

(박성준의 질레트 8강에 저그 1명이 떠오르는군요)
王非好信主
09/03/16 19:57
수정 아이콘
16강은 안되죠. 왜냐면, 16강구성은 해당시즌 맵이아닌 전시즌맵으로 하니까요.(현재는 아니지만, 2006년까지의 과거에는요)

8강까지는 고민해볼만한듯.
09/03/17 00:52
수정 아이콘
이렇게 보면..
최연성, 김택용 (+이윤열, 강민) 은 자기 종족 날라다닐 때 우승하고
김동수, 이제동, 이영호 (+임요환, 박성준) 은 자기 종족 암울할 때 혼자 잘해서 우승하고
후자 인물들이 더 뛰어나네

저렇게 보면..
최연성, 김택용 (+이윤열, 강민) 은 자기 종족의 부흥기를 일으켰고
김동수, 이제동, 이영호 (+임요환, 박성준) 은 자기만 잘한거고
전자 인물들이 더 대단하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7437 신한은행 프로리그 위너스리그 대망의 결승전 CJvs화승(3) [339] SKY925525 09/03/28 5525 1
37436 신한은행 프로리그 위너스리그 대망의 결승전 CJvs화승(2) [431] SKY925251 09/03/28 5251 0
37435 신한은행 프로리그 위너스리그 대망의 결승전 CJvs화승(1) [290] SKY925411 09/03/28 5411 0
37433 폭군을 처단하라! [20] 도달자7018 09/03/28 7018 4
37431 눈빛으로 잡아먹다. [10] 王天君5660 09/03/28 5660 3
37430 ‘새로운 전설의 시작’ 2009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1 예선전 대진표 [25] Alan_Baxter5964 09/03/28 5964 0
37429 이제동의 눈빛. [14] Dee6737 09/03/27 6737 0
37428 제동선수가 만들어 낸 또 하나의 기록 [14] Yes5947 09/03/27 5947 0
37427 이제동, 4월 징크스를 극복해낼것인가? [9] SKY925055 09/03/27 5055 0
37426 임이최마 중에서도 이렇게 동족전을 잘하는 선수는 없었습니다. [47] 거품8594 09/03/27 8594 1
37425 결승전 맵순서 보시죠. [34] SKY925566 09/03/27 5566 0
37424 바투 스타리그 4강 조일장vs이제동 [401] SKY926633 09/03/27 6633 0
37423 이스포츠 협회 김신배 체제에서 서진우 체제로 [7] Alan_Baxter7085 09/03/26 7085 0
37422 이제동이 선봉으로 나오게 될 경우의 득. [17] Leeka5946 09/03/26 5946 0
37421 위너스리그 결승 이제동의 1,2,3,4 경기 맵 전적 +@ [24] [秋] AKi7235 09/03/26 7235 1
37420 CJ VS 화승 결승 엔트리~ [67] SKY928996 09/03/26 8996 0
37419 대 저그전에서의 할루시네이션의 활용은 어떨까요? [38] 와이숑9928 09/03/26 9928 0
37418 [L.O.T.의 쉬어가기] 내가 당신에게 바라는 한 가지... [3] Love.of.Tears.5393 09/03/26 5393 0
37417 선수 육성.. 최강의 팀은? [69] 핫타이크9049 09/03/26 9049 0
37416 [DMB관련]뜬금없지만... [29] hero6005340 09/03/25 5340 0
37414 TG 삼보 인텔 클래식 시즌 3 T1팀 불참. [106] SKY9212271 09/03/25 12271 1
37413 스타판 트레이드 시장, 드디어 '제대로' 활성화되는가? [18] Chizuru.8621 09/03/25 8621 0
37411 zhdRkwlak [49] ■유유히8922 09/03/24 8922 2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