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12/17 03:01:53
Name 점쟁이
Subject 저그의 대 메카닉전 방업에 대해서
※ 온리 플토유저라서 정확하지 않습니다
스타 돌려서 일일이 맞춰보고 싶은데 지금 너무 졸려서;;
아마 대부분 맞을 것이지만.. 혹시 틀릴지도 모릅니다..




어제 이승석 선수가 메카닉 전에서
전혀 지상 방업을 하지 않더군요

초반부터 저글링 공업(밀리 타입)을 쓰고
방업이 아닌 히드라 공업(레인지 타입)에 투자하더라고요

방업을 않길래 하이브 가서 울트라 쓸 생각이 아닌가?
의외라고 생각했는데 또 울트라도 쓰더라고요;

경기 후반에는 밀리, 레인지 모두 3업인데 노방업이었죠(울트라는 껍질업 해서 방2)

뮤탈은 막판에 플레이그 배슬 처리용 뽑은 거 보니까
반대로 전혀 공업을 하지 않고 방2업이고요

보면서 많이 의아해 했습니다

자원도 본진, 앞마당, 뒷길(1시), 2멀티(2시), 3멀티(4시)를 돌렸는데
방업할 자원이 없진 않았을텐데..
아니, 당장 히드라 2~4마리만 덜 뽑아도 방업은 충분히 할 수 있는데, 뭘까?


경기 초반 박성균 선수가 입구 막고 개스 탈 때
발리앗으로 대표되는 최연성, 정명훈 선수와 팀내에서 메카닉 전을 즐겨했을 것이 분명하기에
뭔가 자신만의 특별한 플레이가 있을 것 같다라고 해설이 짚어주셨기 때문에
보면서 이게 그 특별한 것이 아닐까 계속 유심히 지켜봤습니다

실제 플레이에서는 마인 밟고 공업된 메카닉 화력에 줄줄이 녹는거 보면서
특별하긴 개뿔거렸습니다--;;



그런데 어제 밤에 잘 때 다시 생각해보니까
메카닉전 노방업이 오히려 효과가 있는 것 같더라고요

먼저 공업, 방업의 중요성에 대해서 생각해보면
유명한 거 몇가지 있잖아요


- 질럿이 공1업하면 저글링을 2방에 죽일 수 있다
- 시즈탱크 2업하면 2방으로 시즈 잡을 수 있다
- 공3업 아컨이면 저글링은 풀업해도 무조건 원샷이다
- 마린 또는 프로브, 드론 방1업이면 다크에게 썰려도 원샷이 아니라서 알람 뜬다
- 뮤탈의 쓰리쿠션(9→3→1)은 공업을 해도 첫타에만 플러스가 붙지만(10→3→1),
  뮤탈 방업은 삼타 모두에 플러스를 받기 때문에(9-1→3-1→1or0)
  뮤탈 싸움에선 방업이 이득이다


대표적인 거 몇가지만 들어봤는데 제가 하려는 얘기 바로 눈치채셨을 겁니다

공업이나 방업을 해서 좋은 건
업해서 +얼마를 받느냐가 아니라
한방을 덜 때리고 죽일 수 있느냐, 한방을 더 맞아도 살 수 있느냐 싸움이란 거죠



간단히 예를 들어보죠

시즈탱크의 공격력은 70.. 업글마다 5씩 붙고
폭발형이라 소형에겐 50% 데미지로 들어갑니다

125인 럴커는 방업 풀로 해봤자 무조건 3방입니다
(대형인 줄 알고 2방이라고 적었는데 리플 보고 게임 돌려서 확인 후 수정했습니다)

공2업 단계에서는 80.. (소형에게 40)
체력 35인 저글링이 방3업을 해서 대화를 시도해도 1방에 끝입니다


히드라는 체력 80이지만 중형이라



이렇게 데미지 들어갑니다
방업을 하든 안하든, 시즈가 공업을 하든 안하든
시즈포격 2방이란 점엔 변함이 없습니다

하지만, 더 중요한 사실..
메카닉 병력의 화력 중심은 시즈지만
실제로는 곁가지 치고 있는 벌쳐, 골리앗이 다 줏어먹고 있다는 것이죠



표의 히드라는 시즈포격을 한대 맞았다는 가정하 입니다
즉, 히드라 체력 80에서 위에 시즈 포격의 업글당 데미지를 빼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그린은 3방 이상을 맞아도 히드라가 죽지 않는 경우,
옐로우는 3방을 맞고 죽는 경우,
레드는 2방을 맞으면 죽는 경우

보시면 알겠지만 공3업 단계에서 시즈포격을 한대 맞으면
히드라가 방업하고 무슨 수를 써서 지랄해도 벌쳐나 골리앗 2방에 죽습니다

시즈포격 딜레이를 생각해봤을 때
벌쳐나 골리앗 2방 쏠 시간이면 결국 시즈의 제 2 포격은
새로운 히드라에 떨어진다는 얘기니까
히드라도 결국 방3업 해봤자 다가와서 침 한번 뱉고 죽는다는 소리가 되죠


럴커요..
럴커는 위에서 얘기했듯이 시즈 포격 1방을 버틸 수는 있는데
다가오더라도 버로우 해야죠--;;


드론..
시즈 풀업하면 한방을 버틸 수 없습니다..
뭐, 실전에서는 탱크 드랍 안떨어지고, 벌쳐 난입만 오죠..

글이 길어져서 간단히만 적으면
노업 벌쳐 3방에 죽는 드론이 공2업 벌쳐 앞에선 방업 풀이어도 2방입니다


네, 여기까지..
저글링, 히드라, 럴커는 시즈 한방 맞고 대부분 죽거나(저글링)
비틀 비틀 기어와서 침 한번 뱉고 정리되거나(히드라)
버로우 하다 제2포격에 죽는다는 겁니다(럴커)

좀더 쉽게 얘기하면
방업 열라 해봤자 공업 메카닉 화력에 녹는 건 변함없다라는 결론입니다


플토가 메카닉 화력이 무서워서 조금이라도 피해를 줄이고자
비싸고, 비효율이적이며, 체형 보정도 받지 못하는 쉴드업을 울며 겨자먹기로 3단까지 했지만
EMP 한방에 무용지물 되는 것 처럼
메카닉전 저그 방업은 해봤자 시즈 포격+벌쳐나 골럇 2방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더 무서운 건..
이레디 먼저 맞고, 포격 스플래쉬에 마인 밟는 경우는 계산에 넣지도 않았다는 거죠--;


물론 실전에서는, 돌아다니다 온리 벌쳐 부대와 만날 수도 있는 거고
시즈포격 헛방(타겟 하나에 여러방이 몰리는)도 빈번하게 나오고
디파일러 다크 스웜 변수도 있고
달려드는 진형이나 수비하는 위치에 따라 결과는 전혀 다르게 나오는데다
저그 병력의 힘은 압도적인 물량과 회전력이라
이런 탁상이론과는 대규모전이 반드시 맞아떨어지는 건 아니지만
저그의 기본이 되는 선방업 플레이는
메카닉 전에서 지양되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 물론 스플래쉬라는 소수 데미지도 존재하기 때문에
방업이 아예 필요없다는 얘기는 아닙니다

단, 선방업할 자원으로 히드라 공업이라든지 레어를 먼저 누르던가
방2업 자원으로 하이브부터 올리던가
방3업 누르기 전에 아드레날린을 맞든, 울트라나 디파일러를 짓든..

이런 식으로 방업에 투자될 자원을 조금 더 빠르게 활용한다면
뭔가 테란이 맞춰나가는 타이밍에 한발짝 앞서가는
마법같은 운영도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ps.. 그러나 현실에선 마법은 커녕 케챱..

ps2..
유일하게 큰형님 울트라가 체력 만빵이라 버텨볼만한데
울트라가 용맹한 날은 이레디 맞고, 마인 밟고 시즈포 받고도 용맹하게 싸우는데
안되는 날은 언제 왔었냐는 듯 순식간에 가죽 벗겨지기도 하거니와
실전에서는 워낙 이레디를 좋아하는 녀석이라서;;
아무튼 방업을 하든 안하든 분명히 울트라만은
지뢰밭을 뚫고 탱크 옆에 자주 붙습니다

ps3..
위에 언급했듯 이승석 선수가 뮤탈은 방업을 했죠
메카닉 상대로 뮤탈은 공업보다 방업이 좋습니다

골리앗 대공업이 +4씩 붙는 무시무시한 화력이지만 어디까지나 폭발형이라
뮤탈에겐 10→12→14→16 으로 붙습니다
공3업 골리앗이 8방이면 노업 뮤탈을 잡지만
방1업만 해줘도 9방 쳐야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플토만세
08/12/17 03:16
수정 아이콘
그 내용이 결과적으로 맞는 말인지 틀린 말인지 알 수는 없지만 저는 이렇게 논리적인 글이 좋습니다
딩요발에붙은
08/12/17 03:17
수정 아이콘
오.. 이런 체계적 분석글 좋아요:)
박대희
08/12/17 03:35
수정 아이콘
한가지 수정하자면 러커는 중형입니다. 오버로드에 태우는 거 보면 대형같지만 중형판정이죠

이래나 저래나 똑같이 3방막고 죽던가;;;
가치파괴자
08/12/17 07:34
수정 아이콘
글이 멋져요
대세는탱구
08/12/17 07:41
수정 아이콘
매우 좋은 실험을 하셨네요. 잘 보고 추천 누르고 갑니다.
다만 한가지 아쉬운 부분이 있다면 탱크의 스플래시 데미지에 대해 구체적인 언급이 빠져있다는 건데요.

플저전에서 리버 데미지 업그레이드를 예로 한번 들어보겠습니다.
플토는 리버가 히드라를 잡을때 데미지 업그레이드를 해서 125가 되건, 안해서 100이 되건 타겟 히드라는 한방에 잡지만
스플래시 데미지의 증가로 인해 주변의 히드라를 잡기 용이해지기 때문에 리버 뎀업을 해주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실제로도 리버 뎀업 유무에 따라 체감상 히드라 녹는 숫자가 달라지고, 경기 중에 해설진도 항상 리버 뎀업 됐냐고 물어보죠.
시즈 탱크의 스플래시 데미지도 그런 맥락에서 생각을 해봐야할 것 같은데요.

개인적으로 이승석 선수의 병력이 방업을 안해서 그런가 전투시 평소보다 좀 빨리 녹는거같다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기분탓일까요?)
탱크 공 3업시 스플래시 데미지가 히드라 노방업 / 방3업에게 얼마나 차이를 주는지,
스플래시 데미지의 증감에 따라 이어지는 골럇 벌쳐의 2타 3타에 대해 히드라의 생존률이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그런 실험 데이타가 있었으면 보다 완벽하게 "방업은 메카닉 상대로 큰 의미가 없다"라는 결론이 나올것 같네요.
이승석 선수라던가 다른 저그 선수들이 인터뷰에서 체감상 방업할 필요없더라 라고 인터뷰 한번 해주면 더 명확해지겠죠.

물론 실험하기 대단히 난해한 부분이고 체감으로 느껴야겠지만요. 지금 그대로도 충분히 좋은 정리를 해주셨습니다 ^^
완성형폭풍저
08/12/17 08:49
수정 아이콘
좋은 분석글이네요.
한가지 아쉬운점이 있다면 대세는 탱구님의 말씀처럼 스플래쉬문제인데..
공3업 아칸과 노방업 저글링이 싸운다면 게임도 되지 않지만, 방3업 저글링이 붙는다면 꽤 싸울만 합니다.
맞는 녀석은 한방에 죽지만 스플래쉬를 적게 받기 때문이죠.
스플래쉬는 어떤 방식으로 들어가는지 사뭇 궁금해지네요.
그러고보면 아직 스타판의 모든것이 밝혀진것은 아니군요.
08/12/17 10:10
수정 아이콘
그러게 스플래쉬가 주변유닛에게 얼마나 들어가는지 알수가 없으니 이런 논리적인 실험으로도 방업의 효과를 명확히 알기가 어렵군요.
어쨋든 이승석 선수가 많이 해보고 체감상 공업이 방업보다 좋다고 느껴서 그랬을지...
아니면 실제로 스플래쉬에 덜죽기 때문에 방업이 유용할지.. 의문이군요.
王非好信主
08/12/17 10:42
수정 아이콘
실제로는 유닛대유닛으로 싸우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여러가지 공격력을 가진 유닛이 공격하기에 실제 유닛대유닛에 비해 공격효율은 나쁘지 않습니다.(초반 2질럿1프로브가 원샷으로 저글링을 잡는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지상유닛이 왜 방업을 하지 않았는가? 간단한 이유인데, 스타크래프트의 모든 유닛은 방업이 1씩올라가지만, 메카닉의 공격력은 큰폭으로 상승합니다. 즉 방업의 효과가 참... 미비해지죠.

그리고 방어력업글은 상대의 공격력을 먼저 제한 뒤에 형태비율이 적용됩니다...(무슨소린지 모르시겠죠...) 즉, 노업시즈탱크가 방2업인 저글링을 쳤을때의 데미지는, 70데미지가 35데미지로 바뀐 후에 저글링 방2을 받아서 33이 들어가는 것이 아니고, 70에서 2을 뺀 뒤에 저글링이 소형이라 34의 데미지가 들어갑니다. 그러니까 폭발형, 진동형의 공격형태와 대형,중형,소형의 방어형태에 따른 데미지 비율은 공격력-방어력이 먼저 계산된 뒤에 반영됩니다.

결국 소형이더라도 방1의 1수치는 시즈탱크의 공1의 5수치의 20%밖에 안된다는 것이죠. 그러니 방업에 투자할 비용이 아까울 수 밖에요.

골리앗과 무탈의 관계도 같을 겁니다. 말씀하신대로 무탈을 플레그 뿌린 유닛의 처리용으로 뽑았기 때문에 공업이 의미가 없어서 방업인 것이죠. 방업은 스컬지와 오버로드에도 적용되니까, 방업이 훨씬 낫죠.

그리고 공업은 뮤탈의 3쿠션 데미지에 영향을 줍니다. 3쿠션데미지는 튕길때마다 데미지가 1/3로 줄어드는데, 그래서 공1업시에 9-3-1이 10-3-1로 되는 것처럼 보일 뿐이에요. 정확히는 10-3.3-1.1의 데미지가 들어갑니다. 공3업한 후엔 12-4-1.3 데미지가 들어가요.

메카닉상대로는 솔직히 업글없이 물량이 최고라... 생각합니다. 공격력이 워낙 막강해서 업글이 별 의미가 없어요.
王非好信主
08/12/17 10:46
수정 아이콘
그리고 스플레시 데미지는 거리에 따라 75%, 50%, 25%가 들어가는데, 이경우에는 각 데미지에 해당하는 지역에 해당 공격력이 적용됩니다.

즉, 70공격력의 탱크가 방3업 저글링을 약간 빗맞쳐서 50%스플레시가 들어간다면, 스플레시로 저글링에게 35의 공격력이 적용되고, 여기에 방3업이 적용되어 데미지가 32가 된 후, 공격형태(소형에 대한 폭발형)에 따라 16데미지가 들어갑니다.

스플레시의 데미지 적용은 아주 예전에 밝혀졌고... 저도 2003년인가 2004년에 피지알에 적었던 것 같은데 많은 분들이 모르시는 것 같네요...
08/12/17 10:53
수정 아이콘
윗분 말씀대로라면 스플래시의 대한 방업 효용도 별로 쓸모가 없는듯 싶네요.
그레이티스트
08/12/17 10:54
수정 아이콘
뮤탈쓰리쿠션 데미지중 2방과 3방째도 미미하긴하지만 공업 영향을 받는건 처음 알았네요^^
StaR-SeeKeR
08/12/17 13:58
수정 아이콘
소규모 전투나 시즈모드된 탱크가 없거나 그런 경우가 없지 않으니 자원되면 하긴 해야죠.
08/12/17 15:16
수정 아이콘
메카닉 유닛의 엄청난 공격력을 생각했을 때 방업의 효율은 떨어지지만 자원이 엄청나게 많다면 눌러주는 게 좋을 거 같네요. 안하는 것 보단 시즈탱크의 스플래쉬 데미지나 마인 데미지 같은데서 조금은 득을 볼테니.
도달자
08/12/17 16:52
수정 아이콘
토스로 할때 방업누른것하고 안누른것하고 생존률이 다른것 같던데요. 체력이 적은 저그랑이랑은 다를까요?
08/12/17 17:49
수정 아이콘
토스의 경우는 방업이 시즈포격에 대한 데미지에 효용성이 있다기 보다는 벌쳐의 공격에 대해 질럿이 좀 더 버틴다고 할수 있겠습니다. 벌쳐가 노업시 질럿 기본 방1 감안해서 9방에 때려잡는데 반면 공 1업시에는 8방 공 3업시에는 160/25 = 7방이죠. 상대가 공 1업일때 같이 방1업 해주면 9방으로 한방 늘릴수 있고 공 3업일때 방 3업 해주면 8방으로 한방 더 버틸수 있습니다. 보통은 큰 차이가 아니라 생각하기 때문에 여유가 있지 않는 한은 안하지만요.
점쟁이
08/12/17 22:44
수정 아이콘
박대희님// 시즈 2방 맞은 빨간 럴커가 황급히 버로우 푸는 거 맨날 보면서
빗 맞은 건 줄로만 알았었는데;;
럴커가 중형인지는 오늘 처음 알았네요

3방으로 본문 수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점쟁이
08/12/17 22:51
수정 아이콘
위 표의 수치들은 모두
공격형태(폭발, 진동 타입)에 따른 보정을 거친 후 방업을 뺀 숫자로..
위에 王非好信主님께서 얘기해주신 계산(먼저 방업을 빼고 타입 보정)과는 다릅니다

보정 후 방업을 빼는 게 맞다고
작년엔가 pgr에서 누가 이거 실험해서 밝혔던 글 본 기억이 나는데;;
제가 잘못 기억하고 있는 건지도 모르겠네요

아무튼 두 계산 수치상에는 0~3 정도 차이가 발생했고
그래서 오늘 표 직접 돌려서 확인해봤는데
탱크는 표가 맞고
벌쳐, 골리앗은 표와는 중간에 1씩 모자라기도 하더군요

가령 노업 벌쳐가 노업 히드라를 치면
어느쪽 계산을 하던지 10이 달아야 정상인데 9가 답니다
이게, 10 달고 1 회복된게 아니라 그냥 9가 답니다;

뭔가 알 수 없는 요소가 계산에 분명히 존재하는 것 같네요

아무튼 깜짝 놀라서 위에 색깔 넣은 표도 엉망이지 싶어서
업글해가면서 몇방 죽나 직접 실험해봤는데
다행히도 몇방에 죽는가는 표 색깔 그대로였습니다.. (데미지는 조금씩 어긋났지만;;)

실험해보지 않고 글 올려서 죄송합니다(어제 너무 졸려서 그만;)
08/12/18 01:32
수정 아이콘
업그레이드 계산후 유닛형태 계산이 맞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7541 비수더블넥의 진화형이란? [15] 프로테우스5604 09/04/12 5604 0
37404 [지극히 주관적인] 마재윤 vs 김택용 승부의 분수령 [11] 블레이드7434 09/03/24 7434 0
37382 로스트 사가 MSL 결승전을 본 후 [28] Outlawz9741 09/03/21 9741 1
37360 바투 스타리그 4강 김택용vs정명훈 (2) [270] 녹색양말5964 09/03/20 5964 1
37336 KTF와 SKT T1, 그리고 테란이라는 키워드로 보는 영욕의 역사 [21] 거품7545 09/03/15 7545 12
37320 오늘의 위너스리그 준플레이오프 - SKT vs KTF (2) [445] 별비4645 09/03/15 4645 0
37255 과거에 있었던 본좌론에 일면과 지금 [58] kien7546 09/03/09 7546 0
37071 지금은 폭풍이 잠들고 해가 빛날때 [15] Hellruin4542 09/02/21 4542 1
37039 여러분 지금 가만히 계실겁니까?(위너스리그 5주차 엔트리) [92] 회전목마9303 09/02/19 9303 2
36928 그들은 얼마나 기억될까? [16] 오만과나태4982 09/02/11 4982 0
36761 주훈 해설에 대하여.. [57] TaCuro8667 09/01/21 8667 1
36608 좋아하지 않아도 미워하진 말자.. [7] TaCuro4003 09/01/12 4003 0
36498 메카닉 vs 저그 유닛간 밸런스 & 메카닉에 대항할 저그유닛 [스크롤주의] [82] ElleNoeR7160 09/01/02 7160 1
36461 [설탕의 다른듯 닮은] 이제동과 김광현 [13] 설탕가루인형4852 08/12/30 4852 5
36342 테란, 메카닉의 정석화 [16] 설탕가루인형5776 08/12/17 5776 0
36328 저그의 대 메카닉전 방업에 대해서 [18] 점쟁이6080 08/12/17 6080 2
36303 저그들.. 제발.. <방어>라는 개념을 좀 장착하자. [45] 피터피터6741 08/12/16 6741 5
36233 마이스타 카페를 돌아다니다가 한 글을 보고[그저 뜬금없는KTF응원글] [15] HaSSaD4239 08/12/08 4239 0
35912 약점이 가장 많아져 버린 종족 저그 해법은? [33] 침묵의들개5448 08/10/29 5448 0
35806 감독의 결단 [31] 말라뮤트5811 08/10/16 5811 0
35797 블리즈컨 2일차 [5] 항즐이5073 08/10/10 5073 0
35746 [의견수렴] 스타2 저그크립에 대한 피지알 유저들의 의견. [52] 메딕아빠8759 08/10/02 8759 0
35639 최연성과 이윤열, 마재윤과 이제동 [29] luminary9359 08/09/20 9359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