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7/01 17:45:17
Name 장경진
Subject '몽상가의 꿈'과 '비수 같은 현실'
프로토스도 저그를 '잘 잡을 수 있다'는 꿈을 심어준 프로게이머는 단연코 강민이다.
강민은 뛰어난 피지컬을 가진 선수는 아니지만
그의 주변사람과 팬들이 종종 이야기하듯 빌드를 개발하고 연구하는 능력만큼은 발군인 게이머였다.
커세어다크와 커세어리버를 누가 먼저 만들었고 실전에서 사용했는지 의견은 분분할지 몰라도
그런 빌드를 실전에 사용해 저그를 가장 화려하게 무너뜨렸던 선수가 강민인 것만큼은 분명하다.


강민이 최절정의 포스를 뿜었던 것은 스타우트-마이큐브배 시절로
스타우트 때는 주로 테란전에서 두각을 나타냈고
마이큐브 때는 무려 조용호-홍진호 조합을 물리친 적도 있었지만
박정석-박용욱으로 이어지는 부산콤비와의 플플전 다전제 명경기 덕분에 그의 저그전은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다.
강민이 보여준 화려한 저그전의 본격적인 시작은 변은종과의 한게임배 4강이라고 할 수 있다.
자원만 먹을 수 있으면 웹-캐리어의 화려한 향연이 가능하다는 것도,
중원을 가르며 내려오는 닥템떼에 속절없이 썰리던 울트라를 보여준 것도 강민이었다.


이 때부터의 강민은 전성기보다는 다소 포스가 떨어졌을지 몰라도
저그전을 새롭게 마스터하면서 팀리그와 프로리그에서 새로운 중흥기를 맞았다.
물론 저그전 스페셜리스트 단계에 이르기까지 땡히드라에 맥없이 털리고 아리조나 XX관광을 맛보는 수모도 겪었지만
더블넥과 수비형 프로토스로 요약되는 그의 저그전은 무력한 패배에 굴하지 않고 끊임없이 발전해나갔다.


그 정점에, SKY2005 1Round SKT vs KTF 5경기 박태민과의 Forte 경기가 있었다.
한쪽은 디파일러-울트라-디바우러, 다른 쪽은 커세어-리버-캐리어의 럭셔리 조합에
마법이 난무하고 서로의 멀티를 빼앗고 또 재건하며 온 자원을 다파먹은 1시간짜리 대혈전이었다.
지금이야 마법전이 일상화되었고 다크스웜 잘못 뿌리면 까이는 지경에 이르렀지만
당시엔 PGR에 올라온 찬사의 글에 중계글도 아니건만 댓글이 400여개가 달릴 정도로 극찬을 받았던 경기다.
물론 그 댓글 중에는 이렇게 해야만 프로토스가 박태민을, 저그를 이길 수 있는 거냐는 자조어린 평가도 많았다.






프로토스가 저그를 '때려잡을 수 있다'는 꿈을 현실로 만든 프로게이머는 단연코 김택용이다.
마재윤이 3해처리로 공방저그들에게 테란을 잡아잡수는 비법을 알려줬다면
김택용은 비수더블넥으로 공방플토들에게 저그를 씹어먹을 수 있는 비책을 주었다.


김택용 등장 직전까지만 해도 대부분의 프로토스들은
저그가 1년에 플토에게 두 번 지고 대플토전 승률이 90%에 육박할 동안 뾰족한 해법을 강구하지 못했다.
강민식 패러다임으로 강민과 극소수의 플토가 근근이 저그전에 승수를 쌓았지만
기본적으로 플토유저와 플토로 데뷔하려는 게이머들에게 저그전은 여전히 큰 장벽이었다.


반대로 말하면 2006년까지의 저그들은
장님플토의 처량한 신세를 알았고, 느려터진 회전력을 알았고, 가스가 없으면 말라죽는 사치스러움을 잘 알았다.
이는 조용호와 양박을 거쳐 마재윤에 이르러선 급기야 '프로토스의 대재앙'으로 표현될 정도였다.
임요환-이윤열의 혹독한 시대를 버텨왔지만 끝내 최연성식 패러다임에 무릎을 꿇을 수밖에 없었던 홍진호처럼
양박시대를 홀로 힘겹게 이겨왔던 강민도 마재윤의 뭐든 맞춰가는 운영 앞에서는 번번이 고배를 마실 수밖에 없었다.
강민식 수비형 프로토스의 패러다임을 넘어서는 새로운 혁명이 필요했던 것이다.


김택용은 강민과 같이 끈기 있는 연구자 타입은 아니다.
3.3혁명을 일으킨 눈부신 패러다임 하나만으로도 김택용의 존재는 가치가 있지만
더블넥 이후의 전개는 선배들이 쌓아온 프로토스의 유산에 여전히 기인하고 있다.
다만 그 유산을 자신의 비수더블넥과 교묘히 조합해 누구보다도 잘 운용할 수 있는 프로토스가 바로 김택용인 것이다.


프로리그 SKTvs르까프 vs이제동 in 안드로메다에서 김택용이 들고나온 빌드는 바로 강민의 커세어리버 견제 후 캐리어였다.
견제가 맥없이 - 라기엔 드론 두부대와 맞바꿔도 시원찮을 리버셔틀 두 대였지만 - 막힌 뒤 김택용은
이제동의 버로우 히드라가 그랬듯 12시로 올 견제가 당연하다는 듯이 이동해 드랍병력을 막는데 성공한다.
하지만 저그의 해처리는 이미 무지막지하게 늘어난 상태.
이제동은 세 개의 라바에서 동시에 뛰쳐나오는 저그의 회전력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는 저그이고
바로 그 회전력과 멀티태스킹의 조합으로 울트라 없이 블루스톰에서 김택용을 패배시킨 적도 있었다.
이 때, 김택용의 반박자 빠른 캐리어 전환이 안드로메다로 직행할 뻔한 상황을 반전시켜버렸다.


지난 날을 돌이켜보면, 김택용은 저그와 처절한 싸움을 한 적이 거의 없다.
Forte 혈전이 그랬듯 맵상의 자원을 다 파먹으면서까지 저그의 끊임없는 해처리를 깨가며 쟁취해낸 승리의 공식을
김택용은 멀티태스킹을 바탕으로 아귀가 딱딱 들어맞는 체제전환 및 조합을 구성해 깔끔한 답안으로 마무리짓는다.
저그와 맞확장전을 펼치면 옛날토스를 시전해도 이길 수 있는 것이 김택용의 저그전이다.
무한확장과 소떼, 미친 저글링과 다크스웜 위주로 풀어가는 조용호, 김준영식 저그보다
경기 내내 플토의 약한 곳을 언제든 찌를 준비가 되어 있는 박성준, 이제동식 저그가 전적에서 1경기라도 앞서 있는 게 그 증거겠다.


커세어-리버-캐리어라는 오래 된 빌드를 사용해도 그것이 김택용이 만들어 낸 또 하나의 화려한 저그전이 되는 것은
하템과 더불어 컨트롤하기 가장 까다로운 세 유닛을 동시에 컨트롤해내며
강민의 처절한 수비를 완벽한 수비로 탈바꿈시킨 신기의 피지컬에 있는 것이다.






몽상가의 꿈은 그렇게 비수 같은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라파엘
08/07/01 19:19
수정 아이콘
김택용 다시금 플토 역사상 최고의 저그전 스페셜리스트로 돌아오기 바랍니다.
스테비아
08/07/01 19:42
수정 아이콘
좋은 글인데 경기와 겹쳐서 많이 안 읽으셨나 보네요;;
[LAL]Kaidou1412
08/07/01 19:48
수정 아이콘
멋진 글입니다.
08/07/01 20:07
수정 아이콘
잘나가다 프징징이라는 글이 좀 맘에 걸리네요.
장경진
08/07/01 20:35
수정 아이콘
nexist님// 수정하였습니다. 기분 상하게 해드렸다면 죄송합니다.
08/07/01 21:04
수정 아이콘
좋은 글입니다. 닉넴은 민망하지만.....쩝
08/07/01 21:33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 봤습니다.
08/07/01 21:51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읽었습니다..
08/07/01 22:03
수정 아이콘
" 그 유산을 자신의 비수더블넥과 교묘히 조합해 누구보다도 잘 운용할 수 있는 프로토스가 바로 김택용인 것이다. "
동감합니다.
08/07/01 22:54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강민선수가 짜릿한 승리를 거두었다면 김택용선수는 압살하는 듯한 느낌이 강해요~
지니-_-V
08/07/01 23:52
수정 아이콘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토요일에 김택용선수가 이제동선수를 이기는거보고 정말 김택용선수의 저그전은 어쩔수없는 최강이구나 이런생각이 절로 들더군요...
셔틀리버가 몇마리나 터졌는데.. 그걸 스무스하게 이겨내는 능력이란....
DodOvtLhs
08/07/02 00:33
수정 아이콘
강민... 생각해보면 정말 강했었다는 생각이 드네요... 06 프링글스때도 4강, 결승까지도 올랐으니까요...
본좌소리는 못들었지만, 꽤나 꾸준했다는 생각이...
08/07/02 03:13
수정 아이콘
손목만 안아프다면 아직도 우승할수 있을거같은데..안타깝다고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7039 여러분 지금 가만히 계실겁니까?(위너스리그 5주차 엔트리) [92] 회전목마9339 09/02/19 9339 2
36928 그들은 얼마나 기억될까? [16] 오만과나태5044 09/02/11 5044 0
36761 주훈 해설에 대하여.. [57] TaCuro8730 09/01/21 8730 1
36608 좋아하지 않아도 미워하진 말자.. [7] TaCuro4065 09/01/12 4065 0
36498 메카닉 vs 저그 유닛간 밸런스 & 메카닉에 대항할 저그유닛 [스크롤주의] [82] ElleNoeR7231 09/01/02 7231 1
36461 [설탕의 다른듯 닮은] 이제동과 김광현 [13] 설탕가루인형4906 08/12/30 4906 5
36342 테란, 메카닉의 정석화 [16] 설탕가루인형5841 08/12/17 5841 0
36328 저그의 대 메카닉전 방업에 대해서 [18] 점쟁이6131 08/12/17 6131 2
36303 저그들.. 제발.. <방어>라는 개념을 좀 장착하자. [45] 피터피터6808 08/12/16 6808 5
36233 마이스타 카페를 돌아다니다가 한 글을 보고[그저 뜬금없는KTF응원글] [15] HaSSaD4322 08/12/08 4322 0
35912 약점이 가장 많아져 버린 종족 저그 해법은? [33] 침묵의들개5496 08/10/29 5496 0
35806 감독의 결단 [31] 말라뮤트5876 08/10/16 5876 0
35797 블리즈컨 2일차 [5] 항즐이5131 08/10/10 5131 0
35746 [의견수렴] 스타2 저그크립에 대한 피지알 유저들의 의견. [52] 메딕아빠8821 08/10/02 8821 0
35639 최연성과 이윤열, 마재윤과 이제동 [29] luminary9445 08/09/20 9445 3
35633 손 느린 마에스트로의 눈물 [23] 라울리스타7872 08/09/20 7872 1
35607 하이라이트로 보는 박성준 이야기와 온겜 근성 [43] Judas Pain13732 08/09/16 13732 15
35600 어린 나로서 강민에게 보내는 마지막 글 [3] 질럿은깡패다3973 08/09/13 3973 0
35143 저그계의 마지막 스타일리스트였던 Gambler 심소명. [23] NO.77696 08/07/11 7696 0
35066 '몽상가의 꿈'과 '비수 같은 현실' [13] 장경진5470 08/07/01 5470 5
35041 도재욱 vs 박찬수 5경기 화랑도 - 예측된 움직임은 상성이고 뭐고 다 무시한다 [12] 휀 라디엔트6626 08/06/28 6626 0
34845 종족밸런스를 맞추자. [35] 信主NISSI4787 08/05/31 4787 1
34677 Zergology 9. 투신 박성준. [19] 펠쨩~(염통)6476 08/05/08 6476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