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6/03 14:03:14
Name 펠쨩~(염통)
Subject Zergology 12-1. - 레어 마스터와 하이브 마스터.
포모스 '꾸에에'님의 글입니다.
http://sininus.egloos.com/4399143
=====================================================================
12.0.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이 없으나 새롭지 않은 어떤 것도 없다. 하이브는 아주 오래 전부터 실험이 이루어진 체제였다. 그러나 피를 말릴 정도로 아슬아슬한 외줄타기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 퀸즈네스트를 짓고 하이브로 가는 것은 스스로 헛점을 만드는 것이었으며 그래서 저그 대부분은 레어단계에서 머무르며 승부를 결정지으려 했다. 하이브는 위험하다. 레어단계에서 테란을 진압하지 못하면 처절한 응징을 당할 일만 남는다는 것을 저그는 본능적으로 알고 있었고 그래서 하이브는 어디까지나 끝내기를 위한 체제였다. 결국 레어에서 승부를 결정지을 수 있는 능력은 당대최강의 저그에게 반드시 요구되는 것이었으며 치열한 교전을 거듭하며 승부의 추를 조금씩 기울여가는 과정이야말로 저그가 거쳐야할 수행이자 의례였다. 바로 레어마스터, 그것이 틀리지 않다는 것은 홍진호를 통해 여실하게 드러났다. 말하자면 최연성 등장 이전까지 저그압살맵 속에서도 끊임없이 당대최강의 테란들과 물고물리는 격전을 펼쳤던 한 명의 저그에 의해 저그의 끝은 레어를 지배할 수 있는가 없는가로 판명난다는 것이 실증된 것이다.

물론 홍진호와 그의 의지를 이은 레어마스터들은 필요한 상황에서는 하이브로 가는 모습을 자주 보여줬다. 그러나 그것이 레어의 끝은 하이브마스터를 향한 시작이라는 식으로 드러나지는 않았다. 어디까지나 레어마스터의 하이브는 이미 끝난 경기를 마무리짓기 위한 체제였다. 이미 중앙교전에서 박살나고 본진에 틀어박혀서도 패배를 인정하지 않는, 언덕 위 탱크화력에 기대 버티며 저그의 무모함을 바라는 테란을 끝내줄 수 있는 유닛이 가디언이었기에 굳이 하이브체제를 갖추었던 것이지, 실제 경기는 이미 레어단계에서 끝나있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하이브가 승리의 깃발을 올리는 의식으로 받아들여졌다는 의미이지, 결코 승리를 위해 감내해야 하는 무엇이 아니었다는 말이다.

그럼에도 어떤 저그들에게 하이브는 도피처였다. 레어단계에서 도저히 테란을 상대할 수 없음을 인정한 저그가 보는 마지막 희망이었다. 그러나 현실을 외면한 그들이 도착한 곳은 또다른 현실일뿐 결코 이상향이 아니었으니, 하이브로 도망간 저그는 결국 무너지고 말았다. 조용호의 목동체제가 그렇게 인상적이었던 것은 이 바닥을 뒤흔들었던 파괴력에 대비될 정도로 짧은 수명 때문이었다.


12.1.

하이브는 끝내기를 위한 체제, 이것을 가장 극적으로 보여준 저그는 역시 박경락이었다. 그는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3해처리를 자신의 경기 안에 녹여낸 저그였는데, 안타깝게도 2배럭아카데미에 대응하는 3해처리의 특성상 중앙교전에서 승리를 자신할 수 있을 정도의 병력을 확보하는 데까지는 도달하지 못했다. 안타깝게도 중앙교전에서 이길 수 있는 타이밍이 나오지 않는다. 그렇다면 중앙교전을 피하면 된다. 그럼에도 여전히 테란에게는 피해를 안겨야만 한다. 중앙교전의 타이밍을 영으로 수축시켜 버리는 기술이 필요하다는 말인데, 박경락에게 이것은 드랍으로 드러났다. 보통 경락마사지 또는 삼지안 드랍이라 부르는 3방향 갈래 드랍이 3해처리를 완성시키는 마지막 한 점이 되었다. 엠비씨게임의 맵에서는 홍진호도 자신있게 보여줬던 중앙교전 회피체제는 압박을 위해 진출한 테란의 벙력을 순식간에 우왕좌왕하게 만들며 그 효용이 증명되었다. 그리고 이어지는 추가멀티와 하이브, 박경락은 이 승리공식을 통해 스타리그 연속 4강이라는 위업을 달성하며 많은 이들에게 강한 임팩트를 남겼다.

많은 이들이 하이브에 대해 이야기할 때 조용호를 먼저 말하고 이어서 박경락을 꺼낸다. 그러나 조용호의 하이브와 박경락의 그것은 전혀 다른 것이었다. 어떻게든 하이브까지 가야만 교전을 개시할 수 있는 조용호와 하이브를 가기도 전에 이미 테란을 반파한 박경락이 같을 수는 없다. 박경락은 하이브는 레어마스터의 그것이었다는 뜻이다. 그럼에도 박경락이 하이브를 애용했던 것은 교전이 갖는 불확실성의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함이었으며 이것은 바로 목동체제에 필적하는 파괴력을 선보이며 많은 이들을 매료시켰다. 드랍이 두려운 테란은 나오지 않는다. 그렇다면 저그는 여유있게 추가멀티를 가져가며 러커진출을 통해 먼저 압박한다. 본진방어에 신경쓰다 앞마당 커맨드센터의 방어병력이 줄어드는 순간에는 돌파까지 노려볼 수 있다. 결국 진출을 위한 한방병력이 완성된 테란이 상대하는 것은 가디언의 지원사격을 받는 다수 저글링과 러커나 때로는 다시 등장한 목동체제의 병력이었다. 어디까지나 레어단계에서의 우위를 통해 하이브병력을 운영한다는 점에서 박경락은 레어마스터의 자리에 있었다는 것이 글쓴이의 의견이다.


12.2.

박경락의 영향이 있었는지 알 수 없으나, 이 하이브의 파괴력은 분명히 한빛의 저그들을 매료시켰고 조형근과 김준영이라는 두 저그는 조용호 이후 다시 한 번 레어를 건너뛴 하이브로의 돌입을 위한 실험을 시작했다. 하이브로 빨리 가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레어단계의 유닛인 러커나 무탈리스크의 양 자체가 줄어들 수밖에 없으며 상대적으로 저글링의 비율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중앙교전의 축인 레어유닛의 축소를 통해서까지 하이브로 안전하게 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질문에 대한 답은 두 가지로 나왔는데 첫번째는 하이브체제가 완성되기 이전까지 최대한의 중앙교전 회피였으며, 두번째는 어쩔 수 없이 늘어난 저글링의 활용 극대화였다. 첫번째는 끊임없이 빈집털이를 노리는 술래잡기 모양의 병력운용으로 제어할 수 있으나 두번째가 문제였다. 박성준 정도의 컨트롤을 할 수 없는 저그가 병력운용을 통해 저글링을 활용하는 데는 확실히 한계가 있다. 그러나 술래잡기를 통해 버는 시간은 하이브는 물론 다른 것을 위한 여지가 될 수도 있음을 두 저그는 곧 깨달았는데 바로 갑피라고 부르는 방어력업그레이드 완료까지의 시간이었다. 극단적으로 두 개의 에볼루션 챔버로 드러나는 빠른 업그레이드는 저글링의 질 자체를 바꿔버렸으며 하이브 이후 아드레날글렌즈까지 완료되는 순간 저글링은 가장 무서운 유닛으로 탈바꿈했다. 이후에는 미친저그라는 이름으로 등장한 빠른 하이브와 방어력업그레이드의 기원은 여기서 찾을 수 있다.

저그의 전성기는 수많은 기둥들이 떠받치고 있었는데 이 기둥들 하나가 당시에 루나를 필두로 등장한 수많은 밸런스맵이었다.그런데 이 맵들 중에서 특히 걸작이라는 평가를 받은 러시아워 시리즈에서 김준영은 유독 고전했는데 당시의 경기를 살펴보면 그는 끊임없이 자신의 실험을 진행하고 있었음을 목격할 수 있다. 다른 저그들에 비하면 초라하기까지 한 러시아워2에서의 성적, 그것과 도저히 아귀가 맞지 않는 러시아워3에서의 전승은 이 실험의 궤적이라고 비유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서경종에 의해 무탈리스크 뭉치기가 발견된 이후에는 무탈리스크 게릴라를 통해 더욱 안정적으로 시간을 벌 수 있었으며 이때에 와서 저그가 테란 상대로 펼치는 경기의 틀 대부분이 완성되었다. 레어는 어디까지나 하이브를 위한 브릿지, 조용호가 제시한 이 테마가 드디어 레어마스터를 건너뛴 하이브마스터라는 새로운 키워드의 태동으로까지 발전한 것이다.

그러나 여기까지 읽은 이들 중 대다수는 고개를 갸웃거릴 것인데, 그것은 지금에 와서 거의 정형화된 이 공식을 정립한 것은 마재윤이 아닌가 하는 의문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분명히 그는 리버스템플과 롱기누스에서 이윤열을 격파하고 자신의 가치를 극적으로 증명한 신한은행 스타리그 S3에서 누구보다 이 공식을 철저하게 이용한 저그였다. 그렇다면 극강의 컨트롤과 멀티태스킹을 자랑한 이제동은 차치하고서라도 하이브마스터의 원조격인 김준영조차도 무릎을 꿇었던 리버스템플과 롱기누스의 사악함을 극복한 근원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필연적으로 나올 수밖에 없는데, 그 답은 마재윤이라는 저그의 기초가 박태민이었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특정타이밍의 인구수와 자원량까지 고려하는 판짜기의 대가 박태민의 그림자는 마재윤에게까지 드리워져 있었던 것이다.
=====================================================================


1. 이번편은 레어와 하이브라는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사실 2008년 지금조차 대 테란전의 근본적인 힘은 레어에서 나옵니다.
그 가장 좋은 예가 바로 진영수 대 이제동의 타우크로스전과 최근의 폭풍의 언덕 경기라 생각합니다.
두 경기 모두 진영수의 한방병력은 결국 전멸하지만 승리한 선수는 달랐습니다.
타우크로스 경기에서는 진영수의 배럭은 5개 밖에 못돌아 갔지만 폭풍의 언덕에서는 8배럭이 돌아갔거든요.
그 차이는 바로 뮤타에게 얼마나 일꾼이 잡혔는가에서 난 것이구요.
지금 이제동 선수의 하이브 전투력은 저그중에서 최강이고 전성기보다도 강하다는 평입니다.
그럼에도 집니다. 이제동의 힘은 레어 단계에서의 뮤컨에 있었는데 이게 봉쇄당했기 때문입니다.


2. 2006년을 진동시켰던 디파일러를 무력화 시킨것은 결국 염보성식 투엔베였습니다.
기교로서는 감당할 수 없는 힘의 우위로 공간을 지배한 것이죠. 그리고 그 근간에는
바로 뮤타 견제를 차단하는 빠른 멀티 전략이 있습니다.


3. 한때 유행이었던 미친저그의 근간이 조용호선수에게 있다는 것은 정확한 지적이라 생각됩니다.
사실 2쳄버를 제외한 나머지 요소들은 조용호 선수의 전성기 리버 오브 플레임의 그것과 거의 흡사합니다.


4. 마재윤에게 드리워진 박태민의 그림자라는 의견에는 찬성하지 않습니다.
당시 마재윤은 이미 그 골격이 완성된 상태였고 실재로 박태민 선수는 인터뷰에서 자신의 테란전은
마재윤 선수에게 배운것이라는 이야기를 한 적이 있습니다. 마재윤 선수는 대신 저그전과 토스전을
박태민 선수에게 배웠다는 취지의 이야기를 했었구요. 상호간에 장기인 종족전의 기술을 주고받은게
아닌가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김연우
08/06/03 14:33
수정 아이콘
조용호 선수의 파나소닉배 서지훈 선수와의 경기가 떠오르네요.

미친 저그를, 마치 그때처러 섬멀티 먹는 운영으로 하면 어떨까 합니다.
파이썬의 경우, 레어 후 바로 수송업 눌러주면서 3cm으로 먹는 것이죠. 그러면 3가스를 정말 안정적으로 가져갈 수 있을텐데.
진리탐구자
08/06/03 14:40
수정 아이콘
일반화 가능성을 염두에 두지 않는다면, 가장 멋진 디파일러 운용은 서지훈 vs 조형근 in 머큐리에서 나왔다고 생각합니다.

원가스 16미네랄로 디파 + 저글링 + 러커 띄워서 같은 자원 먹은 테란을 밀어버렸죠. -_-;; 서지훈 선수의 대처가 좋지 않은 점도 작용하긴 했습니다만 시대가 시대다보니...
DarkSide
08/06/03 15:45
수정 아이콘
레어 단계와 하이브 단계라.

흠.

결국 롱기-리템 콤보가

3해처리 레어 단계에서 끝내고 하이브로 마무리하는 레어 마스터의 마재윤을

어떻게든 하이브(디파일러) 테크로 최단시간 내로 끌고가서 장판파로
탄압을 극복해내는 하이브 마스터의 마재윤으로 변화시킨 것인가요.

다음 편도 기대합니다.
도라지
08/06/03 23:19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에는 1번에서 말씀하신 저그의 근본적인 힘이 레어라는것은 동의하기가 힘드네요.
현재에는 하이브 단계에서 얼마나 많은 가스를 먹느냐와 얼마나 많은 해처리를 가지고 있느냐이죠. (물론 중앙을 장악당해서 파괴당할 위기에 처한 멀티는 제외하구요.)
레어단계는 하이브단계까지 얼마나 자신의 생각대로 판을 짜느냐가 중요합니다.
이제동 선수처럼 공격적이어도 되지만 공간과 자원만 확보할 수 있다면 굳이 싸울 필요는 없죠.
위와같은 이유로 레어단계를 과감히 생략하고 빠른 업그레이드와 함께 가스를 많이 축척하는 3번의 미친저그가 예상외의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3해처리를 쓰는 왠만한 저그들은 박태민 선수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뮤탈 타이밍에 먹는 빠른 가스멀티와 그것을 지키는 소수러커는 바로 박태민 선수의 작품이죠.
거기에다 박태민 선수의 경기를 찾아보시면 아시겠지만 상대로 하여금 자신의 체제를 확신하지 못하게 만드는 건물배치가 일품입니다.
엉뚱한 곳에서 레어를 올려 상대로 하여금 '난 올인할거야' 라고 보여주며 긴장하게 만드는 플레이나 드론이 적은데도 그 드론들의 대부분을 앞마당에 붙여서 '난 부자다' 라는 뉘앙스를 풍기는 등의 저그이면서도 저그답지 않은 전략과 눈속임으로 인한 상대의 타이밍 빼앗기에 능한 선수였죠.
마재윤 선수가 롱기, 리템 콤보에서 보여준 다양한 모습은 박태민 선수의 영향을 알게 모르게 받아왔다는 것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태민 선수가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 것은 그가 뮤탈이라는 유닛을 선호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정확히는 뮤탈컨트롤이 약간은 다른 선수들해 비해 좋지 못했죠.
체제 하나를 거의 포기하다시피 했었기에 마재윤 선수가 보여준 다양한 공격루트를 보여주기 힘들었고 그로인한 대가는 참혹했습니다.
지상병력으로 테란의 한방병력과 아슬아슬한 싸움을 하다가 맵의 영향으로 인한 압도적인 힘을 이기지 못하고 한순간 밀려버리는 경기양상을 수도없이 보여주었죠.
Sunday진보라
08/06/03 23:52
수정 아이콘
아.. 조용호 선수의 그 리버 오브 플레임에서의 노러커 운영 생각나네요
뮤탈, 3cm 드랍으로 동시 2섬멀티 이후 온니 울트라 체제...
이윤열 선수와의 결승에서 온니울트라로 쓸어버리던 기억이 나네요..
이윤열 선수의 그 자존심이 짓밟힌듯 상기되있던 표정...;; 바로 되갚아주긴 하지만...

조용호 선수도 지금보면 진짜 천재스러운 생각이...
온겜에선 엄재경 해설위원이 인내의 저그, 물량의 저그로 많이 밀었지만
모든 경기운영을 다 섬렵했던 선수인듯.. 미친저그, 폭탄드랍류, 히드라럴커, 퀸에 활용,
가난한 폭풍스타일, 부자스러운 후반운영 힘과 테크닉에 조화로 정말 다양한 경기운영을 보여준듯
08/06/04 00:45
수정 아이콘
제가 좋아하는 박경락선수에 대해서 저와 비슷한 견해를 가지고 계시네요.

동시대에 활약했던 조용호선수와는 또다른 스타일로 빠른테크 저그를 구사하며 테란을 압살하던게 박경락선수였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0045 2010년 1월 23일, 아프다. [9] Gallimard4190 10/01/24 4190 6
38861 So1 <4> [23] 한니발8784 09/09/07 8784 22
38121 테테전의 거장 서지훈 (1)Before Xellos [17] fd테란7054 09/07/06 7054 10
37963 폭풍 속의 알바트로스 [27] 9251 09/06/20 9251 22
36359 So1 <2> [23] 한니발8507 08/12/18 8507 20
35558 삼황 오제 사천왕 -第二十章- [4] 설탕가루인형3615 08/09/03 3615 0
35215 삼황 오제 사천왕 -第十五章- [14] 설탕가루인형4183 08/07/16 4183 0
34978 Zergology 12-2. - 한순간이라고 해도 우리는 마에스트로의 기적을 목격했습니다. [26] 펠쨩~(염통)6630 08/06/20 6630 11
34863 Zergology 12-1. - 레어 마스터와 하이브 마스터. [6] 펠쨩~(염통)5162 08/06/03 5162 0
34738 쿼 바디스 (Qvo Vadis) 1 [20] 폭풍검5590 08/05/15 5590 25
34619 『업적, 조용호』 [35] 펠쨩~(염통)9488 08/04/28 9488 44
34222 CJ 엔투스 장육선수 은퇴+이지훈선수 KTF수석코치로 돌아오다 [23] 보름달7783 08/03/06 7783 0
34007 붉은 혁명가. [12] 말다했죠~4426 08/02/17 4426 0
33842 옮긴 글) "조용호 대 마재윤 - tide was high" [32] Judas Pain9691 08/02/04 9691 45
24147 북한 미사일 발사... [98] loveJS5226 06/07/05 5226 0
23333 한니발을 붕괴시킨 방법, [41] 김사무엘4843 06/05/18 4843 0
21845 영웅전설 시리즈를 아시는지요 ^^ [32] 작살3498 06/03/18 3498 0
16691 IS..한빛..GO [41] paramita5108 05/09/21 5108 0
16080 스타크래프트소설 - '그들이 오다' 54화 DEICIDE4254 05/08/30 4254 0
13763 한화, 그리고 장종훈과 함께한 프로야구 [24] SEIJI5096 05/06/16 5096 0
11880 SCE를 Aux로!! [7] 총알이 모자라.3398 05/03/24 3398 0
8694 [추억의 인물] 역대 한국 최고의 특급투수 선동렬 그는 누구인가. [42] 치토스4389 04/11/01 4389 0
7282 현재 MLB에서 관심 가는 것 몇 가지 [22] 어딘데3270 04/08/31 327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