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5/31 11:43:58
Name berserk
Subject 공군 에이스의 해체는 너무나 당연한것입니다.
제목만 보시지 말고 글도 끝까지 읽어 주세요.
공군에이스는 해체의 이유가 너무나 간단하죠..
공군에이스에 들어간 군인들은 전부 전산특기병이고
전산특기병은 사실 게임을 하는것이 목적이 되는 군인이 아닙니다.
국방부에서 당연히 공군에게 다른일을 하는것에 대해서 주의를 주는것은 당연하죠.
냉정히 말하면 전산특기병인데 프로리그에 나가는것은 다른 군인들과의 형평성에도 어긋나는 면도 있죠.
아마도 국방부에서 공군에이스에 더이상 인가를 안내주는것이 저 위에 이유가 가장 크다고 생각됩니다.

공군에이스는 논리나 형평성으로 따지면 당연히 해체를 해야됩니다.
원래 부터 에이스라는 팀은 전산특기병이 아닌 게임병이 됐으면 말이 달라지지만요..
개인적으론 과거 에이스 창단이전 게임특기병 선발에 대해서 논란이 많았을 당시
홀로 찬성표를 던졌습니다.(주로 상무화 된다고 하던때)
사실 E스포츠는 스포츠가 아닙니다.
하지만 프로게이머는 군대에가면 은퇴라는 공식이 생겼고..
이부분은 분명 문제가 있는 부분이었습니다.
흔히들 다른 직업과의 형평성을 비교하시는데
만화가가 군대갔다오면 만화 못그립니까?
회사원이 군대갔다오면 회사를 못다닐까요?
만약 이런 직업이 있다면 그것이 어떠한 직업이든지 분명 어떠한 조치를 해야되는것이 옳다고 생각됩니다.
프로게이머에게 있어서 그 방법이 바로 상무이고(다른 방법을 제시해준다면 할말 없지만)
저는 이부분에서 상무를 찬성했습니다.

이후에 전산특기병으로 게이머를 뽑아서 공군에이스라는 팀이 탄생하더군요.
스타를 좋아하시는분들도 대부분 반대했었는데..
그런 의견들은 금새 잠잠해 지더군요..
어찌됐든 에이스가 탄생하고 나서 프로게이머들에게 군대걱정이 조금 줄었겠구나 라는 생각도 들었지만..
이런면에서 조금 아쉬운 면도 있었습니다.

사실 전산특기병의 임무를 맡으면서 프로리그에 나오라고 하는것은 좀 개인적으론 어이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모든 연습환경이 같을수는 없겠지만..
프로야구 선수보고 회사다니면서 야구하라고 하면 그게 이치상 맞는걸까요?
당연히 게임병이나 상무로써 공군에이스는 병을 선발해야 된다고 생각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음의손잡이
08/05/31 11:53
수정 아이콘
이런 문제에 대해서 미리 합의 및 사실관계를 알아야 할 몇 가지 사항이있습니다.

사실 E스포츠는 스포츠가 아닙니다.
군대에서 전산특기병은 어느선의 까지의 일을 맡나요?
프로선수에게 2년의 공백은 어느정도나 영향을 줄까요?

정도가 있네요.

그런데 현실은 답이 거의 나와있군요.
GhettoKid
08/05/31 11:53
수정 아이콘
'E스포츠는 스포츠가 아닙니다' -> 상당한 파장과 다량의 댓글을 불러오겠군요...
WhyYouKickMyDoG
08/05/31 11:54
수정 아이콘
GhettoKid님// 파장과 다량의 댓글을 선동하는것 처럼 보이네요. 굳이 전체 문맥중 한문장을 걸고 그런 말씀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위원장
08/05/31 11:59
수정 아이콘
사실 프로리그라고 해서 e-sports선수가 프로선수와 비교할 수 있나요? 아마선수들은 회사다니면서 운동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만... 굳이 다른 스포츠랑 비교해가며 따질 문제는 아닌 것 같습니다.
08/05/31 12:03
수정 아이콘
그저 떡밥 하나 던지고 싶으신건 아닌지요.
만화가가 군대갔다오면 만화 못그립니까?
회사원이 군대갔다오면 회사를 못다닐까요?
까지 읽고 그냥 내렸습니다.
08/05/31 12:09
수정 아이콘
제목에서 상당히 욱했습니다..;;;...각설하고요
제생각엔 병선발 방식을 바꿨으면 합니다,.,현재의 은퇴급?선수드로만 보충하는 것보다는 유명게임머+ 유망한 아마츄어게이머들을 선발하는게 오히려 전력강화에 유리하지않나 생각됩니다. 아마츄어 입장에선 게임단에 입단하는 것보다 출전기회도 더욱 많을것이에 나름 매력이 있을지도..
밀가리
08/05/31 12:11
수정 아이콘
글 주장은 전산특기병이 아닌 상무나 게임병으로 공군에이스를 선발하라 인데.

글 내용은 공군에이스 왜있나? 이거군요.
08/05/31 12:11
수정 아이콘
말이되는이야기같은데요. 단순한떡밥이아닌듯해요. 해체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유지될려고했으면 "상무"라는 방식으로 했어야한다는건데.
20080463
08/05/31 12:12
수정 아이콘
원래 목적이라면 프로리그 출전은 안됩니다.
블루스카이
08/05/31 12:14
수정 아이콘
애초에 공군에 입대할시 전산특기병으로 입대해놓고 프로리그,스타리그 등등 게임리그 다 나오고 원래 해야될 업무는 제치고 게임에 열중하는... 그게 맞는 일인지 모르겠네요...저는 공군에이스 해체 찬성하는 쪽이구요..
근데 공군에이스팀은 부대가 분리되어 있는건가요?공군에이스팀만 따로 부대가 있다면 모르겠는데 에이스팀 외 다른 여러 군인들과 같이 근무한다면..제가 그들의 고참이었다면 상대적 박탈감 장난아니게 느끼고 종일 갈궜을듯...;; 아무리 그들의 팬이라 하더라도.....
같은 입장으로 입대했는데 누구는 자신이 원하는 일을 하고 누구는 소위 x뱅이 까야되고...좀 아니죠..
08/05/31 12:19
수정 아이콘
그러나 프로게이머는 은퇴를 해야합니다.

그러므로 전 이 의견에 반대합니다.
08/05/31 12:21
수정 아이콘
원래는 공군에이스 해체를 반대하는 입장이었으나 얼마전 임요환 선수가 경기에서 지고 김환중 선수와 나누던 대화를 듣고나서는
해체쪽으로 지지하게 되더군요. 아무리 밖에서는 친한 친구고 동생이지만 평소에 서로 말을 놓는다는 건 군대의 최소한의 틀인 계급마저도 없다는 걸 의미하니까요. 말 그대로 공군에이스는 프로게이머들의 생명연장 수단일 뿐, 군대는 아닌 것처럼 보였습니다.
동료의 경기를 시청할 때 턱을 괴고 앉아있는 모습들도 종종 보이고(군인은 이러면 안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사소한 걸 가지고 태클을 거는 것처럼 보이겠네요..
08/05/31 12:22
수정 아이콘
글쓴이의 주장에도 일리가 있는 것 같은데요. 그리고 공군 에이스 업무 관련은 일과시간에는 업무를 보고 스타 연습은 일과 후에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08/05/31 12:25
수정 아이콘
군대 가는 모든 사람들이 자기 일 2년동안 못하는 패널티로 가는 거죠 과도한 팬사랑이 공군을 탄생시키긴 했지만 순리대로 되돌려 놓는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좀 비정상적인 군대입니다 차라리 프로게이머는 면제를 줘라는 식으로 유도하는게 낫지 이런 비정상적인 군대는 아니라고 봅니다
낭만토스
08/05/31 12:30
수정 아이콘
그러니깐 전산특기병으로의 공군에이스는 해체가 당연하고

상무 프로게임단으로의 공군에이스가 생겨야 한다는것 이겠죠.

에누리 있게 이해했으면 좋겠네요.
서성수
08/05/31 12:33
수정 아이콘
스타 연습을 일과 외 시간에 하는게 확실한가요?

전 하루종일 하는걸로 알았는데..

글구 상무팀도 군인아닌가요?
사고치면 감옥가는게 아니라..영창가고..

네이버 사전에 스포츠를 조회하면
"경쟁과 유희성을 가진 신체운동 경기의 총칭. "

이 스포츠가 위와 맞지 않는게 있나요?
경쟁은 당연한거고..
유희성...전 뜻을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신체운동 .. 비록 손가락만 움직이지만..
긴박감에 땀 범벅도 되고.. 분명히 신체운동이라고 생각됩니다.
08/05/31 12:35
수정 아이콘
사실 공군 홍보부를 만들고 그곳으로 편성하는 게 낫겠죠.
Lonelyjuni
08/05/31 13:12
수정 아이콘
저도 국군 홍보부로 편성시키고 연예 병사와 같은 업무를 지고 있는것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대외적인 공군에 대한 홍보와 공군 병사들의 사기증진면으로 본다면 연예병사와 다를게 없다고 생각하거든요.
08/05/31 13:14
수정 아이콘
전산 특기병에서 다른 특기병을 만들던가 홍보부로 만들면 되겠군요.

대충은 이해가 가지만은 만화가.회사원을 비유하는건 좀 아니다 싶습니다.

'사실 E스포츠는 스포츠가 아닙니다.' 라는 말은 좀 울컥하지만 밖에서 바라보는 시선이라고 생각하겠습니다.
08/05/31 13:22
수정 아이콘
애초에 금메달딴다고 군대빼줄때부터 나사는 잘못 끼워진 거였죠
戰國時代
08/05/31 13:32
수정 아이콘
MontesQ님// 일반병들도 아는 사람끼리는 말 놓고 지내는데요? 고참 있을때만 높이는 척 하지, 저도 군대에서 동생 친구가 고참이었는데 고참들 없으면 그냥 말 놨는데요? 다들 그러지 않나요?
수영리치+규남
08/05/31 13:33
수정 아이콘
동감이 가는군요.. 게임병이 아니므로 이상 팀의 해체는 당연한 것이죠..
스포츠가 아니라는 말도 수긍이 가고요.. 스포츠는 아니죠... 그러니 E 라는 수식어가 붙는 것이고요..

하지만, 뭔가 아깝지 않습니까?
원래부터 존재하지 않아야 하는 군인팀을 천신만고끝에 창립했는데.. 해체해야 한다는 것이
08/05/31 13:50
수정 아이콘
戰國時代 님// 제 글이 제 생각을 모두 설명하지 못했나보군요. 일반적인 군대에서 아는 사람끼리 계급상관없이 말 놓는 건 다른 고참들이 없는 특수한 경우에만 가능한 상황인데 공군에이스는 모두 다 밖에 있을 때부터 알던 사이고, 프로리그 기간동안 파견생활 하다보니 다른 일반병 고참의 눈치를 볼 일이 없고 따라서 서로 말 놓고 하는 현상이 일부 선수들에만 한정되는 것 같진 않아보인다는게 문제죠.
군대의 계급사회가 옳다 그르다가 아니라, 군대니까 최소한의 기본틀이 지켜지길 바라는 겁니다.
제 눈에 비친 현재 공군에이스는 군대라기보다는 공군체험캠프정도로 밖에 느껴지지 않으니까요..
박카스500
08/05/31 14:05
수정 아이콘
저 역시 전산병 보다는 상무형태로 변경-유지했으면 좋겠습니다..

'군복무 문제를 해결해 준다'는 개념으로 좀 우수한 선수들도 괜찮은 대우로 뽑아가구요-_-;;
귀얇기2mm
08/05/31 15:28
수정 아이콘
현 제도가 시대를 못따라잡는 여부를 떠나서 현 제도로 치면 분명 e스포츠는 “아직 정식으로 체육 종목 인가”를 받지 못했으니 스포츠가 아닙니다. 게다가 전산 특기병이라고는 해도 e스포츠 참여 업무가 전산 특기로 볼 수도 없지요.
.
e스포츠를 포함하여 아직 체육 종목 인가를 받지 못한 다른 종목도 인가를 받고, 전산 특기병 보다는 체육 특기병, 즉 상무로 지원이 가능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당신은저그왕
08/05/31 16:27
수정 아이콘
솔직히 임요환의 입대와 더불어 창단되었다는 점부터가 마음에 안 들고(굳이 시작을 불온하게 했다고 해서 비판을 가할 수 있다고 보진 않습니다), 임요환의 제대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이런 얘기가 흘러나온다는 것도 마음에 안 들고....
갈보리산위에
08/05/31 17:02
수정 아이콘
그렇네요. 글쓴이의 주장을 전산병이 아닌 상무팀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라면 좋은 의견이라 여겨집니다만
저는 잘 몰라서..
그냥 팬심으로는 상무팀이 빨리 생겨서 울 플겜머들 맘편하게 게임 보여 주면 좋겠다는 생각이 굴뚝 같습니다.
특히나 황진호님...
우연의음악
08/05/31 17:49
수정 아이콘
서성수님/ 경기 끝나고 훈련 있다면서 빨리 돌아갈 정도 입니다.
어느정도 편의를 봐줄런지는 잘 모르겠지만 일과며 훈련 꼬박꼬박하는 모양입니다.
Missing you..
08/05/31 18:36
수정 아이콘
다 떠나서 우리나라 군대 문제를 바꿔야 합니다..이건 심각한 문제입니다..
제발 군대 징병제 이거좀 어떻게 했으면 좋겠습니다..참고로 전 군대를
다녀왔습니다만...군대제도 이건 좀 아닌거 같아요...
08/05/31 20:10
수정 아이콘
공군은 전산특기병으로 뽑을 생각이면 프로게이머를 뽑더라도 2년간은 전산특기병으로 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형태의 공군 에이스는 임요환 선수 제대하면 홍보 목적까지 사라져 더 이상 존재할 수가 없는 구조입니다.
hysterical
08/06/01 01:55
수정 아이콘
창단자체가 무리인 팀이 바로 공군에이스 입니다.
프로게이머의 군복무 대체요? 왜 해줘야 하죠? 우리가 재미있으려고? 더 많은 프로게이머를 만들고 스타판이 커지기 위해? 그나마 상무팀이 활성화된 프로스프츠는 국내에 축구밖에 없습니다. 인기가 대단한 프로야구 조차도 군입대하면 리그에 나오지 못합니다.

형평성에도 맞지않고, 성적도 안나오고.
존재 그 자체로 의미가 상당한 팀이지만 역설적으로 존재 그 자체가 무의미한 팀이 공군 에이스가 아닌가 합니다.
08/06/01 09:31
수정 아이콘
여러가지 논리 필요없고 실상은 이겁니다.
임요환 입대 할때 즈음 정치적 압박이 있었습니다. 이스포츠에 관심있는 정치인들이 많죠. (젊은층들을 겨냥한)
공군 입장에서도 임요환 정도면 홍보 효과도 있을까 해서 받아들인것입니다.
그런데 이제 임요환이 제대할 쯤 되니 상황이 달라진겁니다. 투자 대비 홍보효과에 의문을 제기할 수밖에 없습니다.
결국은 시장 논리로 가면 해체로 갈 수 밖에 없습니다.
여튼 임요환 선수는 이스포츠 시장의 최대 수혜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08/06/01 10:30
수정 아이콘
공군 사람찾기를 통해 ACE팀 선수를 찾아보면 E-sport병 이라고 나옵니다
애시당초 E-sport특기병으로 지원할 수 있었고요.
08/06/02 09:45
수정 아이콘
글의 전체적인 논지에 공감하고 동의합니다.

다만..... 만화가 비유는 적절하지 않은 듯 합니다.... ;;
낭만곰됴이
08/06/02 09:46
수정 아이콘
MontesQ님// 상무도 군번으로 안합니다. 다 사회나이대로 형 동생 하면서 지냅니다. 일반 군인들은 사회에서 보던 사람을 그대로 보는 일이 드물지만 스포츠계는 사회에서 보던 사람 그대로 군대에서 보고 다시 나가서 그대로 만나기 때문에 그런 특수성이 있다고 인정해 주는 것을 어떨지요.
포셀라나
08/06/03 19:39
수정 아이콘
낭만곰됴이님// 그럼 상무도 잘못된 것이죠. 원칙적으로 저들은 군인입니다. 공군게임단이든, 상무든 간에요. 대체복무가 아니라 그냥 군인입니다.

전쟁나서 총들고 뛰어나가면서도 형, 동생 그럴겁니까? 저긴 군대 아니고, 저들은 군인 아닙니까?

그리고 상무에 관한 에피소드 저도 있습니다. 제가 아는 사람이 훈련소에서 축구선수 박성배선수를 만났는데, 훈련소 기수에서 자신이 위였는데, 우연히 만난 박성배선수가 초면에 말을 깠다고 합니다. 군댄데, 선임인데.. 모르는사람인데.. 자기보다 어리니까 그냥 말을 깠다네요. 그걸로 박성배선수는 훈련소전체에 무개념이라는 소문이 확 퍼졌다는....
헤르젠
08/06/04 21:22
수정 아이콘
군인이 군인다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각자 맡은 보직과 임무를 성실히 수행함으로써 국가의 부름을 따르는건데

게임은 좀 아니라고 생각되네요 저도 해체 찬성에 한표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011 이지호 이스트로 감독님이 떠나신답니다 [40] 주먹이뜨거워7315 08/06/24 7315 0
34926 임요환의 업적.. 개인적인 생각 [18] sadsadf5538 08/06/13 5538 0
34846 공군 에이스의 해체는 너무나 당연한것입니다. [37] berserk7714 08/05/31 7714 1
34768 한빛의 간략한 10년史 [6] Tech855284 08/05/20 5284 0
34723 [L.O.T.의 쉬어가기] 공군 프로게임팀 '공군ACE'의 해체를 반대합니다. [13] Love.of.Tears.5429 08/05/14 5429 0
34461 [펌] 암울한 언데드에 내린 한줄기 빛, 박승현2 by 캘로그 [14] 김연우8059 08/04/01 8059 3
34453 스타크래프트 2007시즌 정리 - 중반기 [5] kama6041 08/03/31 6041 1
34125 이운재 코치 도진광 선수 영입 [21] 스파키즈(__)5855 08/02/26 5855 0
34038 그 날이 오면 [9] Ace of Base4000 08/02/19 4000 3
33997 최강이라는 이름의 꽃을 손에 쥔 오즈 [8] Akira4139 08/02/16 4139 1
33936 변화인가, 몰락인가. [32] 방랑폐인6795 08/02/12 6795 1
33930 악마토스 박용욱 은퇴 [53] J9658 08/02/12 9658 0
33919 [프로리그의 발자취] (4) - SKY 프로리그 2004 2R [13] 彌親男4153 08/02/11 4153 1
33906 김택용, SKT T1으로 이적하다? [32] ls8036 08/02/10 8036 1
33895 [프로리그의 발자취] (3) - SKY 프로리그 2004 1R [17] 彌親男4647 08/02/10 4647 2
33797 르까프 오즈팀의 2007시즌 후기리그 우승을 축하드립니다. [11] 4thrace4762 08/01/29 4762 0
33782 주훈 감독님이 온게임넷 해설로 활동하신다 합니다. [27] 死神9190 08/01/28 9190 0
33776 믿음. 그 소중한 마음이 만들어낸 결과 [24] Akira4401 08/01/28 4401 6
33762 후기리그 결승전 개인전 전격 분석. [8] 택용스칸5198 08/01/27 5198 0
33758 창단이후 2번째 결승전진출. CJ VS 르까프 이야기. [4] Leeka4270 08/01/27 4270 0
33695 SK의 경영의욕이 내리막인것은 아닐런지요 [55] 논두렁질럿6993 08/01/23 6993 2
33689 SKT T1 코칭 스태프 전원이 경질되네요 [91] Polaris_NEO10091 08/01/23 10091 0
33643 승리의 CJ로 함께 달려요~ [24] jgooon3990 08/01/19 399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