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10/23 17:08:45
Name newromancer
Subject 스타 2관련) 동영상의 재검토로부터 알 수 있는 유닛정보들 모음.
스타 2 관련하여 제가 나름대로 알아본 정보들에 대한 글들을 모아서 하나의 글로 재편집했습니다.
개발중이므로 큰 의미는 없지만 재미삼아 읽어보세요~

1. 배틀크루저 공격력은 1회당 64데미지

간단히 이야기해서, 9월중 개발전인 버전을 기준으로 배틀크루저 공격력은 8*8=64입니다.
결론을 뒷받침하는 증거들 :

======================================================

- 이번 캐리어 소개 동영상(이라고 읽고 배틀크루저 위력시범이라고 읽는다)에서, 배틀크루저가 얼마만한 공격력을 가지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캐리어의 실드가 배틀크루저 레이저 공격의 18발째까지 작동하고 19발부터 장갑으로 버팁니다.
이것을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은 배틀크루저가 1회 공격에 8발을 쏘는데, 3번째 사격중 몇번째 레이저부터 캐리어의 쉴드 작동이 멈추는지 세어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1회, 2회 공격이 각각 8발씩이니 이미 16방이 들어갔고 세번째 공격때 세어본 결과만 감안하면 되는거죠.
캐리어 쉴드는 150이므로, 19발째에 데미지 150을 넘기는 숫자는 8밖에 없습니다. 다른 숫자는 너무 많거나 적죠.

- 블리즈컨 태란 소개 동영상에서, 배틀크루저를 바이킹이 잡는 장면이 나옵니다.
배틀크루저 3대가 잡히는데 2번째 배틀크루저가 잡힐때 배틀크루저가 2격만에 바이킹 1대를 격파합니다. 바이킹의 경우 기본 아머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HP 125인 바이킹을 2격만에 부수려면 8*8=64짜리 공격을 2번 날리면 가능합니다.(총 데미지 128 뜹니다)
부가적으로, 마지막 배틀크루저가 잡힐때 바이킹을 딱 1번 공격하는데 얻어맞고 살아남은 바이킹 색깔을 봤을때, 반피이상 날아간게 확실합니다.


======================================================

스타 1의 배틀크루저와 비교하면, 스타 1의 배틀크루저는 25 데미지이므로 1회 공격당 데미지는 2.56배의 위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연사속도의 경우는 정확히 측정하기 힘들지만 터렛 공격속도의 33%쯤 되는 걸로 봐서 스타 1의 배틀크루저가 1.5배쯤 되는 것 같네요.
연사속도까지 고려하면 스타 2의 배틀크루저는 원판보다 1.5~1.8배쯤 강한 공격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2. 불사신의 강화 보호막의 정확한 작동방식에 대한 추측.
불사신의 강화 보호막이 적용되는 방식을 알기 위해 WWI에서 공개된 시연 동영상 중 불사신이 등장한 부분을 재검토해 본 결과 다음과 같았습니다.

동영상에서 일단 불사신이 등장하고 시즈탱크 부대에 돌격합니다. 이때 불사신 부대 중 1대의 불사신에게 공격이 집중되는데 13~14방쯤 얻어맞고 격파됩니다. 이 당시의 시즈텡크 데미지를 정확히 알 수 없어 100% 확실한 것은 알 수 없었습니다만......

흥미로운 것은 해당 불사신의 와이어 프래임(부대지정 표시 부분에서 왼쪽으로부터 세번째 불사신입니다)이 서서히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실드가 다 없어진 직후 매우 급격하게 빨간색으로 변경된다는 것이죠.

따라서 다음과 같은 가설이 설득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i. 실드가 남아있을때 강력한 공격을 받으면 실드가 10씩 깍인다.
ii. 실드가 다 없어지면 강화 보호막은 작동하지 않는다.
iii. 남은 실드가 10 미만인 경우 남은 실드량만큼 %데미지를 줄여주고 남는 데미지가 장갑에 피해를 입힌다
ex) 실드 4 남았을때 100데미지를 입으면 실드가 날아가고 60데미지만큼 장갑이 깍여나감.
소결론) 불사신의 강화 보호막은 EMP에 쉽게 무력화된다. 결국, EMP+시즈탱크 조합은 불사신을 쉽게 격파가능하다.


현재 시점에서, 노매드 가격이 사이언스 배슬보다 저럼하기 때문에 3~4기가 EMP와 디팬시브 메트릭스 필드까지 개발된 상태에서 시즈모드 탱크와 조합되어 있다면 여전히 지상전에서 강력한 위력을 발휘할 수 있을 듯합니다.

* 세부적인 데이터는 자주 변경되지만, 강화 보호막이라는 기본 개념은 쉽게 변하지 않는 편이니, WWI의 그것과 현재 버전의 강화 보호막은 크게 변경되지 않았을리라 봅니다. 다만 100에서 150으로 늘어난 실드량은 EMP의 필요성을 더욱 강화시켰군요

3. 불사신 공격력에 대한 추론.

WWI 시연 동영상에서 불사신이 전투를 벌이는 장면으로 추측해 봤습니다.

불사신이 공격하는 대상은 2가지입니다.

- 시즈탱크
시즈탱크를 정확히 7격으로 파괴합니다. 이즈음의 시즈텡크는 HP 150에 기본 방어력 1이였으니까, 시즈텡크를 상대로 7격만에 파괴하려면 12+12데미지면 기본방어력 1 적용시
(11+11)*7=154로 격파됩니다.

- 강습병
강습병을 4격에 파괴합니다. 강습병은 HP 45에 기본 방어력 0 이므로, 예전 드라군의 예를 참고해 Light유닛에 50% 데미지라면,
(6+6)*4=48로 격파됩니다.

위 1과 2를 동시에 충족시키는 답은 기본 공격력 6에 2회 공격, 장갑 유닛에 두배 데미지가 가장 합리적인 추측인 듯 하네요.


4. 바이킹의 공대공 데미지.

바이킹은, 스타 1 레이스랑 다릅니다. 1회에 5발을 사격합니다.
스타 1의 레이스로부터 온 선입견이 있어서 처음엔 2발씩 사격하는줄 알았지만
태란 시연 동영상을 재검토하던 중, 바이킹이 소개될때 배틀크루저를 파괴하는데 딱 한번 2기의 바이킹만 사격하는 장면이 있습니다. 이 부분을 느린속도로 재생해 보면 확실히 알 수 있죠.


바이킹이 최대 31격에 배틀크루저를 파괴하니 5*31=155발의 미사일을 맞고 파괴되는데요.


시연용 동영상의 배틀크루저가 기본 방어 3에 HP 500인 유닛이 맞다면, 미사일 1발당 입은 데미지는 3정도입니다.

그런데 이걸 방어도 0인 유닛에게 적용하면 공격력 6짜리 미사일인 셈이죠.

대략 6*5=30 데미지를 가진 것 같습니다...

5. 고스토 저격 기술의 사거리.

이 부분에 대해선 이 게시판에 글을 올린 적이 있습니다.
https://pgr21.com/zboard4/zboard.php?id=free2&page=1&page_num=20&select_arrange=headnum&desc=&sn=off&ss=on&sc=on&keyword=&no=32372&category=
아직 안보신 분들은 한번 보세요. 최소한 12칸의 사거리를 가진 기술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기타 자세한 정보는 스타 2의 유닛 정보 모음집을 찾아보세요. 꽤 재미있을 겁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임요환의 DVD
07/10/23 22:26
수정 아이콘
외람된 말씀이오나 글을 읽다 보니 저랑 성격이 좀 비슷한 분일 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07/10/23 23:02
수정 아이콘
베틀과 캐리어간의 상대적인 갭을 줄이려고 8X8을 쓴건지.. 하지만 이게 전부 방어력에 영향을 받을테니 7X8이 되고 6X8이 되고... 이렇게 되어버리겠네요... 뭐 직접 써봐야겠지만 1보다는 좋아질 듯 싶습니다.
가을이횽의
07/10/25 08:20
수정 아이콘
근데 베슬이 스타2에서도 존재하나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616 윤용태vs이성은 [한빛 vs 삼성전자] 5경기 경기분석 [3] Saturday4178 07/10/30 4178 0
32614 다시 돌아오는 테란 우울의 시대?(제목수정) [32] 프렐루드5687 07/10/30 5687 0
32613 플토의 대저그전 - 다크아콘의 중반 활용 어떨까요? [10] 냠냠^^*4786 07/10/30 4786 0
32610 이스트로에서 외국인 연습생을 선발하려고 하는군요... 기대가 됩니다^^ [22] 한방인생!!!7452 07/10/30 7452 0
32603 [L.O.T.의 쉬어가기] 임요환... 당신의 한계 따위를 버려라... [13] Love.of.Tears.7463 07/10/28 7463 0
32602 프로리그 재미 없습니다. [158] 내스탈대로9176 07/10/29 9176 0
32600 지금의 임요환 선수를 말하다.. [6] 고등어3마리4952 07/10/29 4952 0
32598 이번 MSL에 대한 설레발 [49] Axl6180 07/10/29 6180 0
32597 현재 최고의 스페셜리스트는 누구일까요?? [47] 디럭스봄버7330 07/10/29 7330 0
32594 2007.10.28일자 PP랭킹 [10] 프렐루드4926 07/10/28 4926 0
32593 전략 중독 [20] 포도주스6217 07/10/28 6217 0
32592 임요환선수의 저그전 [17] 에버쉬러브7060 07/10/28 7060 0
32590 [공지] 일부 게시판 글쓰기 권한변경 안내. [6] 메딕아빠4382 07/10/28 4382 0
32588 한숨나오는 요즈음 프로리그..ㅠ.ㅠ [19] My name is J6742 07/10/28 6742 0
32586 e스포츠 팀과 축구 팀 비교 [26] 택용스칸5009 07/10/28 5009 0
32584 [TvZ]레이스테란 [3] 공유4087 07/10/28 4087 0
32582 현재의 프로리그 방식을 이렇게 바꾸면 어떨까요? [26] 드림씨어터4397 07/10/28 4397 0
32580 1주일후. 다시 한번 그가 웃는다. 씨익~ [14] Go_TheMarine5138 07/10/28 5138 0
32579 왜 스타챌린지는 평점을 매기지 않나요? [4] AnDes4154 07/10/28 4154 0
32576 스타크래프트 & 프로토스 [7] 인연과우연5003 07/10/28 5003 0
32575 카트리나... 롱기누스 생각이나네요.. [6] 라구요4923 07/10/28 4923 0
32574 스타리그 역대 최고의 5전3선승제는??? [49] 당신은저그왕7258 07/10/28 7258 0
32572 꿈이 아니길 바랍니다. [8] 차돌4039 07/10/28 403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