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10/07 18:41:32
Name Leeka
Subject WCG 2007 그랜드파이널 현재까지 성적 정리.
총 74개국 참가.




카운터 스트라이크 - PC/FPS

eMg (미국) VS NoA(노르웨이) // 어메이징 게이밍(우크라이나) VS 에뮬레이트(프랑스) - 4강 진행중


-> 이스트로(한국)은 8강에서 에뮬레이트(프랑스) 에게 0:2 패배로 탈락.



워크래프트 3 - PC/RTS


리샤오펑(중국) VS 올라프 운트하임(노르웨이) 결승전 진행중

3위 - 장재호(한국)


스타크래프트 - PC/RTS


송병구(한국) VS 샤쥔춘(중국)  결승전 진행중

3위 - 크리스토프 셈케(독일)




FIFA 07 - PC, XBOX360/Sports


빅터 산체스 뮤노즈(스페인) VS 다니엘 쉘하스(독일) 결승전 진행중

3위 - 오그니안 토모프(불가리아)



-> 김정민(한국) 16강 탈락.



니드 포 스피드 - PC, XBOX360/Racing


1위 - 호드리고 누네스(브라질)

2위 - 스테판 아멘드(네덜란드)

3위 - 알란 에니리프(러시아)




커멘드 엔 컨커 3 - PC/RTS


레온 마쉔스(독일) VS 션 클라크(영국) - 결승전 진행중

3위 - 파스칼 페펄(독일)



-> 이원준(한국) 16강 탈락.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 - PC/RTS


강병건(한국) VS 라그하프 파드케(미국) - 결승전 진행중

3위 - 카스텐 헤이거(독일)



캐롬 3D - 시범종목, PC/Sports

1위 - 헤난 마세라니(브라질)

2위 - 발레리오 아후소(이탈리아)

3위 - 길헤름 세꿰라(브라질)





기어즈 오브 워 - XBOX360/ FPS



인퓨즈드 게이밍(영국), 인피니티(미국) 퀄리티게이밍(네덜란드), 말리스(뉴질랜드) - 4강 진행중


-> 레드포스(한국), 8강에서 인퓨즈드 게이밍(영국)에게 패배.



데드 오어 얼라이브 4 - XBOX360/Fighting


1위 - 제레미 플로런스(미국)

2위 - 니글라스 라거보그(스웨덴)

3위 - 칼 화이트(미국)


-> 백용현(한국), 4강서 니글라스 라더보그(스웨덴) 에게 패배, 3,4위전에서 칼 화이트(미국)에게 패배로 4위.



프로젝트 고담 레이싱 3 - XBOX360/Racing


1위 - 우터 섬렌(네덜란드)

2위 - 위슬리 퀴클로(미국)

3위 - 유쉔 리우(대만)



토니 호크 프로젝트 8 - XBOX360/Sports


더스틴 발칼다(미국) VS 데이비드 트리시(영국) - 결승전 진행중

3위 - 마리오 헝거(오스트리아)





By Leeka.

한국은 최대 금 2, 은 0, 동 1
최소 금 0, 은 2, 동 1 이 가능한 상태입니다. (워크 3 장재호 3위,   스타크, 에이지  송병구, 강병건 결승 진출 상태.)

+@ RTS장르의 경우 C&C 제외한 게임 전부 메달 획득.  (스타크, 워크3, 에이지)
+@@ 그외 장르의 게임들 전부 메달획득 실패.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10/07 19:05
수정 아이콘
올해 꽤나 고전하는군요. 금 2개를 딴다고 해도 전체 메달 갯수가 3개라..
BuyLoanFeelBride
07/10/07 19:12
수정 아이콘
아, 마재윤...
satoshis
07/10/07 19:12
수정 아이콘
캐롬 3D 출전선수 비자가 안나와서.. ㅠㅠ
시미래
07/10/07 19:36
수정 아이콘
음... 한때 플토의 대재앙이라고 불리던 선수가 어쩌다가..ㅡ,.ㅡ;;
07/10/07 20:05
수정 아이콘
마재윤 선수가 플토한테 깨질줄이야(...) 삼만년은 까일 소스를 제공해버리다니요 OTL
미라클신화
07/10/07 20:13
수정 아이콘
진짜 근데 스타판말고 딴것도 늘려야하지않을까요.. 지금 세계는 스타를 그리 비중두지 않는데 우리는 스타밖에 하질않으니..
이번 WCG는 심각합니다. 누가 이스포츠의 종주국이라고 할까요
kimbilly
07/10/07 20:16
수정 아이콘
Counter-Strike... 16강에서 MYM 의 버그 플레이와 3차전에서 막말 (암이나 걸려서 죽어라. -_-) 이 있긴 했지만 진출은 했는데...
이번 WCG 참 아쉽네요. 우승 후보로 손꼽히던 PGS, wNv 도 탈락 한 상황이라 이대로 쭉 이기기만 한다면 결승도 가는데...-_ㅠ
DynamicToss
07/10/07 20:32
수정 아이콘
보니까 독일이 단독 우승할거 같지 않나요?
아직 확정 되지 않았지만 커맨드앤 컨터 와 피파 2007 에서 독일 선수 가 결승전에 포진되어있는데 다 우승한다면 금2 동 3으로 독일이 단독우승할수도;;
07/10/07 21:13
수정 아이콘
오 wcg종목이 이렇게 많았나요? 꽤 돼네요~
하하하
07/10/07 21:37
수정 아이콘
마재윤선수 셈케 선수한테도 졌나요??
07/10/07 21:43
수정 아이콘
하하하님// 마재윤 선수는 8강에서 탈락했습니다.
초록별의 전설
07/10/07 22:31
수정 아이콘
하하하님// 샘케 선수 잘하던데요. 맵 파악도 잘해왔고, 컨트롤, 라바관리 단연 수준급 이었습니다.
07/10/07 23:22
수정 아이콘
우리가, RTS외의 종목에서 금메달을 언제 한번 제대로 따볼까요... (근데 딴적 있나요?-_- 저는 없는걸로 아는데;)
스타2 나오면 스타1을 대체하게 될텐데.. 그때되면, 스타1만큼의 독보적인 우위를 뽐내지는 못할텐데 말입니다..
앞날이 걱정되네요...
BuyLoanFeelBride
07/10/08 00:03
수정 아이콘
한때 피파를 우리나라에서 석권하던 시절이 있을걸요.
그 외엔 RTS 이외에선 뭐 딴 적이 없을 겁니다.
07/10/08 00:08
수정 아이콘
아 맞다;; 피파 있었지..-ㅇ-); 아.. 이.. 기억력 제로의.......... T_T;;
satoshis
07/10/08 00:11
수정 아이콘
미라클신화님//케스파가 늘 문제일뿐더러 스타이외의 종목에서 성공을 거두기가 힘들어서, 방송 스폰잡기가 힘들어서 다 게임대회 여는게 힘든거로 알고있습니다.
The xian
07/10/08 00:52
수정 아이콘
E-Sport 관계자들이 이것저것 공식종목이라 선정해 놓고 뒷받침 아무것도 없는 것을 보면 그들은 이 판을 무슨 레이드처럼 생각하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무슨 "메인탱커(스타크래프트) 외에는 자생"도 아니고 대체 뭔지...
엑스텐션
07/10/08 00:54
수정 아이콘
피파 예전에 이지훈이 잘했을때가 최고였는데... 한국으로 다 바르는 그 포스란..;;
미라클신화
07/10/08 02:00
수정 아이콘
그나마 요즘 FPS가 인기를 끌어서 서든 스포방송하는게 다행.;
예전에는 에이지오브도 아트록스도 쥬라기원시전 등등 많이도 했었는데.. 역시 인기가없으면 사라지더군요
데포르티보
07/10/08 10:24
수정 아이콘
근데 WCG에선 카운터스트라이크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257 WCG 2007 그랜드파이널 현재까지 성적 정리. [20] Leeka7053 07/10/07 7053 0
31867 스타 베틀넷은 미네랄핵 덕분에 수그러들 것입니다...블리자드의 의욕상실? [45] LiQuidSky10136 07/08/23 10136 0
31708 IEF2007 스타크래프트, 워크래프트 경기 규칙안입니다... [6] 한방인생!!!4120 07/08/06 4120 0
31705 스타2에 대한 이런저런 잡담 [31] Judas Pain8320 07/08/06 8320 0
30806 스타2 관련 정보 요약 정리. [16] Leeka6505 07/05/22 6505 0
30794 스타크래프트2에 대한 추측. [16] papercut4944 07/05/21 4944 0
30786 다들 스타2에 대해서 이야기할때 스타1을 너무 의식하십니다. [27] KnightBaran.K4186 07/05/21 4186 0
30450 스타2가 나오면 E스포츠가 망하는 이유 [38] berserk6517 07/04/29 6517 0
30436 스타크래프트2의 발매가 미치는 E스포츠계 동향 [27] berserk4896 07/04/27 4896 0
30414 다음달에 열리는 WWI 기대됩니다. [15] 에버쉬러브4125 07/04/25 4125 0
30213 스타크래프트2리그에 대한 부정적인 사견 [28] 샤르미에티미6051 07/04/12 6051 0
28378 99년 스타크래프트 이야기 III [12] Firehouse4583 07/01/03 4583 0
27722 시청자로서 바라는 다음 버전 패치 내용 두 가지 [16] 연성,신화가되3794 06/12/04 3794 0
26993 워크3 초짜의 이틀동안 게임 플레이 감상문.. [20] 영혼을위한술4105 06/11/12 4105 0
26582 [펌]프로게이머들을 뺀 WCG (번역글입니다) [31] 스타대왕7360 06/10/28 7360 0
20568 10부작 칼럼 - e스포츠가 스포츠로 거듭나기 위하여(3) [9] KuTaR조군3858 06/01/28 3858 0
19960 이번년에는 스타2, 워크4 발표가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30] 이름 없는 자6836 06/01/10 6836 0
17865 [스타 추리소설] <왜 그는 임요환부터...?> -23~25편 [7] unipolar7230 05/10/29 7230 0
15969 [펌] 지금 일어나고있는 '토성'님의 논란에 대해서 글이올라왔네요 [145] llVioletll7794 05/08/28 7794 0
11756 e-sports와 프로게이머의 미래는? [11] SEIJI4912 05/03/19 4912 0
11430 박용욱선수의 무시무시한 지옥관광(온게임넷)EVER배는 제외 [15] PsytoM5829 05/03/02 5829 0
11110 베르트랑이 했던 말... [18] 소를 잡았더라20351 05/02/18 20351 0
10005 커프리그의 부활 [13] 공룡4169 05/01/01 416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