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10/01 20:22:14
Name 이선홍
Subject 프로리그 5세트 속 숫자의 법칙(?) (06후기리그~07전기리그)

안녕하세요, 게임게시판에는 처음 글을 올리게 되네요.

최근에는 개념을 좌우로 갖춘 글들이 너무 많이 올라와서
선뜻 이런 글을 올리기가 머뭇거려지긴 합니다만
뭐 바쁜 일 없다면 끝까지 읽어주세요. -_-;;;


제목은 거창하게 써봤습니다만,
(과연 이 글의 제목을 뭐라 달아야 할 지 모르겠네요. 좋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솔직히 말씀드려서 대단한 거는 아니구요...

항상 5전제를 보면서 여러가지 생각을 하곤 했는데...

과연 3:0 3:1 3:2는 어느 정도 비율로 나오고 있는 것인가?
그리고 1세트 승리가 팀의 기세를 올려서 팀의 승리에 기여하고 있는가?
최근에 그 중요성이 다시 재조명되고 있는 제 3경기 팀플!
제 3경기 팀플의 승리가 과연 팀의 승리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등등...


그 5경기 속에서 펼쳐지는
그 확률과 숫자 싸움이 굉장히 재미있게 느껴져서... (저만 그런가요)

pgr 게임 리포트 게시판에 올라와있는 전적을 바탕으로
2006년 후기리그와 2007년 전기리그를 분석해보았습니다.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파이널, 그랜드 파이널은 7전이어서 제외)
(그 이전 자료는 어딜 가야 찾을 수 있나요?)


2006년 후기리그 + 2007년 전기리그 정규 시즌 총 경기 = 183 경기


1. 게임 스코어는 어떻게 났을까?

전체 게임  183 경기 中

3:0로 승부가 난 경기  41 경기  22.4 %

승승승  41경기

3:1로 승부가 난 경기  63 경기  34.4 %

패승승승  17 경기
승패승승  19 경기
승승패승  27 경기

3:2로 승부가 난 경기  79 경기  43.2 %

승승패패승   9 경기
승패패승승  16 경기
승패승패승  14 경기
패승승패승  16 경기
패승패승승  10 경기
패패승승승  14 경기

제가 수학에는 잼병이라
3:0 3:1 3:2가 나올 확률이 각각 어떻게 되는지 계산을 못 해서
제대로 된 말씀은 못 드리겠지만...
3:2 승부가 절반 가까이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가 느끼기엔 3:1승부가 참 많았던 거 같았는데
의외로 5세트까지 가는 참 치열한 경기가 많았군요.


2. 1세트 승리가 얼마나 중요한가?

전체 게임  183 경기 中

제 1세트 승리한 팀이 최종 승리  126 경기  68.9%
제 1세트 패배한 팀이 최종 승리   57 경기  31.1%

2/3이상의 승률로 제 1세트를 잡은 팀이 승리를 거두고 있습니다.
역시 기세가 중요한 프로리그인가요....
제 1세트를 잡고 크게 키운 기세가 끝까지 가는 경우가 참 많군요.


3. 팀플 승리는 얼마나 중요한가?

전체 게임  183 경기 中

팀플 승리한 팀이 최종 승리   121 경기  66.1%
팀플 패배하고도 팀은 승리     62 경기  33.9%

역시 삼성의 전기리그 우승은
강한 팀플이 있어서였다라는 이야기가 거짓은 아니었네요.

하지만 3:1 승부를 살펴보면
제 3세트를 놓치고 3:1 승리를 가져간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이 경향은 작년 후기리그가 참 심했는데요...
그나마 올 전기리그로 접어들면서
삼성 한빛 등의 팀플 전문 조합이 좋은 성적을 거둬서 그런지
격차가 줄어 많이 따라 잡혔죠.


4. 절체절명 제 5세트 에이스 결정전!
과연 제 4세트 승리팀은 그 기세를 에이스 결정전에 불어넣을 수 있었을까?

제 5세트까지 진행된 경기 79 경기 中

제 4세트 승리 제 5세트 승리    39 경기
제 4세트 패배 제 5세트 승리    40 경기

의외의 결과입니다!
제 4세트의 그 좋은 분위기를 그대로 에이스 결정전에 가져가나 싶더니
꼭 그런 것만도 아닌듯 합니다.

역시 양팀 에이스에 의한 진검승부가 이루어지기 때문일까요?
아주 칼날이 설 정도로 딱 나뉘어져 있네요.


이 차트로 다른 여러가지도 알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데요.
(제가 생각나는 궁금증이 이 정도 밖에 안 되서... ㅠ_ㅠ)

과거의 데이트를 좀 더 축적시킬 수 있다면
더 확실하고 더 재미있는 수치를 뽑아낼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 정말 한 경기 한 경기 안 놓치기 위해서 최선을 다했습니다만,
저도 인간인지라 그것도 실수투성이인 인간인지라 숫자의 오류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에 관해서는 따스하고 친절하며 아름답게 지적해주세요.

그리고 작년 2006년 후기리그 이전의 과거 데이터를 가지고 계신 분!
혹은 어딜 가면 과거 데이터를 알 수 있어요~ 라고 말씀해주실 분!
직접 데이터를 수정하셔도 좋고 제게 알려주셔도 좋습니다.
정말 애타게 찾고 있습니다. ㅠ_ㅠ! 도와주세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전적 정리를 깔끔하게 해오신 SKY92님과
SKY92님 부재시에 수고해주신 모든 친절한 PGR21유저님들께
덕분에 쉽게 정리할 수 있었다고 감사의 인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허접한 글 끝까지 화내지 않고 읽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여러분. -_-;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공방양민
07/10/01 20:34
수정 아이콘
아아 정말 좋은 자료입니다. 님같은 분이 있기에 이스포츠에 발전이 있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
다만 표로 정리됐다면 훨씬 더 멋졌을 거란 아쉬움은 있네요.
그리고 1세트와 3세트를 이기고도 패배한 불운의 팀은 과연 있었는지 궁금하기도 하네요.
펠릭스~
07/10/01 20:40
수정 아이콘
제가 계산한게 확실한건지 모르겠지만 대충
3:0 25%
3:1 37.5%
3:2 37.5%
펠릭스~
07/10/01 20:45
수정 아이콘
1경기 승리한 팀이 승리할 확률은 확률적으로
11/16=68.75%

3경기 이긴팀이 승리할 확률도 같지 않을까요??
1경기 이긴팀이 승리할 확률하고???
이선홍
07/10/01 20:51
수정 아이콘
공방양민님// 네... 저도 표로 만들고 싶었습니다만... 엑셀과는 담 쌓은지 오래고 이 게시판에 줄을 긋자니... 너무 힘들더군요. ㅠ_ㅠ 이쁘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펠릭스~님// 마술사님// 앗! 대단히 감사합니다. ㅠ_ㅠ! 참고하겠습니다. 그럼 3:2가 많이 나온 게 맞는 거군요.

그런데 역시 이런 글은 인기가 없군요. -_-;;; 허허허...
信主NISSI
07/10/01 22:17
수정 아이콘
1,2,3경기는 각각의 확률이 갖죠...

프로리그다 보니 비교적 기세에서 자유로운 듯 합니다. '기세'라는 부분을 평가할 만한 것은 2:0에서 2:2를 만들었을때 기세를 타는 정도밖에 보이지 않네요. 2연승뒤의 승패결과도 이긴경우보다 진경우가 더 많았구요. 기세라는 것은 잘 해당되지 않는것 같습니다.
꿀호떡a
07/10/01 23:24
수정 아이콘
2006년 전기리그 데이터 - http://com0021.oranc.co.kr/zb4/bbs/data/etc/2006전기.xls
메딕아빠님이 올려주신 자료를 슬쩍 정리했습니다.

(내일쯤 코멘트 폭파합니다<)
김선웅
07/10/02 04:57
수정 아이콘
1경기를 이긴팀이 승리할 확률이 높다 (승리할 팀이 1경기를 잡을 확률이 높다) 같은것인가 ㅡ.ㅡ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4603 펌] Zergology 0편과 1편 [6] 펠쨩~(염통)6143 08/04/24 6143 2
33848 과연 누가 양산형 게이머일까? [10] Yes4697 08/02/04 4697 0
33842 옮긴 글) "조용호 대 마재윤 - tide was high" [32] Judas Pain9762 08/02/04 9762 45
32188 프로리그 5세트 속 숫자의 법칙(?) (06후기리그~07전기리그) [7] 이선홍3744 07/10/01 3744 0
31852 뜬금없는 '테란에 대항하는 우리 저그들의 자세' [9] Honestly4282 07/08/22 4282 0
30786 다들 스타2에 대해서 이야기할때 스타1을 너무 의식하십니다. [27] KnightBaran.K4151 07/05/21 4151 0
23430 815라는맵만봤을때 후반 이 유닛은 꼭 필요하다!! [11] 나둥나둥3482 06/05/24 3482 0
22186 간옹의 삼국지 [10] D.TASADAR4045 06/04/02 4045 0
20369 프로리그 결승전 1경기 재조명 [8] 김치원3274 06/01/22 3274 0
20333 송병구 선수는 몇 안되는 전략가였습니다. [19] 김치원3508 06/01/21 3508 0
18110 지금 밖에는 추적추적 새벽비가 내리네요 [10] 풍류랑3655 05/11/06 3655 0
17949 의혹투성이 동의대사건 화인밝혀야(이해를 돕기 위해서) [261] 최혜경6340 05/11/02 6340 0
15978 비타넷에서의 피지알'토성'공격-이후 신뢰파vs불신파간의 내전 등 토성 이중인격 사건 총정리. [53] legend9795 05/08/28 9795 0
12955 전두환vs장태완 그리고 충격의 12.12 [26] Ace of Base6769 05/05/15 6769 0
10738 쾌걸춘향, 해신, 봄날 콤보 [14] Timeless3338 05/02/03 3338 0
10450 40년전 밤, 무슨일이 있었나. [3] Ace of Base3588 05/01/19 3588 0
9896 크리스마스를 무사히 넘기고 [19] 공룡3945 04/12/27 3945 0
8733 영화이야기. [7] Ace of Base3587 04/11/03 3587 0
8117 홍명보선수의 축구선수 은퇴선언!! [19] 산적3757 04/10/08 3757 0
7874 ONGAMENET 적극적 PR활동이 더욱 필요하다. [21] 니어4286 04/09/28 4286 0
7646 맵의 수명은 얼마나 되나. [9] 信主NISSI3379 04/09/17 3379 0
7025 [체조] 체조 이주형 코치, "판정문제 없다"... [23] ⓣⓘⓝⓖ4693 04/08/19 4693 0
6377 질레트배 8대 이슈. [21] 거룩한황제5083 04/07/26 508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