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9/29 13:38:23
Name kimbilly
Subject 국내 최고의 워크래프트3 리그, AWL 2007 이 개최 됩니다.
현재 양대 게임 방송사에서는 더 이상의 워크래프트3 게임을 보고 싶어도 볼 수가 없습니다.

이로 말미암아 워크래프트3 팬들은 유럽에서 진행되는 WC3L, NGL, Incup 등을 밤을 새우며 지켜봐야 했고, 언제 시작될지도 모르고 무한정 광고만 틀어주다가 갑자기 틀어주는 중국의 리그를 봐야만 했습니다.

그렇게 힘들게 말도 통하지 않는, 타지에서 고생하는 외국의 리그에서 우승하는 한국 선수들의 화려한 플레이를 어렵게 시청을 하며 워크래프트3 팬들은 환호를 보내야만 했습니다.

한국에서 마지막 남은 워크래프트3 의 자존심을 지켜 온 나이스게임TV 가 시청자 여러분들의 성원에 힘입어서 국내 최대, 국내 유일의 워크래프트3 리그로 여러분들을 찾아갑니다.

★ AWL 2007 - afreeca Warcraft3 League

프로와 아마추어가 함께하는 e스포츠 최고의 대전장!
한국e스포츠협회 공인, 대한민국 유일의 워크래프트3 정규 리그!
No.1 인터넷 방송 afreeca과 e스포츠팬이 함께만드는 e스포츠 방송의 신혁명!


주최 : ㈜나우콤 아프리카 - http://afreeca.pdbox.co.kr
주관 및 방송 : 나이스게임TV - http://www.nicegametv.net
후원 : ㈜나우콤 아프리카, 한국e스포츠협회
상금 : 총 1,000만원 (1위 600만원, 2위 300만원, 3위 100만원)

참가 신청 기간 : 10월 8일 ~ 10월 12일 (5일간)
참가 신청 : http://afreeca.pdbox.co.kr/awlkorea
참가 자격 : 제한 없음 (워크래프트3 를 사랑하는 모든 유저)
온라인 예선 : 10월 13일(토), 10월 14일(일) (자세한 사항은 참가 신청 페이지에 공지 할 예정.)
예선 방식 : 총 16개조로 편성, 싱글토너먼트로 진행.
      각 경기는 3전2선승제로 진행되며 각 조의 1위는 본선 진출 자격 획득. 16강 진출자 결정.
참가 혜택 : 본선 진출자 중 프로게이머 자격이 있는 선수를 제외한 상위 2명의 선수에게 준프로게이머 자격 수여.

국내 최고의 워크래프트3 선수들과 워크래프트3 팬들이 함께하는 이번 리그에 많은 e스포츠 팬 여러분의 관심을 부탁 드리겠습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forgotteness
07/09/29 13:57
수정 아이콘
워크 게시판에도 댓글 달았지만...

나이스겜 티비는 무조건 잘되야죠...^^

그간 무보수로 죽어라 봉사하시면서 고생하셨는데...
이번에 잘 되어서 그동안 고생해왔던것들 나겜 식구들이 어느정도 보상받는 날이왔으면 합니다...
그리고 이번리그 잘되어서 워크도 더 활성화 되었으면 하네요...

어쨌든 이번 리그 반드시 성공하셔야만 합니다...
프렐루드
07/09/29 14:01
수정 아이콘
잘되시길 빌겠습니다...^^
아소심행
07/09/29 14:04
수정 아이콘
프로분들이 나온는군요;; 아마추어들은 버로우인가 ㅠ
Dietrich
07/09/29 14:48
수정 아이콘
꼭 성공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나이스 겜 티비 화이팅!!
가즈키
07/09/29 15:08
수정 아이콘
너무 기대되내요.....

나겜 화이팅~~
07/09/29 15:08
수정 아이콘
음 케스파도 후원하나요;;;
찡하니
07/09/29 15:14
수정 아이콘
정말 기대하고 있습니다.
대박나서 2시즌 3시즌 계속 이어지길 기원합니다.
the hive
07/09/29 21:42
수정 아이콘
헛헛 협회도 후원하네요 ~_~;;최다종족 최소종족이 기대됩니다(설마 초창기처럼 2종족 남고 전원 탈락하는 사태는 없겠지...;;)
코리아범
07/09/30 08:27
수정 아이콘
무보수로 죽어라 고생하신것도 하신거지만.. 해설과 캐스터의 퀄리티도 무시 못하죠.. 요새 닥말 해설의 랩을 듣고 있자면.. ;;
forgotteness
07/09/30 11:14
수정 아이콘
해설의 디테일한 부분은 오히려 엠겜 해설진보다 훨씬 더 낫습니다...
초반 건물위치만 보면 다크홀스, 조이럭님 거의 무당해설을 하시죠...
홀스님 진행 역시 당장 케이블로 진출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이구요...
그나저나 요즘 다크홀스님 완전 소시와 원더걸스에 빠져사시던데...^^;

이번 리그하시는데 지장이 있지 않을지 걱정이 심히 됩니다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219 Flying Circus [16] 총알이모자라5153 07/10/04 5153 0
32218 @@ 작년과 올 해의 피지알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29] 메딕아빠5961 07/10/04 5961 0
32216 임요환- 클래스는 영원하다 [32] 신상혁7229 07/10/04 7229 0
32215 임요환도 통하지 않네? [111] 낭만토스14308 07/10/03 14308 0
32214 WCG 2007 - ongamenet 및 WCG 홈페이지 생방송 일정 [18] kimbilly6193 07/10/03 6193 0
32211 프로리그 이왕이면 연전으로 하는게 낫지 않을까요? [20] SkPJi5433 07/10/03 5433 0
32209 제3의 물결 [12] Lunatic Love5516 07/10/03 5516 0
32207 이기기 어려운 선수, 이길 수 없는 선수 [24] 삭제됨6923 07/10/03 6923 0
32206 그는 왜.....[마재윤 vs 이영호 뒷북 후기] [20] The Greatest Hits7579 07/10/03 7579 0
32203 산전수전 - 저그로 플레이하면서 느낀 어려움 [32] 소현5791 07/10/02 5791 0
32202 프로리그, 개인리그에서 저그가 이기는 모습을 보고싶다. [43] 삼삼한Stay5599 07/10/02 5599 0
32201 오늘의 프로리그 한빛 vs MBC, STX vs 위메이드- 얘기해 봅시다. [86] 4thrace6378 07/10/02 6378 0
32200 이러고 있다~ 이러고 있다~ [7] 프렐루드4314 07/10/02 4314 0
32199 이제동이 다른 저그들과 조금은 다른점. [32] Akira8499 07/10/02 8499 0
32198 평가절하받는 프로리그 에이스들. [113] 파벨네드베드9257 07/10/02 9257 0
32197 PGR에는 필진들이 필요합니다. (게임게시판 활동량 감소에 대한 이야기...) [30] 모짜르트5962 07/10/02 5962 0
32195 네이버 스포일러... 후우, 난감하네요 [28] 그렁그렁6112 07/10/02 6112 0
32194 Kespa. 통합랭킹을 없애자. [24] 골든마우스!!5153 07/10/01 5153 0
32193 송병구 선수가 Kespa 랭킹 1위 자리에 등극했군요! [32] 비수6723 07/10/01 6723 0
32191 마재윤 vs 이영호(T) 맵탓? 잘못된 운영? [76] 낭만토스9195 07/10/01 9195 0
32190 프로리그에서 잘나가는 선수들은 프로리그에서만 잘나간다? [122] 로바로바5451 07/10/01 5451 0
32189 티원 프로토스와 화끈한 세레모니 [18] 마법사scv6389 07/10/01 6389 0
32188 프로리그 5세트 속 숫자의 법칙(?) (06후기리그~07전기리그) [7] 이선홍4160 07/10/01 416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