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9/16 02:44:16
Name 信主NISSI
Subject 차기 스타리그에 대한 약간의 제안.
7일로 예정되었던 조지명식이 14일로 연기, 다시 21일로 연기되는 일이 있었습니다. 재차 연기될 경우 10월로 넘어가 버리게 되네요.

제가하는 약간의 제안(주장?)은 16강을 주 2회로 방송하자는 겁니다.

전에 썼던 글에 이야기 한 적이 있었는데, 현재의 스타리그, 스타챌린지의 방식은 최대한 타이트하게 해도 챌린지쪽이 3회가 비어버립니다. 지난 1시즌에서 챌린지가 늦게 시작했었던 것을 기억할 겁니다. 그리고, 그럼에도 4번 시드결정전을 위해서 3위결정전의 날짜가 변경되어 땡겨졌었습니다.

어짜피 빈 공간이 생기느니 3주간 16강을 주2회로 빠르게 진행하는 겁니다. 선수들은 주에 한번 경기하는 깔끔함이 있고, 경기가 없는 경우엔 3주만에 돌아오는 스케줄의 격차도 조정할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수요일엔 A조와 B조, 금요일엔 C조와 D조 등의 형식으로 같은조의 선수들이 같은 날 경기했으면 좋겠습니다.

각 조별로 모아두는 편이 전체적인 판세를 파악하기 좋고, 다음 경기를 기대하기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각선수들이 3경기 째에 들어갔을때, 동시에 게임을 하진 못하더라도 최대한 가깝게 배치해서 유불리를 최대한 줄여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아니, 그게 쪼~금 이겠지만 더 나으면 바꾸는게 낫지 않을까요?

스타리그 총 12회, 스타챌린지 총 9회, 듀얼토너먼트 총 6회. 총 일정 27회는 변하지 않으면서, 기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두주정도요. 연3회를 위해선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우승자에 대한 포커스를 더 강하게 하고, 대회에 대한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선 대회와 대회사이를 더 두고, 리그를 집중력 있게 치뤄야합니다. 현재는 듀얼을 결승전 기간중에, 또는 직후에, 가끔은 직전에 치루는데... 대회 시작전에 듀얼을 치룬다면 그 집중도는 놀라울 수 있을 겁니다.(지난 겨울시즌이 비교적 그랬죠.)

서바이버토너먼트가 12월에 치뤄질 텐데, 스타리그는 11월 중순까지 16강이겠네요... 조금은 아쉽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9/16 04:26
수정 아이콘
흠.......... 좀 미묘한 문제네요. 편성쪽의 문제같은데......
FC Barcelona
07/09/16 11:56
수정 아이콘
경기 일정상의 문제가 있을텐데 스타리그만 하는게 아니라 MSL도 있고 프로리드도 있고
선수 스케쥴도 있고요
信主NISSI
07/09/16 14:36
수정 아이콘
아뇨. 챌린지리그하는 방송날 스타리그 16강을 치루자는 겁니다. 프로리그나 MSL과는 상관없죠. 원래 온겜의 개인리그가 주 2회니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087 차기 스타리그에 대한 약간의 제안. [3] 信主NISSI4091 07/09/16 4091 0
32052 그저 재미로 보는 각팀선수들의 개인리그 성적.(개인별 성적을 추가했습니다.) [18] 信主NISSI4914 07/09/12 4914 0
32025 지난 일주일간의 지나친 소란 [66] 信主NISSI5819 07/09/07 5819 0
31935 개인리그와 프로리그의 공존에 대한 제안. 시즌 분리. [10] 信主NISSI3867 07/08/30 3867 0
31805 차기시즌 진출자현황(2) [9] 信主NISSI5255 07/08/16 5255 0
31735 한동욱선수 이적요구 철회 [20] 信主NISSI7141 07/08/10 7141 0
31670 차기시즌 진출자현황(1) [16] 信主NISSI4433 07/08/03 4433 0
31661 3개의 맵으로 개인리그를 치루자. [17] 信主NISSI5040 07/08/03 5040 0
31641 완전섬맵. 2:2 팀플에서의 활용. [8] 信主NISSI4438 07/08/01 4438 0
31614 프로리그 서브리그의 도입 [33] 信主NISSI5186 07/07/28 5186 0
31580 서바이버토너먼트와 듀얼토너먼트의 종족구성비 [5] 信主NISSI3863 07/07/23 3863 0
31570 양대리그라운드진출기준 랭킹 [8] 信主NISSI4239 07/07/22 4239 0
31535 듀얼 대진에 대한 불만 표출.(수정) [40] 信主NISSI7590 07/07/20 7590 0
31532 7전 4선승제와 양대리그 주장. [17] 信主NISSI5329 07/07/20 5329 0
31503 [판타지] 2007프로리그가 연 4회였다면. [6] 信主NISSI4094 07/07/17 4094 0
31499 온게임넷 개인리그 방식 제안. [7] 信主NISSI3873 07/07/17 3873 0
31442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 7월 로스터 [16] 信主NISSI33960 07/07/12 33960 0
31432 무승부경기는 무승부로 하자. [21] 信主NISSI4935 07/07/11 4935 0
31430 이기는것. 그것을 이뤄내는 이스트로. [11] 信主NISSI4769 07/07/10 4769 0
31406 듀얼 토너먼트 대진. [14] 信主NISSI6731 07/07/07 6731 0
31345 개인리그, 덩치를 키워라. [8] 信主NISSI3856 07/07/03 3856 0
31317 개인리그의 제3의 물결. [4] 信主NISSI4184 07/07/01 4184 0
31277 서브리그, 그리고 팀단위리그의 도입. [8] 信主NISSI3831 07/06/28 383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