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8/28 00:07:13
Name SKY92
Subject 2003 올림푸스. 낭만의 회상.
2003년,당시 게임을 다시 보기 시작했던 시절,

처음으로 본 스타리그가 올림푸스 스타리그였습니다.


조지명식을 보니,당시에 선수들이 아주 당차고 도발적인 멘트를 자주하더군요.(개인적으로 저런 조지명식이 참 맘에드는데 말이죠.)



16강부터 시작해서,

많은 화제를 뿌리고 다니던 스타리그였습니다.


16강에서 최대화두는 당연히 죽음의 조 A조.

전대회 우승자이자,그랜드슬래머 이윤열.

이윤열과 테란의 양대산맥을 놓고 다투고 있었던 황제 임요환.

자타가 공인하는 당시 최고의 테란킬러 이재훈.

그리고 경락맛사지의 진수,박경락선수.

그야말로 당시에 엄청난 조였죠.


경기들도 정말 수준이 높았고요.

A조 경기는 이재훈 VS 박경락전을 빼고는 다 기억납니다.

개막전 이윤열 VS 임요환. 초반 임요환선수의 우세속에서 역전해버리는 이윤열의 괴력.

임요환 VS 박경락. 당시 노스텔지아에서 고전하고 있던 테란,그러나 3배럭 압박테란이라는 새로운 전략으로 저그에게 2가스를 허용하지 않으며 완승.

이재훈 VS 이윤열. 불리하던상황을 특유의 스무스한 운영으로 역전해버리는 퐈퐈곰의 명품 테란전.

박경락 VS 이윤열. 초반 바이오닉 난입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경기가 많이 기울었으나,또다시 말도안돼게 분전을 하는 이윤열선수, 하지만 결국 박경락선수의 목동이 작렬.

임요환 VS 이재훈. 일부는 시즈가 됬고 일부는 통통통통통통~~~


그외에 홍진호 VS 김현진,베르트랑 VS 박용욱등이 기억나네요.

홍진호선수랑 김현진선수는 사실 상대전적만으로 볼때는 거의 천적급이였으나,(김현진선수가 한번도 홍진호선수를 못이겼다죠.)이 두선수가 하는 경기는 항상 재미있었습니다.

네오 비프에서 벌어진 피땀흘린 접전은 결국 홍진호의 승리로 끝이났지만요.

베르트랑 VS 박용욱은 베르트랑선수가 비프에서 박용욱선수의 언덕통로 입구를 막아버리고 벙커링을 시전해서 박용욱이 허무하게 GG를 쳐버리고 말았습니다. 경기시간은 단 4~5분)

(훗날 마이큐브 배에서 박용욱선수가 쉴새없는 초반압박으로 4~5분정도만에 완벽한 복수를 해주었지요.)


8강전 조편성멤버도 만만치 않았습니다.

A조-임요환,조용호,장진수,홍진호

B조-박경락,서지훈,강도경,박상익


A조에서 가장 재미있었던 경기는 장진수선수랑 임요환선수의 대결이였죠.

다들 아시다시피 장브라더스 VS 임요환의 상대전적은 거의 천적급이였습니다.

한빛소프트때부터 시작했던 장브라더스랑 임요환선수의 악연.

네오비프에서 그 악연의 고리를 끊느냐 마느냐의 혈투가 벌어지고,

임요환선수의 전진팩 전략에 조이기를 당한 장진수선수,

또다시 임요환에게 승리를 헌납하며 '장브라더스는 영영 임요환을 넘지 못하는건가.......'싶었으나,

기막힌 빈집털이로 엘리전끝에 승리를 거두며 기어이 악연을 끊어버리는데 성공합니다.



결국은 임요환선수는 끝끝내 1위로 4강에 진출을 하는데 성공했고,장진수선수는 아쉽게 탈락을 겪어야 했었지만요.


8강에서 벌어진 임진록도 당시에는 나름 수준급이였고요.


어쨌든 A조에서는 임요환,홍진호,이 두선수가 각각 1,2위로 4강에 진출을 하는데 성공했습니다.

B조에서 제일 재미있었던 경기는 서지훈 VS 박경락 경기.

당시 박경락선수가 서지훈선수를 많이 괴롭히던 시절이였죠.

신 개마고원에서 특유의 경락맛사지와 목동으로 테란을 멋지게 요리해내는데 성공합니다.

경기가 끝나고 그 무표정을 유지하던 서지훈선수조차 미묘하게 표정을 찡그리면서 한숨을 쉴정도로,거의 엄청난 수준의 박경락의 테란전이였죠.


서지훈 VS 박상익 경기는 당시 방송경기에서 서지훈선수가 처음으로 자신의 틀을 깨고 저그전에서 메카닉을 했던경기로 기억합니다.

기요틴,테란이 당시에 저그를 한번도 못이겼던 맵. 하지만 서지훈답지 않은 8배럭 벙커링과 압박,이후 메카닉으로 단단히 저그를 쓸어버리는데 성공하며.

마지막 4강 티켓을 잡아내는데 성공했습니다.


B조에서는 박경락,서지훈선수가 각각 1,2위로 진출했었죠.

크로스토너먼트 방식으로 짜여진 4강 토너먼트 대진표.

A조-임요환(T) VS 서지훈(T)

B조-박경락(Z) VS 홍진호(Z)

당시 이 대진표를 본 사람들은 거의 결승전이 어게인 임진록 이 될것이라는 예측을 많이했습니다.

아무래도 서지훈선수의 테테전은 별로 보여준적이 없었고,신예이기도 했고,

당시 박경락선수 저저전은 홍진호선수 저저전보다 한수아래였으니까요.


하지만 A조부터 엄청난 이변이 벌어졌습니다.

그 황제 임요환이,새파란 신예한테 3:0으로 침몰을 당해버렸던것이였습니다.

처음으로,5전제에서 3:0 셧.아.웃을 당해버린것입니다.

당시 최고의 테란 이윤열과도 테테전에서 대등한 수준을 자랑했던 임요환이,테테전에서 신인에게 3:0으로 패배했던것입니다.

그렇다고 경기속에서 서지훈이 겨우겨우 이긴것이냐?

그것도 아니였습니다.

내용도 정말 일방적이였고요.

'퍼펙트' 서지훈은,그 임요환의 테테전 특유의 흔들기에 전혀 넘어가지 않고 무표정을 유지한채 우직하게 밀어붙여서 침몰시켜버렸습니다.

상대가 임요환이였는데,전혀 한치의 빈틈도 보여주지 않고,완벽하고 일방적인 경기로 결승에 진출을 해버렸던것입니다.

경기가 끝나고,천하의 임요환이 한숨을 쉬는모습과,

그리고 결승에 진출했는데도 불구하고 무표정하고 차가운 포커페이스를 유지하던 서지훈선수가 기억에 남네요.

당시로써는 거의 충격과 공포였습니다. 임진록을 기대하던 사람들에게도 큰충격이였고요.

서지훈선수의 테테전 짐승급 포스가 본격적으로 드러난 시기였죠.  


B조 홍진호 VS 박경락은 많은사람들의 예측대로 흘러갔습니다.


당시 감기에 걸린채 4강에 임했던 홍진호선수,그러나 3경기 모두 짧고 깔끔한 경기로 승리하며 싱겁게 결승에 진출을 하는데 성공합니다.



멤버에 비해 너무나도 싱거웠던 4강전.

하지만 충격과 공포로 가득찼던 4강이기도 했습니다.



3,4위전에서 시드를 놓고 임요환 VS 박경락이라는 대진표가 형성되었습니다.

저그 킬러 VS 테란킬러의 대박대진표.


그 경기에서 임요환은 자신만의 전략적인 색깔을 살려 메카닉으로 테란킬러 박경락을 제압하는데 성공하지요.


이제 남았던것은 결승전.


당시 최고의 기세로 치고올라왔던 신예,퍼펙트 테란 서지훈.


저그의 수장. 희망이라 칭송받고 있던 폭풍 홍진호의 결승전 대결이 이뤄졌습니다.



거의 아시다시피 결승전은 정말 모든경기가 수준이 높고 재밌던 경기였습니다.


1경기에서 사고가 있긴 했었지만, 그래도 노스텔지아에서의 저그의 해법을 완벽하게 제시한 홍진호.

그러나 2경기에서 서지훈의 놀이터,위기의 상황에서 비프로스트에서 또다시 퍼펙트의 한방이 터지며 승부는 원점.

제일 처절했던 3경기,결국 마지막 금베슬이 잡히며 통한의 GG를 선언한 서지훈.

거의 우승은 홍진호의 것이 되는듯 싶었으나,

4경기,홍진호 특유의 전술과 공격성에 고전하기도 했으나,결국 단단한 한방을 모아가며 승리를 거둔 서지훈.

결국 5경기에서,정말 현란한 드랍쉽활용과 멀티태스킹으로 올림푸스의 황태자로 등극하는데 성공합니다.


감동의 시상식.


항상 포커페이스를 유지하던 서지훈이,처음으로 눈물을 흘리는 모습을 보이면서 '엄마,사랑해요.'라고 말하는것을 보고 가슴이 찡했고,

시상식에서 쿨하게 패배를 인정하고 담담하게 소감을 말하던 홍진호가 결국 무대뒷쪽에서 눈물을 흘리는것을 보고 가슴이 찡했습니다.

경기 내적으로도,경기 외적으로도,거의 모든것이 완벽하고 감동적이였던 결승전이 아니였나 싶습니다.



정말 제게 최고의 스타리그였습니다.


그때의 낭만이 아직도 그립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술사
07/08/28 00:10
수정 아이콘
올림푸스 결승 1경기때 재경기가 정말 안타깝네요.
07/08/28 00:18
수정 아이콘
사실 홍진호 선수와 그 팬 입장에서는... 올림푸스 배 1경기는 두고두고 한이 될 만하지요. 하지만 서지훈 선수도 우승할 자격은 충분했습니다^^ 두 선수 모두 어서 개인리그, 특히 스타리그에서 다시 부활하는 모습 보여주시길..!
07/08/28 00:20
수정 아이콘
그 때 팬을 했더라면 아마 우승하는 줄 알았을걸요.
후우... 늦은 팬이라서 그런지 더욱 홍진호선수의 부진이 안타깝네요.

지난주 오전에 홍진호선수 대 김현진선수 비프로스트 혈전을 봤는데-_-
홍진호선수가 지는 줄 알았습니다;; "대혈전"이라는 말은 괜히 있는 게 아니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07/08/28 00:20
수정 아이콘
결승 2경기는 서지훈의 놀이터,한방이라기 보다는...
디파뜨고 본진 싹 다 털린 극 불리한 상황에서 말도 안되는 별동대의 난입아니었나요?
당시 직접 가서 본 기억이 어렴풋 나는데...장내 술렁임은 아직도 잊혀지지가 않네요
좋은글 잘봤습니다^^

5경기는 홍진호 선수가 지친 기색이 역력했죠...어린맘에 보면서 울뻔 했습니다 -_-; 스컬지도 안뽑고...
The Greatest Hits
07/08/28 00:24
수정 아이콘
사실 홍진호 선수와 그 팬 입장에서는... 올림푸스 배 1경기는 두고두고 한이 될 만하지요.(2)
가장 기억하고 싶지 않은 리그라는.....ㅠㅠ
그때의 서지훈선수는 정말 '단단'했습니다^^
My name is J
07/08/28 00:25
수정 아이콘
올림푸스결승을 보면서,,
'아..이제 나이먹은 선수들이 어린 선수들 이기는건 힘들겠구나...'했었지요.
체력의 차이를 느꼈다고나 할까요...
07/08/28 00:27
수정 아이콘
전 당시 홍진호선수를 응원하던 입장에서,1경기 재경기도 아쉽긴 했지만 2경기 비프가 더 아쉬웠습니다.

다 잡았다고 생각했거든요. 본진에 러커가 버로우할때만해도 다 잡았다고 생각했었는데,

단 1분만에 그경기가 뒤집히자 멍했죠. 그리고 그 경기가 한이 될줄이야.
The Greatest Hits
07/08/28 00:29
수정 아이콘
SKY92님// 그쵸......ㅠㅠ 고작 마메한부대가.......ㅠㅠ
07/08/28 00:31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론 응원하던 토스들이 모두 조별예선에서 떨어져버려서 (8강이 2t 6z;;) 별로 기대는 안했는데 특히 결승이 대박이었죠
07/08/28 00:37
수정 아이콘
임팬의 입장에서는, 그 충격의 첫 3:0 이후 드랍동에서
임선수가 그의 아바타 황제옷을 벗고 겸손해 져야 한다는 글을 올렸던 기억이 생생하네요....
그당시 저는 오랜만에 임요환선수가 우승할거라는 기대감에 들떠 있었는데(당시 상황으론 가장 우승 확률이 높았었죠)
서지훈이라는 신예에게 그렇게 허무하게 잡혀버릴 줄은 몰랐었습니다...정말 충격이었죠...
아마 테란 특유의 단단함이 극강이었던 서지훈 선수가 스타일상 임요환 선수의 천적이었던 듯 합니다...(둘다 부진한 지금 또 붙어봤으면 하는군요..)
WhistleSky
07/08/28 00:38
수정 아이콘
제가 처음 스타리그를 봤던 때네요. 김현진선수와 홍진호선수의 경기를 본 이후로 김현진선수를 응원했었는데 아쉽게 항상 16강의 문턱에서 좌절하다가 결국은 팀에서 방출되고... 아직도 제노스카이에서의 나도현선수와의 경기는...ㅠ.ㅠ 물론 요즘은 코치로 잘 지내고 계시지만 선수로써는 아쉬움이 많이 남네요.
글을 읽으면서 생각해보니 홍진호선수의 폭풍도 건재했고 임요환선수의 바이오닉도 팔팔했던 저 때가 많이 그리워지네요.
07/08/28 00:41
수정 아이콘
파나소닉 4강3저그에 이어 저그 강세가 이어졌던 시즌..

박경락 선수의 포스가 장난이 아니었는데 말이죠.

34전 즈음해서 테란전 포스가 떨어지기 시작했죠.
07/08/28 00:43
수정 아이콘
결승전의 열기도 대단했지만, 아직도 기억에 남는게 서지훈 선수의 우승 소감.
"엄마 사랑해요"
그때만해도 한없이 어리고 작아보였던 서지훈선수였는데, 세월이 참 많이 흘렀네요 ^^
Go_TheMarine
07/08/28 00:44
수정 아이콘
예전에 길드원들 한명씩 나와서 플레이하는 프로그램이 있었는데...(이름은 생각이 안나네요;; 김태형씨가 진행하고..) 거기서 서지훈 선수경기를 전 처음봤습니다. 바이오닉을 보면서 전율이 일었죠. 제 기준으론 이윤열을 능가하는 바이오닉이다.라고 생각했으니까요. 당시에도 이윤열선수가 주가를 올리고 있었는데 이선수도 앞마당먹으니 물량이 장난이 아니었거든요. 결국 11연승인가...(이것도 정확치 않네요..) 했던것 같습니다. 그리고 지오팀에 갔다는 소식을 듣고 지켜봤는데. 올림푸스의 황태자가 됐죠.
제3의타이밍
07/08/28 02:07
수정 아이콘
데일리 게임북이었나 그랬죠...
당시 서지훈 선수의 포스는 덜덜..
07/08/28 04:06
수정 아이콘
박경락선수가 정말 후덜덜했죠..
파나소닉-올림푸스-마이큐브 3연속 4강..참 아쉽습니다.
07/08/28 04:14
수정 아이콘
A조 박경락 이재훈 경기는 스카웃이 나와서 기억에 남네요
초반 스카웃으로 변수를 노리지만 박경락선수가 무난하게 막고 이긴경기였죠
이윤열-임요환-이재훈-박경락
지금 생각해도 역대 최악의 죽음의조이자 최고로 재밌었던 16강 조였던거같습니다
07/08/28 08:05
수정 아이콘
올림푸스 1경기 재경기가 뭐죠? 왜 재경기를했나요?
지니-_-V
07/08/28 08:42
수정 아이콘
박경락 이재훈 경기는.. 저도 기억이 나는데.. 스카웃 나와서 오버로드잡고 그러다가.. 발업질럿이 한번에 럴커에 녹아버리면서 -_-;;;
이후 박경락선수의 무탈이 이재훈선수의 본진에 난입... 그걸로.. 끝나버렸다는 -_-;;;
완성형폭풍저
07/08/28 09:05
수정 아이콘
확실히 이재훈 선수가 유리했던 게임이었는데...
개마 뒷길을 이용한 저글링 플레이 몇번과 질럿의 소모로....;;;
해설진들도 무척이나 안타까워했던 경기였던것으로 기억합니다.
IntiFadA
07/08/28 09:25
수정 아이콘
웃으며 우승자(서지훈 선수)를 축하해준 홍진호 선수가
대기실에서 눈물을 쏟아내는 장면을 인사이드 스터프인가..에서 보고 온 가슴이 다 미어져서 한동안 스타리그를 못봤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
핫타이크
07/08/28 09:35
수정 아이콘
올림푸스 스타리그 역시 결승전에 가서 봤는데, 정말 재미있었습니다. 베슬한기한기 잡힐때마다 2만여명의 관중과함께 탄성을 내질렀던 기억이 생생하네요.
가장 박진감 넘치는 결승전이었습니다.!
07/08/28 10:06
수정 아이콘
16강 A조 조지명식부터 너무너무 재밌었던 리그였습니다 퍼펙트 서지훈선수의 팬이 된 리그이기도 하고여
서지훈-홍진호선수 분발해서 다시 결승에서 보기를 바랍니다
마술사
07/08/28 11:11
수정 아이콘
a니이님//
당시 1경기가 노스텔지어였던가요? 아무튼 1경기 5경기가 같은맵이었습니다.
이때 1경기에서 홍진호선수가 3해처리 발업저글링올인을 했죠.
그빌드 특성상..마린메딕이 나오지않고 파벳갖춰서 천천히 나오면 저그가 가난해서 망하고, 파벳갖추기 전에 테란이 나오기만 한다면 저글링에 마린메딕이 싸먹히고 저그쪽이 완전 유리하게 되는 빌드입니다
근데 서지훈선수가, 파벳안갖추고 마린메딕만 갖춰서 나갔고, 기다리던 홍진호선수의 저글링에 싸먹혔습니다.
그리고 추가되는 저글링에 입구뚫리고 본진으로 저글링이 난입했고..추가된 파벳메딕과 scv까지 동원해서 막았죠.
이런 상황에서 갑자기 서지훈선수가 pause를 걸고 사운드에 문제가 있다고 했고, 결국 재경기 선언을 했습니다.

홍진호선수는 필살기를 이미 보여줘서..당연히 또 필살기를 쓸수가 없었죠. 그래서 전혀 다른 빌드를 썼구요 (5경기때 쓰려고 했던 빌드인듯?)서 어쨋든 1경기는 홍진호선수가 승리했죠.

하지만 그후 이기고 지고를 거듭해 5경기까지 오게 되자
그래서 1경기 재경기때 썼던 빌드를 그대로 썼고, (아마도 홍진호선수는 준비해온 쓸 빌드가 없었겠죠)
서지훈선수에게 무력하게 패배했습니다.
핫타이크
07/08/28 12:10
수정 아이콘
마술사님// 한가지 빼먹은 부분이 있는것 같은데,, 1경기에서 서지훈선수가 사운드에 문제있다고 어필한 시점은
저글링과 교전이 일어나기 전이었습니다.
그리고 제 기억으로는 메딕 나오기 전에 생머린만 있다가 잡아먹힌걸로 기억하는데..;;-_- 100% 확실하지는 않아요.
마술사
07/08/28 12:34
수정 아이콘
핫타이크님//
음 그런가요;; 저도 오래전 일이라 확실하지는 않네요;; 지금은 VOD도 없으니..다시볼수도 없고..
그건그렇고 핫타이크면 어스토 캐릭인가요..오랫만에 보는 캐릭터 이름이네요.
스테로이드
07/08/28 13:06
수정 아이콘
그때당시 임요환 선수의 4강 셧아웃의 파장은 정말 장난이 아니었지요 ..;;;

결승경기중 4경기만 놓쳤는데 , 기회가 되면 4경기를 반드시 다시 한번 보고 싶네요
오소리감투
07/08/28 17:59
수정 아이콘
제가 처음으로 1경기도 빼놓지 않고 본 리그네요...
서즐의 팬이 된 계기가 된 리그이기도 하고...
강도경과의 노스텔지어 게임이었나요?
12배럭에서 머린 한부대씩 새까맣게 뽑아대던 기억이 선한...
하하, 울트라 2부대가 머린 무서워서 도망다니던건 정말 신선한 충격이었어요~
아직도 테란 대 저그 결승전 중에 최고로 소름돋았던 게임 뭐냐고 묻는다면 올림푸스 osl 이라고 답하곤 합니다~
안단테
07/08/28 21:08
수정 아이콘
정말 제목 그대로 지금 생각해보면 낭만이 가득했던 스타리그 였네요.
결승전이 끝난 이후 무대 뒤에서 서럽게 울던 홍진호 선수 보면서 얼마나 마음 아팠었는지 한동안 정신없이 지냈던 기억이 떠오릅니다.
그 진한 아쉬움과 함께요.
아직도 폭풍저그를 기대합니다!! 화이팅~
07/08/28 23:40
수정 아이콘
......그런데 제가 알기로는 이윤열 선수가 졌던것으로 기억하는데요 개막전.....
아니었던가요.
MidasFan
07/08/28 23:52
수정 아이콘
정말.. so1 과 더불어 제 기억속에는 최고로 기억될 스타리그입니다.
07/08/29 00:58
수정 아이콘
JaeS님// 개막전은 이윤열 대 임요환! 이윤열 선수가 드랍쉽을 활용해 역전승 한 경기죠. 당시 임요환 선수는 초반에 멀티를 빨리 가져가서 유리했는데 자신을 도발한 이윤열 선수를 제대로 응징하겠다는 생각을 했는지 온리 탱크 물량으로 찍어 누를려고 했고 이윤열 선수는 그사이에 재빨리 드랍쉽으로 멀티 견제를 효과적으로 해 역전승을 이루었죠.

당시 올림푸스 A조는 정말 역대 최고의 경기력을 보여준 조라고 생각됩니다. 2001년과 2002년의 본좌테란 두명에 플토, 저그에 대표테란킬러들, 매 경기가 명경기였고 네선수 모두 1승1패에서 마지막 경기 승자가 8강 진출이었기에 끝까지 긴장감이 유지되었으며 죽음의 조 마지막은 그 유명한 엠씨용준을 탄생시킨 경기로 화려하게 마무리 되었죠. 낭만시대의 극치였다고 생각됩니다.
winnerCJ
07/08/29 08:06
수정 아이콘
제가 처음으로 본 스타리그도 올림푸스라서 서지훈 선수를 가장 좋아합니다. ^^
저는 당시 2경기까지밖에 못보고 집에 왔지만 다음날 우승했다는 말을 들었을때의 기쁨은...
루로우니
07/08/29 11:44
수정 아이콘
정말 잊혀지지 않는 대회죠..
전 결승 끝나고 혼자 이런생각을 했었는데
(결승상대가 홍진호 선수가 아니라 박경락 선수였다면
서지훈선수가 우승했을까 하는...)
이런생각을 한건 저 뿐인가요..?
07/08/29 13:51
수정 아이콘
루로우니님// 그당시에는 그런생각 하는 사람들이 많았죠..
파나소닉과 올림푸스의 결승 반대쪽이 조용호와 홍진호가 아니라 박경락이었다면 저그 첫우승은 훨씬 빨라졌을지도모른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1824 [기타] 성룡과 빗뎀업부터 단테까지, 내 취향의 뿌리를 찾아서 [9] RapidSilver14831 21/07/14 14831 9
70543 [기타] 2020년 게이밍 돌아보기 - (2) 오픈 월드 [10] RapidSilver13249 21/01/01 13249 7
68574 [기타] [모동숲] 제 섬 스샷입니다.(스크롤 김) [7] 소이밀크러버22963 20/05/30 22963 8
66604 [기타] 간만에 써보는 랑그릿사 이야기 [47] 토끼공듀10071 19/09/22 10071 3
66298 [기타] wow 클래식은 재미없을거라고 생각해요 [49] 꿀꿀꾸잉14372 19/08/10 14372 45
56170 [기타] 게임 속 자유도의 의미에 관하여 [16] redder9265 15/01/30 9265 24
54726 [기타] [좀보이드] 프로젝트 좀보이드 초보분들을 위한 팁 & 리뷰 [2] 메피스토125368 14/07/22 125368 1
47741 스타리그, 낭만을 증명하다. [25] becker7820 12/07/10 7820 18
46367 신화를 읊고 농담을 던지는 그대들을 위해 [5] 王天君5454 12/02/16 5454 17
42223 어제 MSL은 좀 재미있었는데 말이죠 [26] 박루미6677 10/07/16 6677 0
42178 2010 빅파일배 MSL 32강 E조 놀이터 - 본격,1위를피해야한다조 - [147] 박루미5983 10/07/08 5983 0
42175 2010 빅파일배 MSL 32강 D조 놀이터 [123] 박루미4602 10/07/08 4602 0
41743 경기관람, 이제 미래를 봅시다. [21] becker5477 10/05/25 5477 15
41468 승부조작건에 대한 협회와 미디어의 대처. [38] ipa5078 10/05/18 5078 4
41211 의심 그것은 아무것도 아니다. [18] 영웅과몽상가5574 10/05/08 5574 0
38758 My Life Would Suck Without You. [5] 라덱5573 09/08/26 5573 0
37348 [단편소설] 화이트데이 선물 [7] DEICIDE5348 09/03/17 5348 4
31905 2003 올림푸스. 낭만의 회상. [35] SKY923966 07/08/28 3966 0
31648 다시보는 명결승전. 올림푸스배 결승전 홍진호 VS 서지훈. [26] SKY925675 07/08/01 5675 0
31438 누가 박성준이고 누가 이제동인지 모르겠네요 [18] 하이6226 07/07/11 6226 0
30452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쉰아홉번째 이야기> [7] 창이♡5396 07/04/29 5396 0
30314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쉰여덟번째 이야기> [8] 창이♡2949 07/04/21 2949 0
30269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쉰일곱번째 이야기> [8] 창이♡4143 07/04/17 414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