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7/07 21:08:18
Name 信主NISSI
Subject 듀얼 토너먼트 대진.
챌린지리그의 부활과 함께, 챌린지리그와 스타리그를 잇는 '본래의 의미'의 듀얼토너먼트가 열리게 되었습니다. 기존방식을 고수한다면, 듀얼토너먼트의 기본대진은 이렇습니다.

A조 스타리그10위 vs 챌린지 7위, 스타리그 16위 vs 챌린지 1위
B조 스타리그9위 vs 챌린지 8위, 스타리그 15위 vs 챌린지 2위
C조 스타리그8위 vs 챌린지 9위, 스타리그 14위 vs 챌린지 3위
D조 스타리그7위 vs 챌린지 10위, 스타리그 13위 vs 챌린지 4위
E조 스타리그6위 vs 챌린지 11위, 스타리그 12위 vs 챌린지 5위
F조 스타리그5위 vs 챌린지 12위, 스타리그 11위 vs 챌린지 6위

그리고 스타챌린지와 스타리그의 현재순위는 이렇습니다.
스타리그
5위 박정석
6위 마재윤
7위 진영수
8위 김택용
공동9위 최연성, 김성기, 서경종, 신희승
13위 이재호
공동14위 이윤열, 원종서, 한동욱
스타챌린지
챌린지조1위(시드결정전진출) 오충훈,이성은,안기효,한승엽,이제동,염보성
챌린지조2위 김동건,윤용태,박성준(SKT T1),임재덕,박찬수,손찬웅

현재까지의 대진입니다.
A조 공동9위 vs 챌린지조2위, 공동14위 vs 시드결정전최종탈락자
B조 공동9위 vs 챌린지조2위, 공동14위 vs 시드결정전2차전탈락자
C조 김택용 vs 챌린지조2위, 공동14위 vs 시드결정전2차전탈락자
D조 진영수 vs 챌린지조2위, 이재호 vs 시드결정전1차전탈락자
E조 마재윤 vs 챌린지조2위, 공동9위 vs 시드결정전1차전탈락자
F조 박정석 vs 챌린지조2위, 공동9위 vs 시드결정전1차전탈락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7/07 21:23
수정 아이콘
박정석 선수 또 F조... F조는 그동안 참 징하게들 싸우는 조였는데 말이죠-_-;
박동훈
07/07/07 21:24
수정 아이콘
스타리그 4위도 원래 듀얼 대진에 포함되지 않았었나요??
위에 기존 기본대진에 스타리그 4위는 없는거같네여
07/07/07 21:26
수정 아이콘
박동훈님// 시드결정전에서의 한 자리가 4위입니다. 6명이서 1:1 해서 3명의 승자를 가리고 그 3명에 4위가 들어가서 시드결정전 2차전을 하죠. 물론 4위도 패배하면 듀얼로...
the hive
07/07/07 21:27
수정 아이콘
만의하나 박성준과 박정석이 같은조면..(....)
린카상
07/07/07 21:28
수정 아이콘
공동 9위중에;; 최연성 선수가 F조오면;;
07/07/07 21:40
수정 아이콘
예전 16강일 때 듀얼은 A조에는 스타리그 탈락자 3명과 챌린지 통과자 한명이 들어가고 F조에는 4위와 챌린지 통과자 3명이 들어갔던거 같은데...이번엔 어떠할지..
오우거
07/07/07 21:41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김택용 vs 박성준을 보고 싶습니다.
성사 가능한가요???? (이해력이 딸려서;;;;)
07/07/07 21:46
수정 아이콘
오우거님// 가능할 겁니다. 챌린지 2위 자리를 추첨으로 뽑는다면요[추첨이겠죠;?].

전 개인적으로 윤용태, 박성준, 임재덕 선수가 F조 안 왔으면 좋겠습니다[...]
[이러다 박정석, 박성준, 최연성 선수 등이 F조면;]
信主NISSI
07/07/07 21:47
수정 아이콘
음... 가장 죽음의 조로 예상되는건
E조, 마재윤-윤용태, 최연성-염보성?
7drone of Sanchez
07/07/07 22:52
수정 아이콘
늘 그래왔듯이 F조 기대기대 ^^
MisoPri_Ggu
07/07/07 23:05
수정 아이콘
그런데 스타리그 5~8위는 순위는 어떻게 매겨지는지...??
승률로 따져지나요??
07/07/07 23:49
수정 아이콘
MisoPri_Ggu님//
박정석 선수는 16강 3승, 8강 1승 2패로 4승 2패.
마재윤 선수는 16강 2승 1패, 8강 1승 2패로 3승 3패.
진영수 선수는 16강 2승 1패, 8강 1승 2패로 3승 3패.
김택용 선수는 16강 3승, 8강 2패로 3승 2패.
다승 다음 승률 같군요. 마재윤 선수와 진영수 선수 승률은 같지만...;
07/07/07 23:56
수정 아이콘
마산 갔다왔다가 이 글이 올라온 것을 보고 한 마디 더 붙입니다.
아직 원칙이 확정된 것은 아닙니다.

아시겠지만 듀얼 대진표 작성은 가안과 나안이 있습니다.
가안은 초기 버전이고 나안은 스타리그 8강자 두 명을
한 조에 편성한 버전이죠. 지금 쓰신 것은 가안을 기초로 한
대진 작성입니다. 제가 집에 들어가면 나안을 기초로 한
대진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스타챌린지 1위 결정전의
방식 변화로 인해 저 방식 자체가 완전히 흔들릴 수도 있다는 점을
상기하시기 바랍니다.

8강 순위가 박정석 > 마재윤 > 진영수 > 김택용인 이유는
박정석 선수와 마재윤 선수는 16강을 1위로 통과했으나 승수에서 박정석 선수가 앞서고
두 선수는 모두 8강을 1승 2패로 탈락했으므로 승수 우세가 원인이 됩니다.
진영수 선수는 일단 8강 1승 2패 탈락이지만 조2위 16강 통과로 박정석 선수와
마재윤 선수에게 모두 밀립니다. 김택용 선수의 경우는 말 그대로 8강에서 2패 탈락이
8위로 밀리게 된 원인이 됩니다.

그리고 자리가 확정된 선수가 있다면 스타챌린지 2위 통과자에서
같은 팀의 최소 분배는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고로
박정석 선수의 자리가 확정된 순간 임재덕 선수는 박정석 선수의
조에 들어가지는 않습니다.

나안으로 작성된 듀얼 대진표입니다.
A조 : 한동욱 vs 2위 통과자 - 이윤열 vs 원종서
B조 : 스타리그 조3위 vs 스타챌린지 6인 토너먼트 탈락자 - 스타리그 조3위 vs 스타챌린지 4인 토너먼트 탈락자
C조 : 스타리그 조3위 vs 2위 통과자 - 스타리그 조3위 vs 스타챌린지 6인 토너먼트 탈락자
D조 : 마재윤 vs 2위 통과자 - 진영수 vs 스타챌린지 6인 토너먼트 탈락자
E조 : 박정석 vs 2위 통과자 - 김택용 vs 스타챌린지 4인 토너먼트 탈락자
F조 : 스타챌린지 최종탈락자 vs 2위 통과자 - 이재호 vs 2위 통과자
信主NISSI
07/07/08 00:49
수정 아이콘
MisoPri_Ggu님//
온게임넷에서의 순위편성은
상위라운드의 조별순위->승률->하위라운드의순위->승률->재경기보다 본경기우선... 의 순서를 따릅니다. 그에 따른 설명은 hero600님이 해주셨네요.

hero600님// 제가 지난 2년동안 군대에 다녀와서 나안이란게 있는 줄 몰랐네요...
그런데 8강선수를 한조로 몰아넣는 방식이 아니라, 그냥 '추첨'방식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예전엔 조별로 종족과 팀을 안배했었는데... 그냥 추첨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087 차기 스타리그에 대한 약간의 제안. [3] 信主NISSI4091 07/09/16 4091 0
32052 그저 재미로 보는 각팀선수들의 개인리그 성적.(개인별 성적을 추가했습니다.) [18] 信主NISSI4916 07/09/12 4916 0
32025 지난 일주일간의 지나친 소란 [66] 信主NISSI5820 07/09/07 5820 0
31935 개인리그와 프로리그의 공존에 대한 제안. 시즌 분리. [10] 信主NISSI3868 07/08/30 3868 0
31805 차기시즌 진출자현황(2) [9] 信主NISSI5257 07/08/16 5257 0
31735 한동욱선수 이적요구 철회 [20] 信主NISSI7142 07/08/10 7142 0
31670 차기시즌 진출자현황(1) [16] 信主NISSI4434 07/08/03 4434 0
31661 3개의 맵으로 개인리그를 치루자. [17] 信主NISSI5040 07/08/03 5040 0
31641 완전섬맵. 2:2 팀플에서의 활용. [8] 信主NISSI4438 07/08/01 4438 0
31614 프로리그 서브리그의 도입 [33] 信主NISSI5187 07/07/28 5187 0
31580 서바이버토너먼트와 듀얼토너먼트의 종족구성비 [5] 信主NISSI3863 07/07/23 3863 0
31570 양대리그라운드진출기준 랭킹 [8] 信主NISSI4240 07/07/22 4240 0
31535 듀얼 대진에 대한 불만 표출.(수정) [40] 信主NISSI7594 07/07/20 7594 0
31532 7전 4선승제와 양대리그 주장. [17] 信主NISSI5332 07/07/20 5332 0
31503 [판타지] 2007프로리그가 연 4회였다면. [6] 信主NISSI4095 07/07/17 4095 0
31499 온게임넷 개인리그 방식 제안. [7] 信主NISSI3873 07/07/17 3873 0
31442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 7월 로스터 [16] 信主NISSI33961 07/07/12 33961 0
31432 무승부경기는 무승부로 하자. [21] 信主NISSI4935 07/07/11 4935 0
31430 이기는것. 그것을 이뤄내는 이스트로. [11] 信主NISSI4770 07/07/10 4770 0
31406 듀얼 토너먼트 대진. [14] 信主NISSI6732 07/07/07 6732 0
31345 개인리그, 덩치를 키워라. [8] 信主NISSI3857 07/07/03 3857 0
31317 개인리그의 제3의 물결. [4] 信主NISSI4185 07/07/01 4185 0
31277 서브리그, 그리고 팀단위리그의 도입. [8] 信主NISSI3832 07/06/28 383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