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6/13 02:47:49
Name neuromancer
Subject 염보성, 어둠 속에서 빛나는 별
얼마전 방송된 스타브레인을 통해서 "급호감"을 얻게 된 염보성 선수. 가장 어린 선수로 활약하던 시절이 엊그제 같은데, 어느새 중견급이 되었습니다. MSL에서 "숙적" 박태민 선수와 만나서 허물어지고 말았지만 현재 이주영배 마스터즈를 앞두고 짧게나마 응원글을 써보고 싶어졌습니다.

염보성 선수는 그 뚫기 힘들다는 "커리지매치"에서 0패, 12연승을 기록하며 준프로가 됩니다.  물론 테란이라는 종족의 특성도 작용했겠지만 이러한 놀라운 성적을 거두고 이른바 슈퍼 루키로 주목받게 됩니다. 그리고 챌린지리그 우승으로 스타리그 시드권을 거머 쥐게 됩니다. 이렇게 초고속으로 성장하는 염보성 선수를 보면서 농담삼아 10년차이인 임요환 선수와 대전하게 되면 참으로 재미있겠다는 농담을 하곤 했었습니다.

그런데 염보성 선수는 프로리그에서는 제 몫을 톡톡히 해내면서 "박지성"라인이라는 이름까지 얻게 된 것에 반해 눈에 띄는 개인전 성과를 얻지는 못합니다. 주목 받았던 온게엠넷 스타리그에서 박명수 선수와의 혈전에서 지면서부터 시작된 것 같습니다.

간혹, 사람에게는 어떤 기세라는 것이 존재하고 계기라는 것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이성은 선수가 타고 있는 기세, 송병구 선수가 보여주는 경기력 같은 것은 한 선수가 어떤 절정기에 이르렀음을 보여주는 반증입니다. 염보성 선수가 초기에 박명수 선수와 부닥치기 전까지가 그랬습니다. "앙팡테리블"이라 불리며 그 알수 없는 물량, 그 밀어 붙이고 찔러들어가는 예리함 등이 최연성 선수와 많이 흡사하면서도 두려움을 모르는 듯한 마력이 있었습니다. 그러나...12시 종이 친 뒤에 신데렐라 처럼 박명수 선수에게 지고 난 다음의 염보성 선수는 왠지 "두려움"을 알게 된 것 같은 느낌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두려움을 뚫고 나아가는 사람들이 존재합니다. 매일 매일 아침마다 회사에 나가기 죽도록 싫다고, 두렵다고 생각합니다. 매일 매일 클라이언트와 상담하면서 내가 치는 이 순간의 말 한마디가 거짓말이 될까봐 전전긍긍하게 됩니다. 그러나 그 스트레스를 뚫고 성과를 올리게 되었을때, 좋은 결과를 얻게 되었을 때의 기쁨은 매우 큽니다. 프로게이머의 삶이라고 크게 다를 것 같지는 않습니다. 염보성 선수의 최근 행보는 비록 두려움을 깨달았지만 그래도 앞으로 나아가려는 의지를 읽습니다. 그래서 비록 승리를 거두지 못한다 하더라도 이 선수가 언젠가는 그 큰 그릇의 형태를 우리에게 보여줄 것이란 기대를 가지게 됩니다. (아마도 이런 면에서 가장 매력적인 선수이자 모범답안을 보여주는 선수가 임요환 선수인 것 같습니다.)

염보성 선수의 매력은 게임 안에서 부터 묻어나오는 발랄함과 명랑함, 그리고 그 속을 알 수 없는 깊이입니다. 전략적이라고 부르기도, 물량형이라 부르기에도 걸맞지 않은 스타일이란 생각이 듭니다. 한순간 전략적이었는데 다음 순간 밀려드는 물량이라고 해야할까요. 스타일 상으로는 최연성 선수와 많이 비슷 (본인이 가장 좋아하는 선수)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파는 다른 것 같은 모습이라 재미있습니다. 이런 재미있는 게임을 하는 선수라면, 스타 브레인에서 나온 것 처럼 게임을 재미있어해하는 선수라면 좀 더 높은 자리로 올라갈게 될 것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안 지는 색이야, 이기는 심 시티 등의 명언을 남긴 선수라면 게임을 즐겁게 생각한다고 봐도 무방하지 않을까요?

MSL 와일드 카드전을 앞두고, 비록 지금은 앞이 잘 보이지 않아 두려운 밤일지도, 염보성 선수가 그 속에서 빛나는 별이 되어주길 바라는 마음에 적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6/13 03:12
수정 아이콘
스타브레인에 나오는 염보성 선수는 게임을 참 긍정적으로 즐겁게 하는 듯해서 보기가 좋습니다.
패배하는 순간까지 아군에게 불리하다, 어렵다는 말을 하지 않고 이길 수 있어라고 말하는 것.
오늘 경기에서 보여준 모습도 그렇고 그 긍정적인 마인드와 포기하지 않는 근성이 염보성의 이런 꾸준한 발전의 원동력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07/06/13 04:02
수정 아이콘
꼭 중요한 경기에서 저그에게 떨어지는 모습이 아이러니 하더군요...
기록상 가장 나쁜건 테란전인데도...
게레로
07/06/13 04:34
수정 아이콘
염보성선수가 가장 주목받았을때가 조용호, 홍진호 선수를 3차례(?)에 거친 혈투끝에 잡고, 결국엔 강민선수까지 3:2로 잡으면서 스타리그 4번시드를 받을때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참 이상하게도 스타리그에서 기대만큼 올라가지 못했었죠.
후루꾸
07/06/13 04:49
수정 아이콘
보성보성 고고~~
밀가리
07/06/13 08:28
수정 아이콘
원래 염보성선수.. 아마추어 초기시절에는 저그였는데.. 흐흠.. 지금은 정상급 테란유저네요.
돌은던지지말
07/06/13 09:24
수정 아이콘
KTF선수들은 염보성선수만 만나면 작아지죠 ㅠ,ㅜ.... 그 언제지? 첼린지에서 박정석선수를 시작으로 조용호 홍진호를 잡고 첼린지 결승에선 강민선수,(여기까진 위에있네요) 스타리그에선 이병민선수까지 잡아버리는.... 뭐 케텝올킬이네요.....;; 참 그나저나 홍진호선수는 스타리그 언제오려나?
발가락
07/06/13 09:27
수정 아이콘
비록 지기는 했지만.. 어제 stx 와의 4경기..

그 후덜덜한 방어능력과 열정, 끈기를 보고서는...

미워할래야 미워할수가 없다는...

딱.. 다부진 느낌이잖아요..
07/06/13 10:23
수정 아이콘
제눈에 가장 강력한 테란입니다 물론 지금 최고의 플레이어는 아니지만..
그리고 데뷔때 부터 다른 분들이 최연성스타일이다 라고 하지만
제눈엔 이윤열 선수를 보는듯합니다.자유로운 경기스타일..
암튼 보성선수 힘내세요
구경플토
07/06/13 10:43
수정 아이콘
마냥 귀여워요. 송병구 선수와 더불어 정말 귀여운 선수들입니다.
그리고 강하죠.
카이레스
07/06/13 10:50
수정 아이콘
개인전에서 뚜렷한 성과가 없어서 대놓고 주장하지 못하지만
기량만으로는 현 테란유저중 최고라고 생각하는 선수가 염보성 선수입니다. 친한 사람한테는 염보성이 언젠가 테란 본좌가 될거다 라고 말하곤 하는데 어떻게 될지 기대가 되네요^^
어제 경기도 엄청 심하게 기운 경기였지만
'그래도 염보성이라면..' 하는 기대를 갖고 봤습니다. 지기는 했지만
그 엄청난 수비력과 끈기에 박수를 치게 되더군요.
Karin2002
07/06/13 11:43
수정 아이콘
그 KTF선수들을 압살하던 시절에는 그가 웬지 얄미웠지만
이젠 더 이상 미워할 수 없는 친구더군요. 저도 팬 됐습니다^^;; 개인전에서 4강이상 가서 꼭 다전제를 보고 싶네요^^
07/06/13 12:47
수정 아이콘
박명수선수와 했던 경기가 어떤거죠? 궁금하네요! 알려주세요!
저그본좌
07/06/13 12:56
수정 아이콘
염보성vs박명수는 온게임넷 신한 시즌1 16강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07/06/13 13:21
수정 아이콘
이윤열선수보단.....최연성선수랑 많이비슷해보이는데요 스스로도 준프로시절부터 최연성선수랑 비슷해지려고 노력했다고합니다.(인터뷰에서)
심리전잘하고 배짱좋고 침착하고 컨트롤은 뛰어나지않지만 수비잘하는 특성들을 비교해보면 가장비슷한게이머로는 최연성선수가있네요.
07/06/13 13:40
수정 아이콘
이윤열, 진영수와 더불어 프로리그 최강 테란이죠... 갠적으로 프로리그에선 이윤열보다 안정적이고 진영수보다 강해 보입니다. 개인리그는 무엇보다 '운'이 없는 편이죠..
심심하다
07/06/13 17:48
수정 아이콘
전 염보성 선수가 왜 그렇게 귀여운지.... +_+;;
사고뭉치
07/06/13 22:53
수정 아이콘
나이에 맞게 발랄하면서 실력까지 좋으니 마냥 귀엽고 이뻐보입니다.
이번 와일드카드전에서 멋진 모습 보여주고 이 한고비를 넘을수 있으리라 믿어 의심치 않아요!
염보성 화이팅!!! *^^*
ミルク
07/06/14 00:20
수정 아이콘
방송 경기 데뷔전이 MBC 서바이버에서 Vs 홍진호 in 알포인트 였습니다. 홍진호 선수가 꼼짝도 못하고 지지친 상대가 아직 고등학교 입학조차 안한 어린 선수라는 것이 놀라웠습니다.

박명수 선수에게 한창 잘 나갈때 패배해서 좀 아쉬울 따름입니다. 개인적으로 로얄로더 1순위라고 생각했는데..
07/06/14 09:23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랑 가장 많이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두번째 천재라고나 할까... 최연성선수는 기본적으로 물량에 힘을 바탕으로 두지만 염보성선수는 자유자재입니다~ 치우침이 거의 없어보입니다. 정말 성준선수 담으로 젤 좋아하는 선수 (>.<)
07/06/15 16:21
수정 아이콘
커리어만 딸리지.. 기록상으로는 최고죠.
승률 정말 놀랍습니다. 데뷔후로 고승률 쭈~~~욱 유지하고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773 # 김택용 현재까지의 성적. [40] 택용스칸5823 07/11/10 5823 1
32556 # 김택용의 데뷔 ~ 현재까지 [7] 택용스칸4827 07/10/27 4827 0
32171 # 김택용 선수의 공식전 + 이벤트전 전적입니다. [35] 택용스칸5981 07/09/29 5981 0
32117 안기효 선수의 지명권에 대해 말입니다. [19] Fim8772 07/09/20 8772 0
32104 서양사와 스타 흐름의 짜맞추기 [18] 더미짱5249 07/09/18 5249 0
32083 김택용 선수의 데뷔 이후 성적표. [22] 택용스칸6997 07/09/15 6997 0
32074 김택용을 잡을 선수는 누구일까요? [63] 나다8827 07/09/14 8827 0
31891 비시즌에 가장 빛난 테란. 진영수의 2007시즌 성적보기. [19] Leeka5292 07/08/26 5292 0
31869 어제 경남-STX 마스터즈 마지막 경기 보신분 계신가요? [38] 벨리어스5913 07/08/24 5913 0
31771 최근 1년간 리그 우승자 정리. [18] Leeka4043 07/08/12 4043 0
31375 현재의 기준으로 과거를 평가? 기욤 패트리 & 이기석 [49] Sol_Dide5852 07/07/06 5852 0
31368 양대 메이저가 아니면 다 이벤트전인가? [78] Phantom5089 07/07/05 5089 0
31222 프로리그 비판 [18] 信主NISSI5364 07/06/25 5364 0
31218 “오늘의 마재윤의 패배는 그 의미가 다르다” [29] PicnicTerran7442 07/06/24 7442 0
31200 마재윤. 대테란전 5전 3선제 기록. [16] Leeka4628 07/06/24 4628 0
31091 '가위바위보'에 대처하는 강자들의 자세 [50] Forgotten_6191 07/06/17 6191 0
31030 염보성, 어둠 속에서 빛나는 별 [20] neuromancer4722 07/06/13 4722 0
30929 테란 괴물 부활의 기대, 저그 트로이카 저그의 시대, 프로토스 신구의 약진 [8] 하늘유령6112 07/06/02 6112 0
30922 [곰TV 2 마재윤vs박태민 그 후] #2 삼년불비 우불명(三年不飛 又不鳴) - 라이벌의 의무 [13] 점쟁이5896 07/06/02 5896 0
30767 WWI 4강 멤버들 상대전적 정리. [22] Leeka7980 07/05/19 7980 0
30744 스타리그 16강 2주차 경기, 짤막한 관전평 [9] ls4237 07/05/18 4237 0
30641 임요환 선수의 MVP수상이 가지는 의미. [36] 협회바보 FELIX7135 07/05/10 7135 0
30461 왜이리 성급한거죠? [30] 더미짱6383 07/04/30 638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