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4/22 13:44:26
Name 김창훈
Subject 프로리그 방식에 대한 제안입니다.
안녕하세요.

프로리그를 더 재미있게 만드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에 대해서 생각해보았습니다.

물론 누군가가 먼저 한 생각일 수도 있겠지만...

제가 군인이라 여기에서 무슨 이야기가 도는지 다 체크할 수 없기에

일단 제 생각을 적어보겠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프로리그의 컨셉은...타 종족전을 활성화 시키고, 그렇다고 동족전을

완전히 없애지는 않으며, 홈 과 원정을 구분하는 것입니다.


우선 5전 3선승 제를 유지합니다.

개인전 2경기, 팀플 1 경기, 개인전 1경기 , 에이스 결정전 한 경기도 유지합니다.



개인전 3경기는

테란 저그

저그 프로토스

프로토스 테란 으로 구성합니다.

그리고 맵은 "테란 대 저그" 맵 "저그 대 프로토스 맵", "프로토스 대 테란" 맵 3개를 만듭니

다.

밸런스는 5:5를 지향합니다.

추세나 유행에 상관없이 테란>저그, 저그>프로토스, 프로토스> 테란 으로 간주 합니다.



그리고 홈팀은 개인전 3 경기 중에서 2경기를 선택하여, 유리한 종족으로 플레이 합니다.

예를들면, 공군과 육군(제가 육군 소속 -0-;)이 경기를 하는데. 공군이 홈, 육군이 원정입

니다.

홈팀 공군은  "테란 저그", "저그 프로토스" 를 자신이 유리한 종족으로 플레이하기로 결정

합니다. 즉, 공군이 "테란 저그" 대결에서 테란을, "저그 프로토스" 대결에서 저그를 합니

다. 단, 동일선수가 같은 "테란 저그"를 2 경기 연속으로 나올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공군에서 전경기에 임요환이 "테란 저그" 에 나왔다면 이번에는 다른 선수가 나

와야 합니다. 그리고 홈팀은 경기석을 좌, 우 중에 선택할 수 있습니다.



혹은 둘 중에 한 경기를 홈팀이 원하는 동족전을 할 수 도 있습니다.

예를들면 공군은 "테란 저그" 대신에 테란 대 테란 혹은 저그 대 저그 를 할 수 있습니다.

단, 동족전 제안은 한팀당 (홈과 원정을 불문하고) 2경기 연속으로 할 수 없습니다.



이렇게 해서 첫번째, 두번째 경기가 결정됩니다. (순서는 홈팀이 정합니다.)


세번째는 2:2 팀플 입니다. 지금과 같습니다.


네번째는 나머지 개인전 1경기 입니다. 이번에는 원정팀이 유리한 종족을 합니다.

저 위의 예제를 기준으로 진행하면, 공군이 테란, 육군이 프로토스를 합니다.


마지막은 에이스 결정전으로, 지금과 같습니다. 서로간에 비공개 결정입니다.

에이스 결정전 맵은 홈팀이 미리 정해둡니다. (개인전 맵 중 하나입니다.)



결국 동족전을 아예 없애지는 말고, 최소한으로 유지한채, 타 종족전 위주로 진행하고

홈과 원정의 개념을 도입한 것입니다.


자연스럽게 각 팀당 2경기 (홈, 원정)을 해야 합니다. 지금처럼...


순위에서도 홈과 원정의 개념을 도입해서...

홈 경기 승리는 승점 2점.

원정경기 승리는 승점 2.5 점으로 계산하고

홈이든 원정이든 3-0 으로 이기면 +1 점을 보너스로 줍니다.



승점 순으로 순위를 결정하고, 승점이 같다면 원정에서 더 많이 이긴 팀을 위로 올립니다.

그것도 같으면, 원정에서 불리한 종족전 개인전을  누가 많이 이겼느냐로 결정하고, 그것

도 같으면 순위 결정전으로 합니다.  




7전 4승제 에서도 이것을 응용할 수 있을 겁니다. 아직 그거까지는 자세하게 기획하지 않

았지만..




혹은 홈 원정이 없이 대등하게 싸워야 할 때도 있을 겁니다...결승전 처럼 7전 4승제..

그때는 각 팀당 2개의 개인전 세트를 선택하고 거기서 유리한 종족으로 플레이 합니다.

예제 ) 공군은  "테란 저그", "저그 프로토스" 선택으로 테란, 저그 플레이

육군은 "저그 프로토스", "프로토스 테란" 선택으로 저그 , 프로토스 플레이


물론 거기서 동족전을 원한다면 한팀당 1경기에 한해 가능합니다.

이 개인전들 순서를 어떻게 해야 할지..그게 아직 고민입니다.

그리고 팀플 2개

마지막 에이스 결정전 1개

이렇게 구성합니다.

이상 제 생각이었습니다. 좀 더 재미있는 프로리그를 볼 수 있기를 항상 바라고 있습니다.

그럼 다들 좋은 하루 되세요~

ps...게임 자유 게시판이 있는 줄 모르고...자유 게시판에다 적었었는데..;;

암튼 다시 여기에도 올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폭풍이어
07/04/22 13:49
수정 아이콘
너무 복잡...차라리 같은맵에서 동일종족 연속출지 정지가 젤 빠른듯하네요
君臨天下
07/04/22 14:38
수정 아이콘
종족 맵을 구분하는 것도 그렇고 왜냐면 각자의 생각이 다른 것도 있으니깐요. 그리고 좀 복잡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0456 마재윤을 응원하며.. [30] Boxer_win6002 07/04/29 6002 0
30455 - 명가의 자존심 - 뇌제토스 윤용태! [26] cald6457 07/04/29 6457 0
30454 순전히 입스타적인 생각.. 프로토스대 저그.. [29] 체념토스6053 07/04/29 6053 0
30452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쉰아홉번째 이야기> [7] 창이♡6052 07/04/29 6052 0
30450 스타2가 나오면 E스포츠가 망하는 이유 [38] berserk7366 07/04/29 7366 0
30449 프로의 의미. 프로의 세계. 그리고 팬.. [6] Architect4143 07/04/29 4143 0
30448 몬티홀..... 토토전 선방어는 안되는가..? [11] Solo_me4072 07/04/29 4072 0
30447 DMZ 맵 경기 결과들 재 정리. [20] Leeka6586 07/04/28 6586 0
30446 가장 원초적인 일꾼 Dog Fighting in DMZ!! ... 생각보다 재밌네요~ [39] 메카닉저그 혼6306 07/04/28 6306 0
30445 요즘 시대에도 이런 역전극이 나오는군요 [28] 태엽시계불태7460 07/04/28 7460 0
30444 스타크래프트의 팬과 안티 [22] 삭제됨4146 07/04/28 4146 0
30443 프로리그의 키워드. 전상욱. [28] 협회바보 FELIX6007 07/04/28 6007 0
30442 스타로 비롯된 고정관념 이제 껠 때도 되지 않았나요? [42] 큰나무5089 07/04/28 5089 0
30441 방송사 vs 협회 [16] rakorn4236 07/04/28 4236 0
30440 [sylent의 B급칼럼] “임까지마” [84] sylent8528 07/04/28 8528 0
30439 스타2가 나와도 크게 달라질 것은 없습니다. [36] 안여4949 07/04/28 4949 0
30438 오래전부터~ 간절한 소망은 스타크래프트2가 아니였습니다. [3] Pride-fc N0-14481 07/04/27 4481 0
30437 [PT4] 4강 2차전 방송, 29일 일요일 오후 5시! [5] kimbilly4018 07/04/27 4018 0
30436 스타크래프트2의 발매가 미치는 E스포츠계 동향 [27] berserk5579 07/04/27 5579 0
30435 개인적으로 플레이 외적으로 호감가는 선수들 [11] 마녀메딕5068 07/04/27 5068 0
30434 스타크래프트 2가 e-스포츠 시장을 바꿀 수 있을까? [26] ls5403 07/04/27 5403 0
30432 I LOVE ACE~~~ [10] 리콜의추억4916 07/04/27 4916 0
30431 조지명식을 보고 나서 소감. [26] 파벨네드베드7454 07/04/27 745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