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2/25 19:20:00
Name 가나다
Subject 마재윤선수의 뜬금없는러커..
저는 저그 유저로서 공방을 한 1000판 정도했습니다.

그리고 저테전을 할때 가장 큰 유혹을 느끼는때가 있습니다.

특히 아카디아나, 루나처럼 싸울 공간이 많은 맵에서 3해처리에 성공하고 3번째 가스를 몰래 피면서, 뮤탈 위주로 안가고, 러커를 갔을때

약 10기정도의 러커와 발업 저글링 2부대 약간 안되는 순간.

테란의 주력과 항상 맞붙어 하이브 시간을 벌려고 하는 유혹입니다.(물론 꼬라밖다 진적이 2배는 많습니다 성공한적보다..)

이런 사설을 늘어놓는 이유는 마재윤 선수의 침착함, 그리고 상대의 심리를 파고드는 생각때문입니다.

1. 진영수 롱기누스2 5경기..

이경기에 9시에 드론이 파뱃에 잡히고 2마리의 히드라는 체력이 15 60남은 상황에서 9시를 안지키고 중앙에서 러커 변신 -> 11시로 가는 언덕에 스탑 러커로 위치합니다.

보통은 러커로 9시를 수비하고 병력을 막으려고 하죠..


2. 이윤열 롱기1경기
1경기 중반에 김태형 해설이 지적한 러커 1마리.. 11시 중멀을 견제하러 가는 테란 병력을 모조리 할퀴고 죽인머린은 1기지만, 메딕의 마나를 오링시키기에는 부족함이없었습니다.
그리고 옵저버가 잡아준 러커의 킬수는 11...(13일수도) 그만큼 활약을 잘햇다는 것이죠.

3. 이윤열 리템 3경기

이경기에서 놀란건 3러커의 탱크 잡기가 아니었습니다.
그타이밍에 테란 본진에는 러커 3기와 뮤탈 6~8기 그리고 다수의 저글링이 침투합니다
하지만, 마재윤 선수는 2기는 빈벙커 근처에 1기는 정확히 이윤열선수가 회군하는 루트에 심습니다..

사실 이정도 되면 공방에서는 펭귄 가동 + " 아 xx 너 맵핵 ?" 소리 나옵니다.

결론.. 과거 전투의 핵심의 얼마나 러커를 정확히 버로우하고, 저글링으로 러커가 버로우할동안 시간을 벌고 화력이 되느냐 였습니다.

그러나 , 노점상 단속 테란이 유행하고 테란의 부자형 맵이 될수록 테란의 난전이 아닌 저그의 난전이 중요해졌다고 봅니다.

특히 소규모 러커의 경로 방해는 병력을 죽이지 않아도, 메딕의 마나소모 심화 스캔의 낭비, 베슬의 동반하라는 압박, 테란 이동의 제한등 많은 효과가 있습니다.

물론 줄어드는 저그의 병력이 만만찮은 만큼 저그의 수비력과 침착함이 매우 중요하죠.
(롱기1경기에서 마재윤 선수는 본진까지 3번이나 위기를 맞지만, 러커->러커 디파일러->울트라리스크로 막습니다)

어쨋든 멋지게 드러나는 전투는 아니지만, 저그 유저로서 저그가 가진 작은 패 하나를 얻게되서 무척 기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제3의타이밍
07/02/25 19:21
수정 아이콘
마메 병력이 이동하는 루트를 다 꿰고 있다는 느낌이 강하죠 러커위치들이
그리고 띄엄띄엄 있는 소수러커 제거할때 테란의 심적 압박도 꽤나 크구요
디파일러 근처 타이밍 되면 초단위의 승부니까요
이직신
07/02/25 19:24
수정 아이콘
항상 마재윤선수의 공격을 보면 넓은 시야를 활용해서 테란이 한방을 치고 나올때 그 뒤를 무는 매복병력이 존재하더군요. 한방 유닛이 지나간 자리에 럴커버로우를 해서 추가병력을 끊어주던가.. 테란이 자신의 진영쪽에 당도했을때 뒤에 기다리던 병력과 본진병력으로 쌈싸먹기를 하던지.. 모아서 한번에 팍~ 싸우는게 아니라 맵을 전체적으로 이용하면서 유닛을 군데군데 산개 시켜놓는 경우가 꽤 있더군요.
WizardMo진종
07/02/25 19:30
수정 아이콘
2번은 해설진들이 모르더군요 럴커 버로우된게 킬수가 10이넘었는데 그건 당연히 언급해줘야죠;;
저그최강 박태
07/02/25 19:48
수정 아이콘
예전에 김동준 해설이 그랬던가요?
마재윤 선수야 말로 가장 부지런한 저그유저라는.. 어제 경기를 보면서 다시한번 고개를 끄덕거릴만한 표현이었습니다.
피카츄
07/02/25 23:49
수정 아이콘
현 프로게이머들 중 판을 제일 넓게 짜고 나오는 선수가 아닌지 생각해봅니다.
임기응변이 정말 극에 달한 선수나 마재윤 선수 그 이상 넓게 판을 짜오지 않는 이상
여전히 마재윤 선수의 독주는 지속될 것 같습니다.
07/02/26 00:52
수정 아이콘
정말 경험에서 나오는겁니다,,,
저도 저그유저로서 공방이든 옛웨스트 효든 아시아 나모모든 브레인 등등 다합쳐서 2000판 가까이 한것 같은데요,,,
테란과 중앙싸움을 하든 테란과 한방싸움을 하든 러커를 맵에 뿌려 놓기 쉽지않습니다,,,
과연 테란이 여기로 올까,,, 에이 그냥 차라리 병력에 합세시켜서 화력 늘리자,,,
대부분 이런생각인데,,, 마재윤선수,,,수많은 연습의 경험과 배짱이겠죠,,,
여기에 러커를 심어놓으면 테란이 분명지나가겠지,,, 그런점 저그유저로서 너무도 부럽네요^^;;;
도마뱀
07/02/26 01:20
수정 아이콘
마재윤... 사소한 플레이의 대가.... 사소한 것들을 통해서 그의 운영은 완성된다...
I have returned
07/02/26 10:11
수정 아이콘
요즘 테란들 추세가 저그가 멀티 못먹게 베슬이나 탱크 나오기 전에 자유자재로 센터를 휘젓고 다니는 건데요
마재윤 선수처럼 이곳저곳에 매복럴커를 사용하면 재미가 쏠쏠하더군요
저그더러 투가스만 먹고 테란을 상대하라는 비양심적인^^ 테란 유저들을 응징하는 재미랄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0886 [연재]Daydreamer - 13. 이방인(2) [2] kama4870 07/05/29 4870 0
30858 [곰TV 2 마재윤vs박태민] 이것은 또다른 사제 대결? 관광하느냐 관광당하느냐 [59] 점쟁이6975 07/05/26 6975 0
30811 [곰TV 2 응원] 몽상가 날라토스 - 우리들의 꿈은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13] 점쟁이4176 07/05/23 4176 0
30773 스타크래프트 2 유닛에 대한 설명과 예상, 두 번째 [17] ls6459 07/05/20 6459 0
30763 스타크래프트 2 유닛에 대한 설명과 예상 [43] ls8686 07/05/19 8686 0
30709 1.15패치가 나왔습니다.(수정) [32] Kay_kissme13875 07/05/16 13875 0
30647 [응원글]폭풍이 밀려온다. [16] Axl3555 07/05/10 3555 0
30632 부인할 수 없는 각 종족별 본좌. [21] 협회바보 FELIX5490 07/05/10 5490 0
30591 ppp 사태를 보며~ [6] 유용철4255 07/05/08 4255 0
30211 박태민 선수 참 미치겠군요. [11] 더미짱6554 07/04/12 6554 0
30208 아니... 박태민선수.. 진짜 이럴수 있습니까?? [32] 박지완8323 07/04/11 8323 0
30180 아직 진화는 끝나지않았다. -저그편- [12] aura4219 07/04/07 4219 0
30079 정말 파이터포럼 정신 똑바로 차려야겠습니다. [39] 난동수8110 07/03/15 8110 0
29857 구단을 해체하고 개인선수중심으로 만든다면 과연 스폰서가 붙을까요? [126] zillra5729 07/03/05 5729 0
29730 최연성과 마재윤은 닮았다. [11] seed4933 07/03/02 4933 0
29693 테란은 x사기종족이 아니다 [31] sinjja4187 07/02/28 4187 0
29691 저그의 버로우개발의 유용성 [18] bookHunter6753 07/02/28 6753 0
29634 테란이 마본좌를 무력화 시키려면 어찌해야 하나요? [26] 박대장3950 07/02/26 3950 0
29614 왜 이윤열 선수의 기량이 전부 발휘되지 않았다는건가요? [39] AgainStorm4155 07/02/26 4155 0
29597 마재윤선수의 뜬금없는러커.. [8] 가나다4993 07/02/25 4993 0
29534 마재윤을 상대하는 테란.. [11] 캇카4201 07/02/24 4201 0
29365 저그 전술의 역사 - 잊혀진, 혹은 진행중인. [7] 엘런드4082 07/02/21 4082 0
29299 온게임넷이 16강으로의 회귀... [25] 골든마우스!!5566 07/02/18 556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