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2/24 20:42:43
Name 정령
File #1 ma.JPG (142.4 KB), Download : 18
Subject 마재윤.. 마재윤.. 마재윤...




아..

어떻게 글을 시작해야될지 모르겠네요..

정말 서지훈선수가.. 우승했을때, 그이상으로  그 느낌처럼 소름이 돋는다는 느낌밖에 안드네요..

정말 씨제이 엔투스...

슈마지오...

지오..

계속 지오의 팬이었으면서..

이런 느낌을 받게된건 또 오랜만이네요..

아..정말 너무 감동이었습니다 ㅠ_ㅠ

그 경기력앞에서 정말 소름이 돋는다는 표현밖에 못하겠네요..

특히..

씨제이 엔투스를 대표해서 (?) 이거였나 아무튼 게임시작하기 전에

그 멘트를 듣고..

이길수 있을거야! 라고 생각하면서도

떠는 마재윤선수보면서 또 같이 떨고..

정말 멋있었습니다.

엄마 사랑해요 이후로 ㅠ_ㅠ 이런 감격의 순간이 또오다니..

아 횡설수설 했네요..

참 결승진출이 확정되는 그순간에 응원의 글을 여기다가 쓰고 싶었지만

예전에 투싼배일때.. 여따가 글쓰고 났더니.. 져버린 기억때문에 쓰지도 못하고 이러고 있었는데

이기고 나서 지금에서나 쓰네요..

ㅠ_ㅠ 수고하셨습니다.

ps: 사진은 컴터로 막 캡쳐한거라.. 화질이 별로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2/24 20:44
수정 아이콘
정말 감동입니다.
Jeff_Hardy
07/02/24 20:45
수정 아이콘
역시 부두에러군요..
본좌의 경기력이 너무 막강해서일까요.. 어쩐지 결승전이 시시하군요..
제3의타이밍
07/02/24 20:46
수정 아이콘
이게 얼마만의 네임콜인가요.
전율이었습니다
Maaaaaaaa
07/02/24 20:46
수정 아이콘
마재윤선수 2006시즌에 도대체 얼말 번겁니까, tv만 틀면 마재윤선수가 상을 받으니,
연성,신화가되
07/02/24 20:47
수정 아이콘
Sieg

Heil

sAvior !!!!!!!!
07/02/24 20:48
수정 아이콘
CJ는 이게 도대체 몇번째 우승인가요.
정말 엄청난 팀이란 생각밖에 안 듭니다.
그래서그대는
07/02/24 20:48
수정 아이콘
마재윤선수가 본좌라고 하면 OSL 우승도 못했는데 무슨본좌냐고 그랬는데 드디어 한을 풀었내요 마재윤선수 대박이네요
1경기의 그 경기력은 어떤 형용사로도 표현할수없네요
연성,신화가되
07/02/24 20:50
수정 아이콘
1경기 정말 울트라들 튀어나오면서 5시드랍 될때,,
그 감동이란....으아!!
이건 김동진..옵저버가 일부러 한 반전연출인듯
07/02/24 20:50
수정 아이콘
닉네임 마에스트로가 적당하다고 생각했는데, 오늘 보니까 그걸로는 부족한 느낌이네요.
제3의타이밍
07/02/24 20:50
수정 아이콘
Unbelievable
Untouchable
07/02/24 20:51
수정 아이콘
사실 그동안의 논쟁들이 심하기도 하고 맵도 그래서 좀 걱정이 됐었는데, 1경기 제외하면 확실히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는 느낌이었습니다. 그만큼 마재윤 선수가 강력했었던 것 같네요.
07/02/24 20:51
수정 아이콘
이윤열이 마재윤만 만나면 힘을 못쓰는군요. 상대전적이 11:3 이나 되어버렸습니다. 두 선수가 경기한 경기를 오늘까지 전부 본 결과, 이윤열의 대 마재윤 전은 유독 잔실수도 많고, 컨트롤도 잘 안되고 마재윤의 흔들기에 너무 휘둘리고 그러네요. 오늘 경기는 슈퍼파이트 와 교복배 결승이 오버랩되는 결승이었습니다. 2경기의 기가막힌 타이밍 하나를 제외하면 전부 압도당했죠.
07/02/24 20:54
수정 아이콘
마재윤선수에게 기 안죽고 끝까지 저항이라도 해본 테란은 변형태선수뿐이로군요;;
진영순선수도 스코어상으로 비등했구요...
CJ-처음이란
07/02/24 20:54
수정 아이콘
사랑한다
피카츄
07/02/24 20:55
수정 아이콘
마에스트로로도 부족하죠
언터쳐블
[법]정의
07/02/24 20:56
수정 아이콘
닉네임이 부족하다는 이야기는 할필요없죠. 하여간 축하합니다. 마재윤선수. 원래본좌였습니다. 이제 누구도 따지지못할 도장을 찍으셨습니다.
Caroline
07/02/24 20:57
수정 아이콘
마재윤은 신입니다 신.
07/02/24 20:58
수정 아이콘
대 임요환 4:0 / 대 이윤열 11:3 / 대 최연성 9:2 ... 마재윤 앞에 놓여있는 본좌들과 상대전적이 저런건 정말 반칙입니다-_-;

저 전적을 모두 합치니 24:5 가 되네요. 저 전적을 예전에 한번 본적이 있습니다. 임요환 선수가 한빛배 데뷔후 2002 스카이배까지 온겜에서 저그들을 압살할때 전적이 24:5였습니다-_-; 마재윤 선수 정말 축하드립니다
07/02/24 20:59
수정 아이콘
멀리 임요환, 최연성부터 시작해서,
이윤열, 변형태, 진영수, 전상욱 등등
기라성 같은 테란고수들을 뚫고 우승한 마재윤 선수.
저그팬 입장에서 더 이상 한이 없습니다.
이제는 편안히 스타리그 시청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타인의하늘
07/02/24 20:59
수정 아이콘
마재윤선수가 새로이 써내려갈 저그의 역사, 스타의 역사가 정말 기대됩니다.
축하합니다, 마재윤선수!
연성,신화가되
07/02/24 21:01
수정 아이콘
마재윤 선수야 말로 저그로 10번 우승하고 플토로 전향해서 플토팬들의 한을 풀어줄 수도 있을 거 같군요
blackforyou
07/02/24 21:01
수정 아이콘
인간의 영역을 넘어선 마재윤은 이미 신입니다...
마재윤 당신의 경기를 생방송으로 본것이 영광일 따름입니다...
난 내가 좋다!
07/02/24 21:05
수정 아이콘
저그를 나락으로 떨어뜨렸던 3대 테란 중 한명인 이윤열 선수를 잡고 우승했으니 이제 저그의 한은 다 풀린거죠??
마녀메딕
07/02/24 21:09
수정 아이콘
시상식을 보면서 씨제이에는 자신의 색깔이 분명한 선수들이 많구나 하는 생각을 했네요. 그곳엔 미남수맥뿐 아니라 다른 무언가도 있는듯 합니다.
07/02/24 21:10
수정 아이콘
저그의 한은 더 이상 없습니다.
델마와루이스
07/02/24 21:11
수정 아이콘
경기 시작전에...세상에 왜그렇게 떨리던지요..
오랜 강민선수의 팬인 제가, 강민선수 경기보다 더 떨리더군요.
1경기때는 진짜 죽는줄 알았습니다. 심장이 계속 100m달리기 한것 마냥 쿵쾅거리는데....어흥흥흥 ㅠㅠ
3위 수상에 함께나온 변형태 선수, 무대에 나와 헹가레 쳐준 엔투스 선수들, 조규남 감독님, 김동우 코치님. 그리고 뭐 이젠 어떤 별명을 갖다붙여도 설명할 수 없는 존재인 마재윤 선수!!!!!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사랑해요 CJ~!!!!!! (다음시즌엔 영민선수가 한번 갑시다 ^^;)
07/02/24 21:18
수정 아이콘
Jeff_Hardy///..........음...마재윤 팬분들의 입장에선 결승전이 시시했군요..전 결승전 보는 내내 가슴졸이고 박수치고 간절한 마음으로 경기를 지켜봤는데..음...전 남들과 다른 의식구조를 가지고있나봅니다..
김사무엘
07/02/24 21:26
수정 아이콘
1경기 5시 드랍은 옵저버가 연출한 반전이라기 보다는 마재윤 선수가 연출한 반전이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 장면 나오기 바로 전까지 불안했었거든요. 주도권은 이윤열 선수가 '휘두르고' 있었고.
그러나 그 5시 드랍을 기점으로 경기 분위기가 급격하게 쏠리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이윤열이었기에 상당히 강력한 모습을 보였지만. 마재윤 선수의 본진 지역은 '모래 지옥'이 되버렸습니다.
그리고 지지를 받아내기 위한 마지막 공격... 3곳 동시 타격... 본진에 소수 드랍으로 신경을 분산시키고 5시 멀티에도 소수 드랍. 정신 없는 틈에 주력 부터가 디파일러를 앞세우고 돌진해 들어오는 거 까지..... 맵 하반부를 휘어 잡은 마재윤 선수의 전투 구상이 보이는 듯 했습니다.
보통 경기를 결정짓는 전투는 대규모 병력이 맞붙었어도 한화면에 잡혔는데 전체적 구도가 도저히 미니맵을 무시하지 못할 정도였어요. 이건;;
07/02/24 21:32
수정 아이콘
첫사진은 마간지 인가요? 우승 축하드립니다. 마재윤 선수!
이윤열 선수는 아쉽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616 마재윤의 시대 - 임요환을 넘어서 [44] S&S FELIX6706 07/02/26 6706 0
29615 2007년 2월 SR게임환경 지수 [21] 수퍼소닉4529 07/02/26 4529 0
29614 왜 이윤열 선수의 기량이 전부 발휘되지 않았다는건가요? [39] AgainStorm4712 07/02/26 4712 0
29611 마재윤의 현혹을 이겨내라...이윤열의 1배럭 더블... [3] 뜨와에므와4847 07/02/26 4847 0
29610 다전제에서 마재윤을 이길 테란? [28] hysterical5132 07/02/26 5132 0
29609 마재윤은 임요환이 될수 없다?! [113] hysterical5937 07/02/26 5937 0
29607 [PT4] 방송 할 2차 예선 경기 순서 입니다. (방송 종료) kimbilly4191 07/02/25 4191 0
29605 마재윤선수의 강점은 '흔들기 -상대방의 실수 유발' [16] 냠냠^^*5057 07/02/25 5057 0
29604 프로리그와 스타리그 그 광고효과에 대한 잡설.. [8] 저그최강 박태3955 07/02/25 3955 0
29602 만약에 패치가 되서 안쓰이는 유닛이 쓰이게 되었을 때 밸런스는 어떻게 변할까요? [26] 자유로운3949 07/02/25 3949 0
29599 이번 스토브리그에는 영입이나 트레이드가 활발히 이루어지면 좋겠습니다. [30] sinjja4084 07/02/25 4084 0
29598 스카우터가 있다면 측정하고 싶은 선수 [26] 김연우7889 07/02/25 7889 0
29597 마재윤선수의 뜬금없는러커.. [8] 가나다5754 07/02/25 5754 0
29595 티원도 이번 마재윤 선수 우승을 보고 '선택과 집중' 좀 그만했으면 합니다. [36] 김광훈6850 07/02/25 6850 0
29594 논란의 여지가 많은 김택용 선수의 태도 [45] 발업리버8636 07/02/25 8636 0
29593 김택용 선수, 당신을 무시하는 사람들에게 보여주세요. [30] 거품5170 07/02/25 5170 0
29591 김택용 선수에게 조언, 1경기에 목숨을 걸어라!! [28] 김광훈4444 07/02/25 4444 0
29590 롱기누스/리버스템플에 관해서. [24] Boxer_win5533 07/02/25 5533 0
29589 슈파 5회는 언제 열리는가? [25] SKY924491 07/02/25 4491 0
29587 제 관점에서 바라본, 마재윤의 테란전 운영 [24] A.COLE6958 07/02/25 6958 0
29586 오락실과 게임에 관련된 추억, 얘기해봅시다. [21] 원팩입스타™4502 07/02/25 4502 0
29585 이윤열은 이제 프리스타일이 필요하다 [20] LOSY3849 07/02/25 3849 0
29583 이윤열vs마재윤 1경기 롱기누스2 마재윤의 라르고 그리고 프레스티시모 [15] 그래서그대는5195 07/02/25 519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