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2/15 02:27:55
Name S&S FELIX
Subject 오늘 경기 감상. 내일 경기 예측.
1. 사실 오늘 경기를 보지는 못했습니다만. 경기를 보지 않더라도 분위기 만으로도 대충 그림이 그려지더군요. 오늘 경기는 축구계의 명언 한마디로 요약될 것 같습니다.

"기복은 있지만 클래스는 영원하다."


2. 요즘 테테전이 흥미진진합니다. 한동욱, 변형태, 원종서. 바로 최근 테테전의 트랜드를 이끌고 있는 선봉장들입니다. 최연성식 자리잡기 싸움을 벗어나 드랍쉽 위주의 난전을 하면서 극한의 속도를 추구하는 이들입니다. 이들의 미친듯한 속도는 결국 '다수는 소수를 제압한다'는 투박한 이념의 확장형입니다. 많은 병력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전선에 투입된' 많은 병력이 필요한 것이죠. 그리고 다수를 전투에 투입하는건 절대양 보다는 그 기동력이구요. 오늘 이윤열 선수의 대응은 기본기 최강의 자신감만이 만들어낸것이라 봅니다. '니가 좀 빠르다매? 그런데 어쩌지? 난 더 빠른데?'.

3. 그런데 흥미로운것은 최연성을 추종한 양산형 테란들과 원조격인 최연성마저 그 속도에 나가떨어진 이 시점에도 최연성의 후배인 전상욱, 고인규는 기존의 '버티고' 만으로도 저런 초고속 테란들을 때려잡고 있습니다. 초반의 우세를 가져다 주는 빌드, 그리고 그 이후 이득을 계속 지켜나가는 안정적 플레이. 아직 테테전은 전상욱과 고인규가 최강인듯 합니다. 그리고 저 둘을 격파하는 것이 바로 세로운 기동테란들의 최종 임무가 아닐까 합니다.



4. 사실은 워크를 봤습니다. The Match라 불리는 저 경기는 스타로 비유하자면 온겜에서 저그전 31연승에 우승 5회가 넘는 임요환선수와 엠겜에서 리그 절반은 우승한 홍진호 선수가 상대전적 9:9인 상황에서 근 일년만에 5전제 결승에서 맞붙은 경기. 이정도면 오늘 경기의 무게감이 느껴지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장재호선수는 경기외적으로 가다듬을 부분이 많아 보입니다. 세레머니라던가 방송에서의 마이크웍이라던가. 데뷔한지 어언 4년이 지났습니다. 스타판에서도 올드라 불릴만한 짬밥인데 엠겜에서 좀더 키워 줘야 겠죠.


5. 오늘 1경기는 스타로 비유하자면 아쉬리고나 아방가르드( 진짜 저그맵 없네요)에서 테란이 최강저그를 상대로 올멀티를 하면서 배틀로 이긴 경기라 할만 합니다. 경기내적인 면에서는 거의 흔들림을 볼 수는 없었지만 그래도 이 1경기가 쉔카이젠 선수를 조금이나마 흔들지 않았나 합니다.

6. 사실 개인적으로는 오늘 경기는 장재호 선수의 압승으로 예상했습니다. 기량차가 난다기 보다는 스타일의 차이랄까요. 전략가 장재호 선수는 오랜 국내 생활으로 상대와 맵이 정해지고연습량이 보장되는 경기에서 최고의 능력을 발휘하는 선수입니다. 반면 쉔카이젠 선수는WCG와 같은 국제대회에서 다수의 랜덤한 상대로 극강의 기본기와 센스로 승부하는 선수 입니다. 따라서 국제무대에서는 그루비의 우세가 당연한 것이고 국내대회에서는 장재호의 압승이 당연한 것입니다. 주로 놀던 물이 약간 다르니까요.

7. 그래서 이번 결승의 압도적 스코어는 기쁘다기 보다는 차라리 걱정입니다. 대부분의 외국계 선수들은 이런 국내리그의 템포에 익숙하지 않은 편입니다. 따라서 자신이 불리한 리그에 따로 스케쥴과 시간을 내서 계속 와줄지. 당장 마누엘 선수가 다시 W3에 참여하려 할지가 걱정입니다. 한국이 워크에서 압도적인 메이저리그면 모르겠는데 협회주최리그와 러시아 리그가 동시에 벌어지자 장재호 선수조차 한국리그를 포기하는게 현재의 워크 상황이라......

8. 내일은 4강전이 있는 날입니다. 사실 마재윤은 이날을 위해서 무려 세가지나 포석을 깔아 놨습니다. 원종서 전에서 패배시에는 오히려 강민, 김택용을 만나 결승진출이 확정적인 시점에서 도박적인 전략을 날린 것입니다. 결국 롱기누스의 개사기 빌드였던 입구막고 더블은 마재윤이 9드론을 달린 시점부터 완전 봉인되었습니다. 저그들을 위해서 큰 일을 한 것입니다. 그 이후 리템역시 입구막고 더블의 위험성도 높아져서 일단 초반 빌드싸움에서는 테란의 빌드 하나를 잡아먹었습니다. 반면 9드론은 통하지 않습니다. 결국 무??출발이 대세가 되었는데... 역시 불리합니다. 기존의 맵유불리가 8:2였다면 이제 7:3으로 줄어든 정도랄까요. 일단 역으로 꼬아서 롱기에서는 드랍을, 리템에서는 레어테크 다수유닛을 활용하지 않을까 합니다. 롱기에서는 그동안 드랍이 나온적이 드물었기 때문에 지금이 쓰기 적기라 생각합니다. 반면 리템은 뮤타에 상대적으로 약한편인 진영수를 흔들 여지가 많기 때문에 평소의 마재윤식 마린줄이기 보다는 자원타격중심으로 경기해 나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블리츠는 중후반 중심의 말 그대로 마재윤의 맵이고, 개인적으로는 데폭에서 마재윤이 어떤 사기성 빌드와 운영을 들고나올지도 기대됩니다.

9. 이번시즌의 마재윤은 그야말로 1:3의 싸움을 하고 있습니다. 상대방과, 방송국과, 그리고 스캐쥴. 지금까지 상대방과 스케쥴 이 둘과 동시에 싸워서 지존에 오른 이는 둘이나 됩니다. 만약 마재윤이 이번에 양대리그 우승을 한다면 방송국과 싸워 이긴 유일한 선수가 될 것이고 이런 전설은 다시는 쓰여지지 않을 겁니다. 어렵기에 가치가 있는 것입니다. 마재윤 선수가 가는 전설의 길은 10만 저그유저들이 함께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ㅁㄴㅇㄹ
07/02/15 02:42
수정 아이콘
테란 유저이자 최연성의 팬이지만 압도적인 마재윤의 힘에 이끌려 마재윤 선수를 응하고 있습니다. (절대적인 포스의 선수가 너무 그리웠습니다 .) 10만 저그유저들과 마재윤이 가는 그 길에 테란유저 하나 추가합니다.
ps. 최연성 선수 빨리 부활해서 마재윤 선수와의 멋진 승부를 기대하겠습니다.
Shearer1
07/02/15 13:24
수정 아이콘
10만 저그유저에 입스타유저 하나추가;
아기곰 시절부터 지켜보던 선수가 본좌가 되니 애정이 엄청 가더군요
우주배때 하는거 보고 포스트 양박이 나왔다 생각했는데 이건 뭐;

방송국의 영원한 재앙으로 남아주길 바랍니다 마재윤선수
Shearer1
07/02/15 14:35
수정 아이콘
음 그래도 마누엘 선수 장재호 선수말고는 국내대회의 규정대로 해도 다른선수들은 잘 이겼는데 그냥 방송경기 장재호가 사기라고 생각이 됩니다. 농담으로 누가 인컵할때 장재호선수는 컴퓨터 앞에 카메라 놓고 하면 우승한다고 했던 말이 기억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225 변형태 선수 힘내서 결승갑시다! [6] StaR-SeeKeR3683 07/02/16 3683 0
29223 오늘 경기에서 결승 대진이 이윤열 vs 마재윤으로 걸정된다면 [21] 질러버리자4333 07/02/16 4333 0
29222 마재윤 힘내라... 더더더더더 [3] 낭만토스4421 07/02/16 4421 0
29221 통계로 보는 양 방송사 맵 밸런스 [13] 비오는날이조4306 07/02/16 4306 0
29218 이윤열 선수는 운이 좋은 선수인가요? [32] 럭셜테란4110 07/02/16 4110 0
29217 이윤열 선수 역대 전적.. [10] 영혼을위한술4859 07/02/16 4859 0
29215 [스타계를 이을 초신성들]- 1.컨트롤 아티스트, 초음속의 기사 한동욱 [14] legend4252 07/02/16 4252 0
29214 신한마스터즈 누구누구가 진출할까? [6] 아유4339 07/02/16 4339 0
29213 역시 마재윤선수였습니다 [7] jinojino4646 07/02/16 4646 0
29211 마재윤은 왜 잘할까? [12] hwang184971 07/02/16 4971 0
29210 왜 맵밸런스가 무너졌다고 생각하십니까? [48] 강남재벌3세5109 07/02/16 5109 0
29209 내 기억속의 투신. [22] JokeR_4185 07/02/16 4185 0
29208 그래..혼자 다해먹어라... [69] Again7408 07/02/16 7408 0
29207 변형태 intro 마재윤 [3] Ace of Base4492 07/02/16 4492 0
29206 "마에스트로" 를 두고 은근한 신경전? [37] JUSTIN5437 07/02/16 5437 0
29205 스타도 제로의 영역이 있을까?-마재윤은? [5] 삭제됨4524 07/02/16 4524 0
29203 마본좌의 몰락은 언제쯤... [23] lxl기파랑lxl7275 07/02/16 7275 0
29202 별명. [24] 낙~4018 07/02/16 4018 0
29200 2.69%의 미학 [13] 르네와5263 07/02/16 5263 0
29199 기존 4인용맵을 이런 식으로 해보는건 어떨까요? [13] 구수치♥원성3811 07/02/16 3811 0
29198 프로게이머 출신은 다르긴 다르네요..^^ (기욤선수 경기를 보고) [17] Pride-fc N0-15011 07/02/15 5011 0
29197 엄재경 해설위원은 롱기누스2만 지적했는가? [37] SilentHill5693 07/02/15 5693 0
29194 이번 MSL 결승은 [26] 그래서그대는5121 07/02/15 512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