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1/14 03:32:39
Name 백야
Subject 이런저런 '최다' 이야기.
원래는 각부문에 '10'을 맞춰서 할려고 했는데 이야기 거리가 별로 없더군요.(쩝쩝)


아래에서

개인전, 팀전이라 하는 것은


개인전 - 스타리그 / KPGA / MSL / WCG

팀전 - 프로리그 / 팀리그 / 케스파컵


되겠습니다.



1. 양대리그 최다 4강 : 홍진호(10회)

   스타리그 - 코카콜라
                   2001SKY
                   2002SKY
                   파나소닉
                   올림푸스
                   2004 EVER
                   2006 신한은행 시즌1

   KPGA - 1차 KPGA
               2차 KPGA

   MSL - TG삼보


2. 개인전, 팀전 통산 최다 결승 : 임요환(17회)

스타리그 : 한빛소프트
               코카콜라
               2001SKY
               2002SKY
               2004EVER
               SO1

KPGA : 1차 KPGA

WCG : 2001 WCG
          2002 WCG

프로리그 : KTF에버컵
               2004 SKY 1라운드
               2005 SKY 전기리그
               2005 SKY 후기리그
               2005 SKY 그랜드 파이널
               2006 SKY 전기리그
  
팀리그 : LG IBM PC
            투싼



3. 팀전 최다 결승 : 박태민(10회)

프로리그 - 네오위즈 피망
               2005 SKY전기리그
               2005 SKY후기리그
               2005 SKY그랜드 파이널
               2006 SKY전기리그
               2006 SKY그랜드 파이널(<-예정)

팀리그   - 계몽사
              라이프존
              투싼
              MBC무비스  



4. 프로리그 포스트시즌 통산 최다승 : 마재윤(10승)


마재윤   전태규   Alchemist [SKY 프로리그 2004 3Round] 준결승 1경기 2005년 01월 22일

마재윤박영민   강도경김정환  Luna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준플레이오프 4경기 2005년 07월 18일

마재윤   박대만   Forte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준플레이오프 5경기 2005년 07월 18일

김환중마재윤   이재황임채성   우산국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준플레이오프 4세트 2006년 01월 04일

마재윤변형태   박성훈이창훈   철의 장막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2006년 01월 04일

마재윤이주영   이창훈이현승   Luna [SKY 프로리그 2005 그랜드파이널]  2006년 02월 08일

김환중마재윤   이재황임채성   우산국 [SKY 프로리그 2005 그랜드파이널]  2006년 02월 08일

마재윤이주영   박정석홍진호   Luna [SKY 프로리그 2005 그랜드파이널] 플레이오프 2경기 2006년 02월 15일

마재윤   박지호   815 3   [SKY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 플레이오프 4경기 2006년 07월 22일

마재윤  서경종   알카노이드   [SKY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 결승전 1경기 2007년 01월 07일



5. 개인전 최다 결승&우승 : 이윤열(9회 결승에 6회 우승)

스타리그 : 파나소닉(우승)
               아이옵스(우승)
               신한은행 시즌2(우승)

KPGA : 2차 KPGA(우승)
           3차 KPGA(우승)
           4차 KPGA(우승)

MSL : 스타우트(준우승)
          센게임(준우승)
          당신은 골프왕(준우승)


6. 양대리그 개막전 첫경기 최다전 : 최연성(7경기)

스타리그 : 질레트 - 최연성 vs 강민
              
               아이옵스 - 박성준(M) vs 최연성
              
               2005 EVER - 최연성 vs 이윤열
              
               2006 신한은행 시즌1 - 최연성 vs 차재욱
              
               2006 신한은행 시즌3 - 최연성 vs 이윤열

MSL     : 하나포스 센게임 - 최연성 vs 한승엽
            
             스프리스 - 최연성 vs 주진철
        
* 당골왕 때는 최연성 선수가 16강 B그룹이었던지라 개막전 첫경기를 하진 않았죠.ㅡㅡ)a



7. 통합리그 통산(정규리그+포스트시즌) 선봉전 최다 연승 : 전상욱(10연승)

전상욱   진영수   Rush Hour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MBC게임 1경기 2005년 06월 28일

전상욱   박대만   Forte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온게임넷 1경기 2005년 07월 11일

전상욱   이재훈   Neo Requiem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온게임넷 1경기 2005년 07월 13일

전상욱   마재윤   Forte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플레이오프 1경기 2005년 07월 20일

전상욱   박정석   Neo Requiem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결승전 1경기 2005년 07월 30일

전상욱   한승엽   R Point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SKT VS SouL 1세트 2005년 10월 19일

전상욱   송병구   R Point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SKT VS 삼성 1세트 2005년 10월 25일

전상욱   박종수   Neo Forte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SKT VS SouL 1세트 2005년 11월 08일

전상욱   박성준   Rush HourⅡ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SKT VS POS 1세트 2005년 11월 23일

전상욱   송병구   Neo Forte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SKT VS 삼성 1세트 2005년 11월 30일



8. 통합리그 에이스 결정전 최다승 : 강민(9연승)

강민   김준영   Neo Requiem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MBC게임 5경기 2005년 05월 31일

강민   박태민   Forte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온게임넷 5경기 2005년 06월 08일

강민   최수범   R Point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온게임넷 5경기 2005년 06월 14일

강민   이윤열   Neo Requiem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온게임넷 5경기 2005년 06월 27일

강민   이주영   Neo Requiem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온게임넷 5경기 2005년 06월 29일

강민   오영종   Rush Hour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MBC게임 5경기 2005년 07월 13일

강민   임요환   Neo Forte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SKT VS KTF 5세트 2005년 09월 03일

강민   이윤열   R Point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KTF VS 팬택 5세트 2005년 11월 01일

강민   서지훈   R Point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G.O VS KTF 5세트 2005년 11월 07일



9. 프로리그 통산 최다승 : 박정석(64승)

워낙 전적이 많아서 세세한 전적까진 다 못 옮기겠어요.

뭐 아무튼 그렇습니다.



10. 프로리그 팀플전 최다승 : 이창훈(53승)

...이하동문



하다보니까 프로리그 이야기가 많아졌는데 개인리그 관련 최다 기록에

들어가는 선수 역시 사실 이 멤버에서 크게 다르진 않죠.
(오래 활동해왔고 꾸준한 성적을 낸 선수들이다 보니 여러부문 1위를 차지한 겨우가 많아요.)

뭐 여튼 나름 꼼꼼하게 체크하긴 했지만 그래도 잘못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오류가 있거나 잘못된 기록이 있으면 가차없이 지적해주시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임요환의 DVD
07/01/14 04:24
수정 아이콘
와! 이윤열 선수가 MSL우승을 3번이나 놓쳤다든지 등 몰랐던 사실들이 많이 있네요. 좋은 자료 감사드립니다^^
재벌2세
07/01/14 04:29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의 준우승 경기들 다 본 경기인데도 세번이나 졌다는 게 이상하게 생각되네요~
착한밥팅z
07/01/14 08:25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 다음 MSL은 우승한번 합시다 !!
언제까지 천재의 위에 마본좌를 둘수는 없지 않겠습니까?

쨌든, 역시 강민선수는 에이스결정전의 사나이로군요 ;
박정석 선수도 64승이라는 어마어마한 기록을 ;
07/01/14 10:02
수정 아이콘
전상욱 선수와 강민 선수 둘 다 2006년 기록이 없네요.
Wanderer
07/01/14 11:12
수정 아이콘
프리미어리그나 GAME TV 우승은 제외된 기록인가보네요;
먹고살기힘들
07/01/14 18:55
수정 아이콘
겜티비는 모르겠으나 프리미어리그는 예선 없이 특정 선수들을 선발해서 경기하는 이벤트 형식이었기에 빠진 것이 아닌가 싶네요.
07/01/15 00:28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는 9번 4강 가서 9번 결승 갔단 거군요;;; 후덜덜하네요..
信主NISSI
07/01/15 04:14
수정 아이콘
박태민선수... 팀대결 결승을 부르는 선수인가요...
새로운별
07/01/16 10:34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 아쉽죠

강민 선수한테 진거는 뭐 1:0 스코어로 시작했으니 어쩔수 없다고 쳐도

최연성 선수와에 경기때 1경기 최연성 압도 2,3경기에선 이윤열 선수가

천재성을 과시하며 1경기에서에 최연성선수에 전략을 그대로 카피해서

따냈지만...대박의 4경기.. 그때 전진배럭 벙커진짜 1칸인가 남았는데

그걸막는 최연성...;; 사실 막고나서도 이윤열 선수가 유리했지만 최연성

선수에 기가막힌 운영으로 대역전이 가능했죠 5경기 원사이드한 패배...

또 박태민선수와에 결승은 박태민 전성기에 절정때 한거라... 지금에

마재윤 같은 운영을 보여주는 박태민...ㅎㄷㄷ 이길수가 없었죠 ㅎ;
착한밥팅z
07/01/16 13:28
수정 아이콘
새로운별님// 태클은 아닙니다만, 박태민선수가 우승했던 당골왕배때는 천재와 양박, 삼강체제가 정립 되었었던 때가 아닌가요? 그 세명이서 돌아가며 프리미어리그, MSL, OSL 결승을 치르고 하나씩 우승 타이틀을 거머쥐었던것 같은데요. 실제로 OSL 우승했던 이윤열 선수도 4강에서 박태민 선수를 3:2로 역전승하며 올라오기도 했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8702 스타크란 판의 발전적 미래를 위한 몇 가지 제안 [34] 막강테란☆4871 07/01/22 4871 0
28701 포스트임요환, 고인규에게서 그 가능성을 보다. [50] 기영우6039 07/01/22 6039 0
28628 [PT4] 신청명단(1/18) [17] 캐럿.4264 07/01/18 4264 0
28700 그랜드 파이널 5경기와 7경기에 대한 견해 [30] Optus5025 07/01/22 5025 0
28699 지하철 통학의 환상 [16] Lunatic Love5496 07/01/22 5496 0
28698 온게임넷이 하면 다르다! 역시 달랐다. [60] gipsy terran7761 07/01/22 7761 0
28696 [오프후기] 그랜드 파이널.. (완전히어로사이드) [14] 여자예비역4821 07/01/22 4821 0
28695 박태민 선수의 결정적 패배요인을 분석해 봤습니다.(엑박수정) [25] 미소속의슬픔5937 07/01/22 5937 0
28694 박지호선수의 MVP 수상불발에 대한 아쉬움 [20] Nymph_Ace4559 07/01/22 4559 0
28693 한동욱... 그리고 마재윤..... [21] 삭제됨6145 07/01/22 6145 0
28691 히어로팬의 통합 챔피언전 감상문 [2] Mr.L군7225 07/01/21 7225 0
28688 모르겠습니다. 이젠 정말 임요환이 보고싶어 못 참겠습니다!!!! [47] ewnrjtj6452 07/01/21 6452 0
28687 투신의 부활을 바라며 [4] 3972 07/01/21 3972 0
28685 스카이 프로리그 vs 슬램덩크 [23] dreamegg5555 07/01/21 5555 0
28684 무적함대와 SKT1. 그리고 MBC GAME HERO [6] 자이너4145 07/01/21 4145 0
28683 감동의 POS 그리고 염보성. [13] 스코4770 07/01/21 4770 0
28682 SKT, 조금 더 시간을 가져도 좋습니다. [30] 홍승식5040 07/01/21 5040 0
28681 [공지] 그랜드파이널 이벤트 결과. [45] 메딕아빠8479 07/01/20 8479 0
28680 "에이스" 가 없었다...SK텔레콤 T1은 과연? [52] 다크고스트7751 07/01/21 7751 0
28679 e-sports 에게.... [1] 스트라포트경4443 07/01/21 4443 0
28678 6일 남은 슈파에 대한 기대감과 의문........ [7] SKY924303 07/01/21 4303 0
28675 꼴지에서 최고의 팀이 되기까지.. [3] 마본좌4204 07/01/21 4204 0
28674 세팅시간 단축을 향한 노력은 결실을 맺었는가? [26] kama6354 07/01/21 635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