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1/09 16:47:10
Name The Siria
Subject 개인적으로 꼽은 2006 E-Sports 10대 사건(5) - 노재욱과 류경현
5. 노재욱과 류경현

MWL2는 결국 기존에 추진하던 형식으로 치루어지지 못한 채 다른 형식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2005년의 예선 결과를 그대로 따르기에, 이미 선수의 결원이 너무 많았고, 그래서 결국 약간의 예선을 다시 거쳐 MIL SUMMER로 출발하게 되니, 이 것이 바로 ESWC 2006의 예선전이 된 리그이다.
WEG 마스터즈와의 일정 문제로 중간에 파행을 겪으면서도 여하튼 힘겹게 리그는 지속이 되었고, 그 결과는 조대희의 우승과 노재욱의 준우승이다. 그리고 이 두 사람은 ESWC 본선 진출권을 얻게 되었다.

노재욱은 바로 이 대회에서 비상했다.
1라운드 예선을 6승(총 10승)으로 통과하는데 성공했고, 2라운드에서는 조대희를 비롯해, 즈드라코프 조르기에프, 크리스토퍼 라포테 같은 선수들을 제압하면서, 4승 1패로 통과하기에 이른다. 2라운드 동안, 그는 중국의 수하오에게만 패했을 뿐이었고, 그의 기세는 결국 8강 토너먼트에서 큰 일로 발전한다.
8강전, 프랑스의 유안 메를로를 상대해서 2:0으로 제압하면서 순조롭게 4강에 오른다. 유안 메를로가 세계적인 휴먼이라는 점에서 만만한 상대는 아니지만, 그래도 그는 기세가 너무 좋았다. 4강에서는 중국의 세계적인 휴먼, 리 샤오펑과의 대접전 끝에 2:1로 승리, 결승에 오른다. 먼저 한 경기를 내주고도 부단하게 만회의 시도를 한 끝에 얻은 값진 결과였다. 본인 스스로 말하듯 힘든 싸움이기도 했다.
그리고 결승. 크로아티아의 이비사 마르코비치를 만나 2:0으로 가볍게 제압하면서 한국인으로는 두 번째로 ESWC 정상에 오른다. 노재욱 개인에게는 처음으로 등극한 메이저 타이틀이며, 한국 언데드의 힘을 과시한 그런 대회였다. 노재욱 본인의 별명인 대마왕다운 경기가 나오며, 그는 빛을 보았다.

WCG 이야기를 해 볼까.
필자는 솔직히 스타에서 금,은,동을 다 휩쓴 것에는 별 관심이 없다.
내가 주목하는 선수는 무명이지만, 너무 강한 한 선수다.
류경현은 워해머에서 지난 2005년에도 이미 정상에 오른 선수다.
그런 그는 그 당시 인터뷰에서 한국의 워해머리그에 대한 아쉬움과 함께, 리그가 없다면, 다른 길도 생각해 보겠다고 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하지만, 그는 워해머를 포기하지 않았고, 한국인이 그나마 관심을 가져줄 수 있는 시기인 WCG에서 자신의 관심을 일순간 받는데 성공한다.
11승 2패라는 압도적인 성적으로 우승을 차지한 그.
WCG 공식 홈페이지에는 명예의 전당이라는 곳이 있는데, 여기는 두 대회 연속으로 금메달을 차지한 선수들의 이름이 등록되어 있다. 카스의 유명한 팀3D도 있고,피파와 언토, 헤일로같은 유명한 게임의 2회 이상 챔피언들의 이름이 WCG의 전설로 등록이 되어 있다. 2001년과 2002년에 스타를 평정한 임요환도 그 중 하나이며, 이제 우리는 류경현의 이름도 이 곳에서 만날 수 있다. 그만큼 그는 대단한 게이머이다.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고 있을 뿐이지만.

왜 우리는 인식하지 못하는 것일까.
이는 국제적인 감각과 스타 위주의 게임리그에 기인하는 것이 아닐까.
국제적으로 명성을 얻는 선수에 대한 합당한 대접과, 비스타 종목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의 중요성은 이런 국제 대회의 성과 뿐만이 아니라, 게임 리그의 다양성의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것이다. 국제 대회의 성과는 한 두 기린아의 성공이 아니라, 두꺼운 선수층에서의 경쟁에서 나오는 것이며, 게임리그의 다양성은 편식 현상을 억제하고, 다양한 사람들의 취향과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고 하겠다.
류경현과 노재욱.
마치 김연아와 박태환이 그런 것처럼, 비인기 종목에서 묵묵히 성과를 낸 그들이 자랑스럽다. 김연아와 박태환은 아마도 올림픽에만 반짝 관심을 얻고, 그들의 바탕이 되는 피겨와 수영은 여전히 비인기종목이 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필자는 류경현과 노재욱의 바탕에 있는 다른 종목에게도 관심을 가졌으면 한다. 스타만 E-Sports가 아니며, 워3, 워해머, 카스, 피파, 카트 등등... 무수한 종목이 함께 공존하는 E-Sports가 될 때, 건강한 E-Sports는 탄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그들의 지난 해 성과에 축하하면서, 올 해는 그들이 몸담고 있는 곳에서 한 줄기 빛이 깃들기를 기원한다.

개인적으로 꼽은 2006 E-Sports 10대 사건(4) - 개인리그 vs 프로리그(?)
개인적으로 꼽은 2006년 E-Sports 10대 사건(3) - 프런트의 시대
개인적으로 꼽은 2006 E-Sports 10대 사건(2) - 창단, 그리고 과제들
개인적으로 꼽은 2006 E-Sports 10대 사건(1) - 성명석의 징계 파동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y name is J
07/01/09 17:10
수정 아이콘
로동무!+_+
팬으로서 흐뭇한 한해였지요..오호호호! (그놈의 굴비만 아니었으면 마지막까지! 엉엉-)

정말 류경현선수에 대해서는 대단하다는 말밖에는....워해머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그정도 선수가 홀대받는게 그저 미안할 따름입니다.
DNA Killer
07/01/09 17:27
수정 아이콘
류경현 선수 재작년 워해머우승의 소식으로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워해머를 접하기가 ㅡㅡ; 그나마 아프리카에서 잠깐 워해머 대전을 봤는데 과거 C&C제네럴 느낌이 나더군요. 방송으로도 괜찮을 것 같으나 역시 인지도...

모든 비인기 종목의 설움이지요... 비단 e-sports를 떠나서...
07/01/09 18:02
수정 아이콘
워해머 방송 동영상을 찾아서 봤는데, 상당히 참신하군요. 게다가 제작사는 홈월드를 만든 렐릭... 경기 진행이 상당히 빠른 것으로 봐서, 방송용으로도 괜찮을 것 같아 보이긴 한데... 확실히 인지도 문제인건지;;;
07/01/09 18:33
수정 아이콘
그 종목 다변화의 시작이 W3였으면 좋겠네요. 진짜 이 부분은 E-Sports로 도약하는데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닥터페퍼
07/01/09 21:01
수정 아이콘
류경현선수도 원래는 워3게이머였죠^^
뭐, 이제는 워해머 WCG 2회연속 우승으로 더 유명해졌지만요.
07/01/10 10:48
수정 아이콘
로동무~로동무~
류경현선수.. 인터뷰가 참 인상깊었는데 말이죠.
비빔면
07/01/10 11:12
수정 아이콘
류경현형... 카스도 합니다 -_-; 한때 같은클랜이였죠; 제가 활동부족으로 쫓겨나긴 했지만 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8635 온게임넷 캐스터 및 MC 부문에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유머는 아닙니다^^;;) [22] MC_Leon6774 07/01/18 6774 0
28634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마흔여덟번째 이야기> [6] 창이♡3961 07/01/18 3961 0
28633 곰 TV 2006 MBC 게임 스타리그 8강 2주차 조별 패자전 [16] 체념토스5238 07/01/18 5238 0
28632 T1vsHERO 그랜드파이널 엔트리 예상 [20] 그래서그대는4602 07/01/18 4602 0
28631 통합챔피언전 양팀 로스터가 발표되었네요. [41] 최강견신 성제6465 07/01/18 6465 0
28630 스타크래프트2 소식 혹은 루머 [22] netgo6890 07/01/18 6890 0
28629 그랜드 파이널을 앞두고 끄적여본 몇글자 [12] 하늘유령4006 07/01/18 4006 0
28625 내일 곰 TV 10차 MSL 8강 패자전!! 과연 누가 살아남을것인가! [29] SKY925291 07/01/17 5291 0
28624 이쯤에서 다시 한번 나와줘야 합니다. 개마고원 ! [39] 라구요5780 07/01/17 5780 0
28623 소모적인 토론을 자제합시다. [15] 삭제됨3674 07/01/17 3674 0
28619 드디어 갖춰지다? 새로운 시대를 여는 프로토스의 계승자들 [52] 나..레드5348 07/01/17 5348 0
28617 선택 랜덤하면 문제가 되나요? [39] rakorn5986 07/01/17 5986 0
28614 [불만] 게임방송의 하단 고정 자막, 꼭 써야 되나?? [16] 저녁달빛5773 07/01/17 5773 0
28611 다소 극단의 순환 벨런스를 가진 맵의 필요성. 그리고 프로리그. [27] 유하4224 07/01/16 4224 0
28610 투신鬪神이 유일신唯一神을 증명하던 날 [23] 초록나무그늘6037 07/01/16 6037 0
28609 (재미로 보는) SKTelecomT1과 MBC게임 히어로 맵별 전적 분석 [16] 라벤더5241 07/01/16 5241 0
28607 BLOODY SATURDAY D-4 CHECK POINT [25] 처음느낌4321 07/01/16 4321 0
28606 왕국을 무너뜨러라.. 저항군들이여.. [50] 라구요6497 07/01/16 6497 0
28605 ygclan에서 진행한 서지훈선수 인터뷰입니다. [22] kkong9275 07/01/16 9275 0
28603 샤이닝 토스... 언제 돌아올건가요? [28] 삭제됨5732 07/01/15 5732 0
28602 2007년 시즌이 김철 감독에겐 마지막 기회가 될 수도 있겠군요. [44] 김광훈6031 07/01/15 6031 0
28601 [안내] PgR 신규 운영진 출사표. [14] homy4007 07/01/15 4007 0
28599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 3 16강 특집 - 이제는 16강이다.(2) [3] KuTaR조군4638 07/01/15 463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