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1/09 01:49:37
Name 달려라
Subject 각 팀~ 혹은 방송사를 향한 개인적인 소망

우선 다른 스포츠를 통한 비교를 살짝 하자면
흔히 얘기하는 거대한 프로 스포츠 시장의 양대 산맥이라 볼 수 있는 야구와 축구
야구는 MLB, 축구는 유럽 시장을 손 꼽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두 MLB와 유럽 축구 시장을 보았을때는 각 소속팀에서 키우는 유망주들
MLB는 팜시스템이라는 개념 그리고 유럽 축구 시장은 유소년팀 이라는 개념이
존재합니다. 특히 이런 시스템은 MLB에선 마이너리그라는 개념의 리그를 거치고
축구에서도 유소년리그라는 게임을 거쳐서 두각을 드러내는 유망주들이 있으면
그 유망주들이 단계별로 성장하면서 결국엔 각 팀의 주축 선수로까지 성장 할 수
있는 그런 곳이기도 하지만, 두각을 드러내는 유망주를 각 팀의 메인팀들의
주축 선수를 보강하기 위한 트레이드 카드로 쓴다는 겁니다.
이러한 마이너리그나 유소년리그가 각 팀의 유망주들을 실전 감각을 익힐 수 있는
곳인 동시에 또한 정말 대박 유망주의 탄생을 알리는 공간이 될 수도 있는 곳입니다.
그와 동시에 여러 팀들이 탐내는 선수가 되겠죠!

이와 반대로 현재 이 스포츠에서는 각 팀들이 유망주들을 키우긴 하여도
그들을 위한 대회가 너무 없습니다.
작년에 슈퍼루키 토너먼트를 했던 것을 제외하면 말이죠.
단 일년에 한번 하는 그런 이벤트성 대회는 싫습니다.
정기적으로 할 수 있는 연습생들의 대회를 열게 된다면
각 팀들의 트레이드 카드의 확충 혹은 연습생 혹은 방송에 자주 나오지 못하는
프로선수들의 실제 대회 경험에도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주 5회 프로리그를 좀 줄이고 제발 남는 시간에라도
풋풋한 신예와 유망주들의 게임을 보고 내가 좋아하는 팀의 새로운 스타탄생의
예고편을 한번 기대해 보고싶은 바램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비롱투유
07/01/09 01:59
수정 아이콘
좋은 생각 같습니다. 프로게이머를 희망하는 이들을 위해 좀 더 많은 통로가 주어져야 된다고 봅니다. 수퍼루키전이 정기적으로 열리는 것도 좋겠고 아마츄어도 참가가 가능한 그런 대회를 정기적으로 열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대회 일등은 상금과 준프로 자격증이 주어진다면 좋겠고 거기에 더해 각 팀이 우승한 신인을 뽑아 갈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었으면 합니다.

정말 욕심같아선 협회에서 베틀넷을 인수하고 어뷰저와 각종 핵을 철저히 막아(사실 이 부분이 제일 어렵겠군요) 온라인 예선을 거친 정규전을 개최했으면 좋겠습니다. 협회의 이름을 걸고 말이죠.
예전 블리자드에서 했던 레더방식이면 될꺼 같은데 협회에서 조금만 신경써준다면 마냥 불가능한 이야기도 아닌 듯 합니다. 생각만 해도 흐뭇하네요 ^ㅡ^
착한밥팅z
07/01/09 08:16
수정 아이콘
정말 좋은 생각 같습니다.
협회에서 베틀넷을 전부 인수하는것은 어렵더라도, 예전에 PGT처럼 따로 서버를 하나 만드는 방법은 어떤가요? 그정도면 베틀넷을 전부 인수하는것보다는 쉬울것 같은데요.
07/01/09 10:49
수정 아이콘
착한밥팅z//
프리 서버는 엄연히 불법아닌가요?
협회에서 어떻게 그런일을,,
착한밥팅z
07/01/09 13:11
수정 아이콘
아뇨, 그러니까 제 말은 불법으로 프리서버를 운영하자는 것이 아니라 블리자드에 댓가를 지불하고, 따로 서버를 하나 운영하는것을 말씀드린겁니다. 제가 오해의 소지가 있게 말을 했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8605 ygclan에서 진행한 서지훈선수 인터뷰입니다. [22] kkong9394 07/01/16 9394 0
28603 샤이닝 토스... 언제 돌아올건가요? [28] 삭제됨5842 07/01/15 5842 0
28602 2007년 시즌이 김철 감독에겐 마지막 기회가 될 수도 있겠군요. [44] 김광훈6154 07/01/15 6154 0
28601 [안내] PgR 신규 운영진 출사표. [14] homy4153 07/01/15 4153 0
28599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 3 16강 특집 - 이제는 16강이다.(2) [3] KuTaR조군4781 07/01/15 4781 0
28598 사랑합니다! 나의 스타리그! [12] 삭제됨4206 07/01/14 4206 0
28596 시대를 풍미했지만 점점 잊혀져가는 스타들. [55] 김종광10523 07/01/14 10523 0
28595 프로토스가 없다해도 스타리그는 흥행합니다. 그러기에 더 슬픕니다. [81] 김광훈8631 07/01/14 8631 0
28594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 3 16강 특집 - 이제는 16강이다.(1) [8] KuTaR조군4745 07/01/14 4745 0
28593 개인적으로 꼽은 2006 E-Sports 10대 사건(10) - E-Sports의 중심, KeSPA [2] The Siria4696 07/01/14 4696 0
28591 이런저런 '최다' 이야기. [10] 백야4763 07/01/14 4763 0
28590 팀배틀 방식. 왜 그리워하는가. 대안은 팀플카드의 캐스팅 [38] 5702 07/01/14 5702 0
28589 성전엔 뭔가 특별한것이 있다? [20] 5star4474 07/01/14 4474 0
28587 스타크레프트2가 정말 나올까요? [29] 그래서그대는5782 07/01/13 5782 0
28586 [sylent의 B급칼럼] 강민, 빌어먹을. [27] sylent7471 07/01/13 7471 0
28585 [설탕의 다른듯 닮은] 마본좌와 킹 앙리 [25] 설탕가루인형5688 07/01/13 5688 0
28584 개인리그형 선수와 프로리그형 선수? [6] bazel4311 07/01/13 4311 0
28582 쇼트트랙과 스타, 그 혁명의 역사. [20] EndLEss_MAy4624 07/01/13 4624 0
28581 소리없이 강한 선수 이병민 [29] 인생무상5135 07/01/13 5135 0
28580 [1/14] 후로리그 10season 9round JOA vs F8 preview [2] 쉰들러4793 07/01/13 4793 0
28577 프로리그...연속 출전 금지 조항이 생겼으면 합니다. [23] 다크고스트4946 07/01/13 4946 0
28576 프로리그. 한주 12회 격돌을 기대합니다. [6] 信主NISSI4081 07/01/13 4081 0
28575 [pgr대회] 신청자 명단 (1/12) [11] 캐럿.4106 07/01/13 410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