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11/16 19:02:34
Name 라캄파넬라
Subject '제 3자 효과'에 대해서
낮에 잠깐 기사거리를 읽고 있었는데 수능 한교시 끝날때 마다 시험 문제와 정답이
나오네요. 그중 언어영역에서 괜찮은 지문을 발견 했습니다. 어쩌면 pgr식구들께
필요한 글인거 같아서 옮깁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태평양의 한 전투에서 일본군은 미군 흑인 병사들에게 자신들은 유색인과 전쟁할 의도가 없으니 투항하라고 선전하였다. 이 선전물을 본 백인 장교들은 그것이 흑인 병사들에게 미칠 영향을 우려하여 급하게 부대를 철수시켰다. 사회학자인 데이비슨은 이 사례에서 아이디어를 얻어서 대중 매체가 수용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제3자 효과(third-person effect)’ 이론을 발표하였다.

이 이론의 핵심은 사람들이 대중 매체의 영향력을 차별적으로 인식한다는 데에 있다. 곧 사람들은 수용자의 의견과 행동에 미치는 대중 매체의 영향력이 자신보다 다른 사람들에게서 더 크게 나타나리라고 믿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선거 때 어떤 후보에게 탈세 의혹이 있다는 신문 보도를 보았다고 하자. 그때 사람들은 후보를 선택하는 데에 자신보다 다른 독자들이 더 크게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여긴다. 이러한 현상을 데이비슨은 ‘제3자 효과’라고 하였다.

제3자 효과는 대중 매체가 전달하는 내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예컨대 대중 매체가 건강 캠페인과 같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내용을 전달할 때보다 폭력물이나 음란물처럼 유해한 내용을 전달할 때, 사람들은 자신보다 다른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더욱 크게 인식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수용자의 구체적인 행동에도 영향을 미쳐, 제3자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사람일수록 내용물의 심의, 검열, 규제와 같은 법적․제도적 조치에 찬성하는 성향을 보인다.

전통적으로 대중 매체 연구는 매체에 노출된 수용자의 반응, 즉 그들이 보이는 태도나 행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에 비해 제3자 효과 이론은 매체의 영향 자체가 아니라 그것에 대한 사람들의 차별적 인식 및 그에 따른 행동 성향을 조사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특히 사회적으로 유해한 내용의 영향력에 대한 우려가 실제보다 과장되었을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또한 검열과 규제 정책을 지지하는 사람들의 사고가 어떠한 것인지도 짐작하게 해 준다.

제3자 효과 이론은 사람들이 다수의 의견처럼 보이는 것에 영향받을 수 있다는 이론과 연결되면서, 여론의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 데에도 이용되었다. 이 설명에 따르면, 사람들은 자신은 대중 매체의 전달 내용에 쉽게 영향받지 않는다고 생각하면서도 다른 사람들이 영향받을 것을 고려하여 자신의 태도와 행위를 결정한다. 즉 다른 사람들에게서 소외되어 고립되는 것을 염려한 나머지, 자신의 의견을 포기하고 다수의 의견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따라가게 된다는 것이다.


물론 제 자신도 조금은 어리석게 생각한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들더군요. 어떻게 받아드릴지 정확히 모르는데 다른사람이 어떻게 생각할지 지레짐작 판단하는 것 자체가 여론에 휘둘리는 거라니... 반성의 계기가 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BuyLoanFeelBride
06/11/16 19:04
수정 아이콘
이거 대학에서 배운 이론인데... 이런 게 수능 지문에 나오는군요-_-;
개인적으로 가장 감명깊었던 이론은 "침묵의 나선 이론"...
동네노는아이
06/11/16 19:10
수정 아이콘
이거 오늘 1교시때 봤던.ㅋ
06/11/16 19:12
수정 아이콘
오오 오늘 비문학 지문이였죠.
My name is J
06/11/16 19:13
수정 아이콘
원래 여론이란건 이리저리 끌려다니는 형체없는 그 무엇!


우리는 어차피 매스미디어의 개! 자본주의의 노예일뿐!(응?)
뱀다리후보생
06/11/16 19:19
수정 아이콘
언어영역 지문이네...
지금도 우리는 언론 플레이에 당하고 있죠...
막강테란☆
06/11/16 19:31
수정 아이콘
오늘 수능 치면서 이 문제 풀 때 pgr생각이 나던데.. 역시 올려졌군요..
메디쿠
06/11/16 19:32
수정 아이콘
이거보면서 올라갈까 생각은 하긴 했는데 올라왔네요
06/11/16 19:58
수정 아이콘
역시 비문학은 정말 재밌습니다.
히로하루
06/11/16 20:42
수정 아이콘
시간이 지나고 생각해보면, 언어영역 지문을 통해서 참 많은 것들을 배운 것 같습니다. 비문학에서 좋은 내용들이 정말 많죠.
고등학교 3년동안 갖추어야할 교양을, 언어영역의 지문을 통해 가르치고 있는 교육부의 고도의 전략??
06/11/16 23:22
수정 아이콘
역시나... 이지문은 어딘가에 올라올꺼 같더군요...
06/11/17 00:44
수정 아이콘
덕분에 좋은 글 잘 봤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404 [Free BBS] 네, 대한민국에서 ‘중용’은 불가능합니다. [17] youngwon4347 07/10/21 4347 0
30388 프로리그에 대한 제안(안 보셔도 돼요. 길~어요) [10] 信主NISSI4342 07/04/23 4342 0
30022 스갤폄]'이바닥 관계자'님의 글입니다. [30] SK연임반대 FELIX9785 07/03/11 9785 0
29965 방송사를 지지하는 이유 [18] skzl4651 07/03/08 4651 0
29938 협회와 방송사 파워게임의 승자가 눈에 보인다. [49] 다크포스5300 07/03/08 5300 0
29702 맵 밸런스에 관한 폭언. [69] S&S FELIX6867 07/03/01 6867 0
28417 [세상읽기]_20070105 [7] [NC]...TesTER4029 07/01/05 4029 0
28398 한국에서 장르문학은 하지 말라는 건가? [23] StaR-SeeKeR3933 07/01/04 3933 0
28165 앨런 아이버슨이 덴버로 트레이드 되었습니다. [32] 앤써4709 06/12/20 4709 0
27999 비운의 감독들...KTF와 팬택의 전 감독 정수영, 송호창 감독... [55] 다크고스트7499 06/12/13 7499 0
27858 최근 여타 커뮤니티 사이트의 반응들을 보면서... [55] 아유3889 06/12/08 3889 0
27544 글쓰기, 그리고 자유... [3] 자유로운2815 06/12/01 2815 0
27267 [설탕의 다른듯 닮은]New Turbo Engine , 전상욱과 웨인 루니 [15] 설탕가루인형4087 06/11/19 4087 0
27250 스타리그 결승전보고 든 여러가지 잡생각 [14] 연아짱4510 06/11/18 4510 0
27150 '제 3자 효과'에 대해서 [11] 라캄파넬라3718 06/11/16 3718 0
26913 교대의 요구들이 정당화 될 수 있는 이유. [56] 진리탐구자4021 06/11/10 4021 0
26429 유게의 '부인에 대한 남편의 답변'글에 대한 사소한, 정말 사소한 반론. [124] 진리탐구자5191 06/10/22 5191 0
26002 고연,연고전에 대한 글... [87] 진리탐구자6031 06/09/30 6031 0
25970 '차라리 댓글을 달지 말던가.' [18] K.DD4921 06/09/28 4921 0
25764 만화 '카페 알파' 를 아시나요? [13] 카페알파6098 06/09/19 6098 0
25619 [영화]천하장사 마돈나.... 스포일러? 많은것같은데요... ^^... [10] λ3994 06/09/13 3994 0
25610 제목없음. [4] 양정현3801 06/09/13 3801 0
24972 [영화이야기]구타유발자들..스포주의 [17] [NC]...TesTER6890 06/08/16 689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