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11/12 01:23:00
Name 영혼을위한술
Subject 워크3 초짜의 이틀동안 게임 플레이 감상문..
워크를 이틀간 플레이 해보고 느낀점입니다..
이틀동안 레더에서 3승9패라는 경이로운 기록또한 세웠습니다ㅠ_ㅠ;

우선 워크는

*스타처럼 물량이 답이 아니다
인구수의 따라 캐는 자원량이 떨어집니다 즉 초반부터 무작정 유닛을 뽑는다고
좋은게 아닙니다 적절한(김대기씨가 떠오르는 이유는?)수의 유닛과
적절한 병력조합 센스가 필요 합니다
또한 인구수의 제한이 스타보다 낮습니다

*스타보다 상성이 더욱 뚜렷하다
그래서 소수유닛이 다수 유닛을 이길수도있다
(예를들어 언덕위 아칸2기와 언덕아래 저글링 1부대같이..)

*스타처럼 자원은 안남기는게 잘하는것이 아니다
워크는 서로 견제가 치열하기때문에 작정하고 초반 멀티가 아니면
멀티하기가 힘듭니다 그리고 제한된 인구수의 따라 병력을 조합하기 때문에
자원이 쌓이게 됩니다 그리고 어느순간 쌓인 자원을 바탕으로 병력을 폭팔시키기도
합니다

*병력조합의 전략성은 스타를 능가한다
테란의 마린+메딕 저그의 히드라+럴커 토스의 질럿+템플러 등등
의 조합이 있습니다..하지만 워크3는 상대유닛과 빌드의 따라
병력조합이 그때그때 달라요(미친소가 생각나는 이유는?)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인구수가 낮게 제한되어 있기에
병력조합이 스타보다 더 중요합니다

*어택땅이란 없다-_-;(진짜로 없는게 아니고 교전할때..)
스타를 하다보면 어택땅 해놓고 유닛뽑고 어택땅 이 가능할때도 있으나..
워크는 그게 불가능 합니다
교전중에 일점사와 일점사당한 유닛 뒤로빼는 컨트롤
그리고 영웅컨트롤을 해야 합니다 스타하다가 워크넘어오면 가장 까다로운 부분중
하나가 교전입니다..(제가 느낀 바로는..)
마린으로 럴커 껌으로 잡으신다고 하신분들 워크3 컨의 적응할람 고생좀 하실 겁니다
-_-+여담이지만 스타할때 꼼꼼하게 컨트롤 하시는분들은 금방 적응하실듯;;

*쨉이 기본
김견제양의 견제플레이..
박용욱의 악마의프로브+초반압박..
이런게 워크는 기본으로 옵니다-_-;(첨 당할때 짜증많이 나실듯..저또한 짜증...)
영웅뽑자마자 견제..
사냥할때 뒷치기..
사냥하로가면 일꾼견제오고..
본진 비우면 건물 테러오고..;;
서로 자신의 병력조합이 갖쳐질때까지 쨉을 날리는데
계속 맞다보면 이 쨉이 굉장히 아픕니다... 견신(?)들린 견제로 상대방의 울화통을 ㄷㄷ;;

*영웅의 중요성
요즘 스타해설중 하나가 꿈과희망을 실은 xx 죠..
워크의 꿈과희망은 영웅입니다-_-; 고로 상대영웅은 죽이고 내영웅은 살려야합니다
이게 말이 쉽지..해보시면-_-;

이상 간략하게 제가 느낀점입니다..

p.s 워크 솔직히 구경하는것보다 플레이 하는게 더 재미 있습니다
또 직접 플레이 하다보면 선수들이 경기하는거 더 재미 있어집니다..
빌드?맵? 이런거 몰라도 저처럼 이틀정도 해보면 어느정도 감이 잡힙니다-_-;
또 피지알 워3게시판의 글남기면 고수들의 친절한 답변도 얻으실 수 있습니다..
제발 레더에서 저와같은 초보랑 대결 해보고싶어요 ㅠ0ㅠ
여러분!!레더로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NeverMind
06/11/12 01:29
수정 아이콘
이틀만에 워3의 특징을 다 잡아 내시네요.. 덜덜덜
전 이런 수칙들을 다 일일이 아프리카 방송보면서 채팅창에 물어가면서 배웠는데 말이죠....-_-;;
그리고 래더초보분이 그 정도의 승률을 보이시는건 당연합니다...
아니 잘하시는거죠...
아이디를 처음만들면 베틀넷의 시스템은 상대를 찾아줄 때 25렙정도랑 붙여줍니다...왜냐하면 세컨아이디들 때문이지요...그래서 지면 그보다 아래의 실력의 사람과 이기면 그것보다 더 높은 실력의 사람과 붙여줍니다...
그래서 패작업이라는 초반10게임정도는 그냥 들어갔다 나오는 작업을 해서 래더를 즐기시는게 초보분들에게는 좋을 겁니다...
o에코o
06/11/12 01:33
수정 아이콘
한가지 덧붙이자면 좋은 아이템(특히 힐스같은거)는 유닛 한부대 부럽지 않다고 생각.
사기유닛SCV
06/11/12 01:35
수정 아이콘
패작업을 하시면 정말 초보분들을 붙여주긴하지만....
어차피 지금의 래더시스템자체가 연패와 연승의 반복이기때문에..
그냥하시다보면 자신에게 맞는 수준의 유저를 붙여주게 될것같내요
몽키매직
06/11/12 01:37
수정 아이콘
워크래프트는 우방-_-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먼저 공격하는 쪽이 유리합니다. 잽이라고 표현하셨는데 정말 적절한 표현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보통 주도권을 잡은 쪽이 인구수 50 유지하면서 계속적인 찌르기로 이득을 본다음 한번에 병력 모아서 이기는 게 보통이죠. 그리고 스타하다가 적응안되는 가장 큰 점은, 유리하다고 막 병력 쏟아부으면 금새 역전된다는 점입니다. 워크래프트3은 영웅 레벨 시스템이 있어서 유닛 버릴거면 차라리 내 손으로 죽이는 게 낫죠.
06/11/12 01:50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워크는 상성이 너무 뚜렷한게 단점이라고 생각합니다
06/11/12 01:50
수정 아이콘
결정적으로 워크를 그만둔건 아주 예전에 래더 망하게 하는 패치였긴 하지만
06/11/12 01:54
수정 아이콘
<워크 솔직히 구경하는것보다 플레이 하는게 더 재미 있습니다>
엄청나게 공감합니다. 스타의 단순한 물량싸움보다 컨트롤하는 맛이 훨씬 좋죠. (물론 스타가 컨트롤이 없다는 이야기는 아니구요.)
옌 n 엔
06/11/12 01:56
수정 아이콘
(;; 지나가다 죄송하지만 의를 에로 바꿔야 할 부분이 좀 있네요;;;)
06/11/12 02:22
수정 아이콘
2틀만에 제가 반년동안 익힌 것을 숙지하시다니... -_-;;
서지훈'카리스
06/11/12 02:31
수정 아이콘
이틀만에 제가 반년동안 익힌것을 숙지하시다니...-_-;(2)
닥터페퍼
06/11/12 02:32
수정 아이콘
2년동안 한 저보다 더 많이 아시는거 같습니다-_-; 후. 난 2년간 뭐한건가..
狂的 Rach 사랑
06/11/12 03:40
수정 아이콘
전 스타보는 것도 재밌고 워크보는 것도 재밌고
나름대로의 재미가 있어 둘다 좋아요.
하지만 직접 플레이 하는건 워크가 더 재밌습니다. (허접한 컨트롤이지만 --;) 동감.
제3의타이밍
06/11/12 08:03
수정 아이콘
워크는 정말 직접 플레이 해보셔야 합니다. 재미가 두배 이상~~

그건 그렇고 언데드 너무 나빠요-_- (17렙휴먼)
06/11/12 09:39
수정 아이콘
워크는 단순히 유닛만 놓고 보면 쪽수<상성<조합 .. 이랄까요;
06/11/12 10:48
수정 아이콘
언데드가 나쁘다니요오...오크 나뻐요..(그냥 언데 유저)
몽키매직
06/11/12 10:57
수정 아이콘
arkorn님//
워크래프트는 언뜻 상성이 뚜렷해보이지만, 실제로 비교해보면 스타와 비슷하거나 덜한 정도입니다. 특별히 맵으로 밸런스를 맞추려는 노력 없이도 6개의 타종족전중 3개의 타종족전은 50:50에 근접해있고, 나머지 3개의 타종족전도 얼추 60:40 이거나 그 이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스타의 경우에는 특수 제작맵이 아닌 래더맵에서 게임할 경우 프로토스 대 저그의 밸런스가 무너지죠. 워3에는 그 정도로 밸런스가 무너진 종족전은 없습니다.
06/11/12 10:58
수정 아이콘
언데드 납하효
그리고 워3는 종족간 상성 별로 안 큽니다. (언오전 제외하고)
06/11/12 13:37
수정 아이콘
플저보다는 언오가 더 언밸런스 한거 같은데-_-뭐 오크입장에선 나엘,휴먼한테 밟히다가 언데드 만나면 감사...그리고 이제막 워크시작하신 분이 3승 9패면 ㅎㄷㄷ인겁니다..워크는 맨첨에 할때는 10연패정도는 기본이거든요..
석호필
06/11/12 17:23
수정 아이콘
워크 지웟는데.. 아 다시 깔아야되나...썩혀놓은 나의 정품씨디키 2개...
아 깔아서 한판 땡겨야되나.....................워3 첨 발매될때
하루 래더 20게임의 래더레벨 올리는 그 즐거움이란...잊을수가....

특히...건물러쉬의 추억....(나엘유저라....정말 재밌었다는....나나전에는 건물러쉬 ㅠ.ㅠ)

그리고 워3초창기...엘리전 숨겨놓은 건물 찾기란.....유닛다죽였는데..
건물을 못찾아서 1시간동안...찾았다는.....(지금은 본진만 다제거하면..맵보이는기능이 생겼지만^^)

아 그리고 첨에 초창기 팀플.....3대 3 팀플전...........나엘에게 자원밀어줘서 4워에서 돌리는 헌트리스....초반러쉬...

비마의 초창기 캐사기 스킬...(나엘유저라..이것도 패치되지 않았으면 햇는데.,,,나가쉬위치랑..ㅠ.ㅠ.)

데몬의 마나번 100, 200, 300 빨고, 위습 디토 100의 추억들..( 첨에 마나번 150 300 450이였는지 햇갈리네용, 위습도 150이였낭?? 초창기... 헷갈려용..ㅠㅠ)
초반위습 정찰...위습 2마리로,,,아크메이지 마나 다 빠는 그 느낌이란....
사실 첨에 나엘을 선택하길 참으로 잘했다는..ㅠㅠ 하지만 갈수록 하향패치 ㅠㅠ
율리우스 카이
06/11/12 21:32
수정 아이콘
유닛상성이 너무 크게 작용하는게 단점.. 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그걸 극복하는게 영웅의 스킬이죠.. ^6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257 WCG 2007 그랜드파이널 현재까지 성적 정리. [20] Leeka7052 07/10/07 7052 0
31867 스타 베틀넷은 미네랄핵 덕분에 수그러들 것입니다...블리자드의 의욕상실? [45] LiQuidSky10136 07/08/23 10136 0
31708 IEF2007 스타크래프트, 워크래프트 경기 규칙안입니다... [6] 한방인생!!!4120 07/08/06 4120 0
31705 스타2에 대한 이런저런 잡담 [31] Judas Pain8320 07/08/06 8320 0
30806 스타2 관련 정보 요약 정리. [16] Leeka6505 07/05/22 6505 0
30794 스타크래프트2에 대한 추측. [16] papercut4944 07/05/21 4944 0
30786 다들 스타2에 대해서 이야기할때 스타1을 너무 의식하십니다. [27] KnightBaran.K4186 07/05/21 4186 0
30450 스타2가 나오면 E스포츠가 망하는 이유 [38] berserk6517 07/04/29 6517 0
30436 스타크래프트2의 발매가 미치는 E스포츠계 동향 [27] berserk4896 07/04/27 4896 0
30414 다음달에 열리는 WWI 기대됩니다. [15] 에버쉬러브4125 07/04/25 4125 0
30213 스타크래프트2리그에 대한 부정적인 사견 [28] 샤르미에티미6051 07/04/12 6051 0
28378 99년 스타크래프트 이야기 III [12] Firehouse4583 07/01/03 4583 0
27722 시청자로서 바라는 다음 버전 패치 내용 두 가지 [16] 연성,신화가되3794 06/12/04 3794 0
26993 워크3 초짜의 이틀동안 게임 플레이 감상문.. [20] 영혼을위한술4105 06/11/12 4105 0
26582 [펌]프로게이머들을 뺀 WCG (번역글입니다) [31] 스타대왕7360 06/10/28 7360 0
20568 10부작 칼럼 - e스포츠가 스포츠로 거듭나기 위하여(3) [9] KuTaR조군3858 06/01/28 3858 0
19960 이번년에는 스타2, 워크4 발표가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30] 이름 없는 자6836 06/01/10 6836 0
17865 [스타 추리소설] <왜 그는 임요환부터...?> -23~25편 [7] unipolar7230 05/10/29 7230 0
15969 [펌] 지금 일어나고있는 '토성'님의 논란에 대해서 글이올라왔네요 [145] llVioletll7794 05/08/28 7794 0
11756 e-sports와 프로게이머의 미래는? [11] SEIJI4912 05/03/19 4912 0
11430 박용욱선수의 무시무시한 지옥관광(온게임넷)EVER배는 제외 [15] PsytoM5829 05/03/02 5829 0
11110 베르트랑이 했던 말... [18] 소를 잡았더라20351 05/02/18 20351 0
10005 커프리그의 부활 [13] 공룡4169 05/01/01 416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